미국이 지난 4월 중국 수출을 금지했던 엔비디아의 중국 전용 AI 칩인 H20이 조만간 중국에 다시 수출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을 방문중인 젠슨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15일 중국 관영 CCTV와의 인터뷰에서 "미국 정부가 우리의 수출을 승인해 출하할 수 있게 됐고, 이제 중국 시장에 H20을 판매할 것"이라고 말했다고 중국 IT 전문매체 아이지웨이(爱集微)가 이날 전했다. 황 CEO는 "H20이 빨리 출하할 수 있게 되기를 매우 기대하고 있다"며 나는 이에 대해 매우 기쁘게 생각하며, 이는 매우 좋은 소식이라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황 CEO는 "우리는 'RTX Pro'라고 하는 새로운 그래픽카드를 중국 시장에 출시하기로 했다"면서 "이 그래픽카드는 컴퓨터 그래픽과 디지털 트윈, AI를 전용으로 설계돼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RTX 프로는 현재 미국 정부의 수출 규제를 완전히 준수하는 사양의 중국 전용으로 설계된 것으로 전해졌다. 엔비디아 측은 이런 내용을 자사 블로그를 통해서도 공개하면서 "미국 정부에 H20 판매 재개 허가를 신청해 곧 제품 공급을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은 지난 2023년 엔비디아의 최신 AI 반도체인 H100의
일본의 반도체 소재 기업인 페로텍(FerroTec, 중국명 푸러더, 富乐德)의 중국 자회사가 신규 센서공장을 준공했다. 중국 저장(浙江)성 리수이(丽水)시는 지난 11일 페로텍이 건설 중인 공장이 준공했으며, 이날 정식 가동에 돌입했다고 자체 SNS 공식계정을 통해 14일 발표했다. 건설 주체는 저장푸러더센서기술유한회사다. 이 업체는 페로텍의 중국 자회사 중 하나다. 해당 업체는 2023년에 설립됐으며, 신재생 에너지, 가전, 의료, 자동차, 광통신 등에 사용되는 센서를 만드는 공장을 건설했다. 공장에는 원스톱 자동화 센서 제조 설비가 들어섰다. 공장은 연간 23억개의 센서를 생산할 예정이며, 연간 20억 위안의 매출이 발생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일본 페로텍은 1992년 저장성 항저우시에 자회사인 페로텍차이나를 설립해 중국 사업을 시작했다. 반도체 실리콘 웨이퍼, 열감지 소재 및 부품, 반도체 석영 제품, 정밀 세라믹, 반도체 진공 전송 장치, 전자빔 증발 및 도금 장비, 태양열 발전 재료 등을 현지에서 제작해 공급해 왔다. 이어 2023년에는 저장성 리수이시 경제개발구에 두 곳의 공장을 건설하겠다는 프로젝트를 발표했다. 한 곳은 12인치 실리콘 폴리시드
올 상반기 중국 수출이 증가한 반면 수입은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중국 경제가 정상적이지 않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14일 차이롄서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국무원이 이날 공개한 올 상반기 중국 상품 수출입액총액은 모두 21조7900억 위안(한화 약 4190조원)이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2.9% 증가한 것이다. 중국 내수 침체와 미국과의 관세 전쟁 등을 감안하면 괜찮은 성적표다. 하지만 수출과 수입을 나눠보면 이상징후가 감지된다. 올 상반기 중국 수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7.2% 증가한 13조 위안이다. 같은 기간 수입은 8조7900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2.7% 감소했다. 올 상반기 중국 수출입액과 관련, 왕링쥔 해관총서 부국장은 중국 대외 무역 규모가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면서 상반기 21조7900억 위안은 역대 최고치라고 설명했다. 특히 2분기 수출입액은 전년 동기 대비 4.5% 증가했다면서 이는 전분기보다 3.2%포인트 증가한 것이라고 부연했다. 올 2분기는 미국과의 무역전쟁이 본격화된 시점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중국이 교역을 다각화했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대미 수출 감소를 염두, 동남아 등 여타 지역으로 수출을 밀어냈다는 해석
