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중국에서 판매된 전기차 등 신에너지차 판매 평균 가격이 15만8000위안(한화 약 3192만원)으로 집계됐다. 중국 신에너지차 판매는 매년 급증하고 있는 반면 차 평균 판매 가격은 계속 떨어지고 있다. 23일 지몐신문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1월부터 9월까지 중국에서 판매된 전기차 등 신에너지차 판매 평균 가격이 17만 위안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보다 7000위안 싼 것이다. 9월 한달간 판매된 신에너지차 평균 판매 가격은 15만8000위안으로 나타났다. 평균 판매 가격이 16만 위안 아래로 떨어진 것은 6년 만이다. 중국 신에너지차 판매 평균 가격은 매년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 2023년 평균 판매 가격은 18만4000위안이었다. 중국 업체간 경쟁이 심화되면서 2024년 평균 판매 가격은 17만1000위안까지 떨어졌고, 9월에는 16만 위안 아래로 주저앉았다. 경기 부양을 위한 중국 당국의 보조금 정책과 함께 업체들이 각종 할인 정책을 펴면서 평균 판매 가격이 하락했다는 게 중국 자동차 업계의 설명이다. 중국 일각에선 배터리 가격 하락으로 인해 신에너지차 평균 판매 가격이 하락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현재 배터리 가격이 2022년 대
중국 1위 신에너지차 업체인 비야디의 일본 현지 판매 가격이 200만엔(한화 1886만원)부터 시작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비야디는 앞서 일본 유통그룹인 이온과 제휴, 전기차 등 신에너지차 판매 거점을 마련키로 했다. 제일재경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이온은 연내 일본 전국 약 30여곳의 상업시설과 백화점 등에 비야디 전기차 판매 거점을 신설한다. 비야디와 이온은 할인 및 프로모션을 통해 비야디 전기차를 200만엔(9만4000위안) 구매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예컨대 비야디 일본 주력 모델인 순수 전기 SUV 돌핀 가격은 299만엔으로 책정됐지만 각종 할인 및 포인트 적립, 충전 요금 할인 등을 적용, 실제 소비자가 지불하는 차값은 약 200만엔이 된다는 것이다. 이온은 판매 거점뿐만 아니라 주문 접수, 차량 구매 계약 등 전기차 판매를 위한 업무를 담당하게 된다고 제일재경은 전했다. 또 이온은 비야디 일본 딜러와 협력, 대형 슈퍼마켓 매장에서 비야디 전기차 전시한다. 비야디와 이온의 이번 전기차 판매 방식은 과거 완성차 업체와 딜러 사이의 방식이 아니라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고 제일재경은 설명했다. 이온은 일본 현지에 약 374개의 매장을 운영중이며, 이
중국 메모리 업체인 바이웨이춘추(佰维存储, 바이윈스토리지)의 신규 패키징 라인 가동이 임박한 것으로 알려졌다. 22일 중국 반도체 업계에 따르면 바이웨이춘추는 첨단 신규 패키징 라인 프로젝트를 완료하고 가동을 준비 중이다. 패키징 라인