중국~미국 해상 운임이 다시 반등했다. 미국과 중국의 관세 전쟁이 시작되면서 급등했던 해상운임은 관세 유예 발표 이후 하락세를 보여왔다. 14일 중국 상하이해운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11일 기준 중국 상하이~미국 서부 컨테이너 해상 운임은 FEU(1FEU는 40피트 컨테이너 1개) 당 2194달러로 전주 대비 5.0% 올랐다. 중국 상하이~미국 동부 컨테이너 운임은 전주 대비 1.2% 상승한 4172달러로 집계됐다. 지난 6월 둘째 주부터 하락세를 보였던 운임이 상승세로 돌아선 것은 4주만이다. 지난 5월12일 미중간 경제무역협상 공동 성명 발표 직후 중국~미국 해상운임이 급등했다. 관세 유예 기간이 종료되기 전 서둘러 선적하기 위한 움직임이 나타나면서 선복 부족현상이 나타났다. 이로 인해 해상운임이 치솟았다. 하지만 이후 6월 13일부터 운임이 하락세를 보여왔다. 통상 7월부터 9월까지 중국~미국 해상 노선은 성수기다. 운송시간 등을 감안, 7~9월 중 선적해야 크리스마스 등 연말 수요에 대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중국~미국 해상운송 기간은 통상 1개월이다. 여기에 육로 운송 시간을 감안해야 한다. 해상운송 운임 반등은 크리스마스 등 연말 성수기에 따른 것으
올해 중국 전기자동차 등 신에너지차 판매량이 1600만대를 돌파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이런 가운데 가격 할인 등 과잉경쟁에 따른 중국 자동차 산업 몰락이라는 우려에 대해 중국 내부에서 자성의 목소리도 더욱 커지고 있다. 11일 상하이증권보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이날 상하이에서 열린 '2025 중국자동차포럼'에서 이같은 전망이 나왔다. 푸빙펑 중국자동차공업협회(CAAM) 비서장은 포럼에 참석, 올 상반기 중국 신에너지차 판매 대수가 약 694만대이며 신에너지차 보급률은 44.3%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올 하반기 신에너지차 판매가 900만대를 넘어설 것이라며 연간 기준 중국 신에너지차 판매 대수는 1600만대 달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는 보급률이 50%를 넘을 것이라는 뜻이다. 당초 중국 정부의 신에너지차 보급률 50% 달성은 2035년이었다. 중국 공업정보화부는 '2021∼2035 신에너지산업 발전 계획'에 따라 2025년까지 신에너지차 보급률을 25%까지 올린 후 2030년 40%, 2035년 50%까지 확대한다는 목표를 제시한 바 있다. 푸 비서장의 보급률 50%는 연간 기준이라는 점에서 중국은 당초 목표를 10년이나 앞당기게 됐다. 배터리 기
관세 문제로 미국과 대립양상을 보이고 있는 브라질이 중국과 함께 남미 대륙을 관통하는 철도를 건설한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중국 관영 환구시보 영문판 글로벌 타임스는 중국과 브라질이 대륙횡단철도 프로젝트 타당성 조사를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10일 전했다. 양 측은 브라질 대서양 연안에서 브라질을 관통한 후 페루 태평양 연안까지 연결한다는 철도를 구상하고 있다. 브라질 교통부 산하 철도공단과 중국 국영철도그룹 산하 중국철도경제계획연구소가 대륙횡단철도에 대해 타당성 조사와 환경영향평가 등을 연구하게 된다고 글로벌타임스는 전했다. 양 측은 브라질 북동부 대서양 연안에 위치한 바이아주와 중부 고이아스주, 중부 마투그로수두술주, 북부 론도니아주, 북부 아크리주, 페루 찬카이항까지 철도를 연결한다는 구상을 하고 있다. 페루 찬카이항은 페루 수도 리마와 인접한 찬카이 지역에 건설 중인 대형 항구다. 찬카이항은 중국 일대일로( 一帶一路) 프로젝트 일환으로 중국 자본(중국원양해운)이 투입됐고, 항구 일부가 개항한 상태다. 브라질과 중국이 브라질을 관통하는 철도를 건설하겠다는 프로젝트가 허구 맹랑한 구상이 아닌 것으로 보인다. 왕유밍 중국 베이징국제문제연구소
중국의 반도체 장비업체인 이탕(屹唐)반도체가 상하이 증권거래소에 상장됐다. 이탕반도체가 8일 정식 상장됐으며, 이날 종가 기준으로 시가총액은 685억 위안(한화 약 13조원)을 기록했다고 중국 경제관찰보가 9일 전했다. 이탕반도체는 이번 상장에서 총 7개 기관투자가로부터 전략적 투자를 유치했다. 이탕반도체는 이번 상장을 통해 모두 25억 위안(4750억원)을 모집했다. 이탕반도체는 이 자금을 반도체 장비 R&D 센터와 생산시설 구축, 첨단 제품 R&D 등에 투입한다는 방침이다. 회사 측은 "상장을 통해 조달한 자금은 R&D 역량 강화와 글로벌 경쟁력 확보에 전략적으로 활용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탕반도체는 2015년 베이징에서 설립된 업체로 중국은 물론 미국과 독일에 R&D센터와 제조기지를 운영하고 있다. 주요 제품으로는 드라이스트립(건식박리장비), 급속 열처리 장비(RTP), 건식식각장비(Dry Etch) 등이다. 세 장비 모두 반도체 미세공정(7나노 이하)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 이탕반도체는 이 분야에서 중국 내 대표적인 업체다. 2023년 가트너 통계 기준으로 이탕반도체는 드라이스트립과 급속 열처리 장비 시장에서 전세계
중국 제14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2021~2025년) 종료를 앞두고 중국 당국이 4년간 평균 경제성장률이 5.5%였다고 밝혔다. 또 2025년 중국의 국내총생산(GDP)이 140조 위안에 이를 것이라고 전망했다. 9일 차이롄서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국무원은 이날 '제14차 5개년 계획의 고품질 완성'이라는 주제로 기자회견을 열고 제14차 5개년 계획 기간 중 중국 경제사회 발전 성과를 소개했다. 정자제 국가발전개혁위원회(발개위) 주임은 지난 2021년부터 2024년까지 4년 간 중국 평균 경제 성장률은 5.5%였다고 말했다. 정 주임은 코로나19 팬데믹과 무역 전쟁 등을 감안하면 전례 없는 경제 발전을 달성했다고 강조했다. 그는 5년 전 수립된 계획에 포함된 성장률과 노동 생산성, 연구개발(R&D), 도시화율, 1인당 기대 수명, 식량 및 에너지 생산 능력 등 주요 지표의 진척도가 기대치를 충족한다고 부연했다. 정 주임은 특히 지난헤 기준 중국 연구개발 투자 규모가 '13차 5개년 계획' 말보다 약 50% 증가했다면서 이는 OECD 국가 평균 수준에 근접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 주임은 14차 5개년 계획 기간 중 전자식 캐터필드가 장착된
올 상반기 중국 굴삭기 판매량이 20% 이상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굴삭기는 건설 경기를 엿볼 수 있는 가늠자라는 점에서 중국 건설경기가 회복되고 있다는 신호로도 읽힌다. 9일 펑파이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주요 굴삭기 제조업체의 올 상반기 모두 12만529대의 굴삭기를 판매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16.8% 증가한 것이다. 이 가운데 중국 내수로 판매된 굴삭기는 모두 6만5637대로 전년 대비 22.9% 증가했다. 나머지 5만4883대는 수출 물량으로, 이 역시 전년 대비 10.2% 늘었다. 중국 굴삭기 판매는 5월 하락세를 보였지만 6월 들어 다시 증가세를 보였다. 6월 한달간 판매된 굴삭기는 모두 1만8804대이며 이중 내수 판매는 8136대로 집계됐다. 전체 물량은 전년 동월 대비 13.3% 증가했고, 내수 물량은 6.2% 늘었다고 펑파이 등 중국 매체들은 전했다. 샹차이증권은 굴삭기 판매 증가와 관련, 6월 중국 내수 굴삭기 판매량이 예상치를 상회했다면서 하반기 수요 회복세가 지속되면서 판매가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굴삭기 등 건설 장비 판매가 증가했음에도 불구, 건설기계 가동 시간 등은 전년 대비 및 전월 대비 모두 감소했다. 중국
중국 6월 승용차 판매량이 208만대가 넘는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9일 중국승용차협회(CPCA)에 따르면 지난달 중국 전국 승용차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18.1% 늘어난 208만4000대다. 이에 따라 올 상반기 중국 승용차 판매 대수는 전년 동기 대비 10.8% 증가한 1090만1000대로 추산됐다. 6월 순수 전기차 등 친환경자동차 판매 대수는 111만1000대로 전년 동기 대비 무려 29.7% 증가했다. 올 상반기 누적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33.3% 급증한 546만8000대로 잠정 집계됐다. 올 상반기 기준 신에너지차 판매 비중은 50.2%였다. 가격 할인 등 중국 업체간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차 판매가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6월 자동차 산업에 대해 승용차협회는 생산과 도매, 소매 모두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면서 6월 실적은 예상 밖의 성적이라고 평가했다. 또 가격 할인이 심화되면서 6월 재고가 15만대 이상 감소했고, 친환경차 역시 재고가 감소했다고 분석했다. 특히 6월 기준 친환경차 소매 보급률은 53.3%를 기록했다고 덧붙였다. 6월 주요 합작 브랜드의 판매량은 51만대로 전년 동기 대비 5% 증가했다. 독일 브랜드의 6월 소매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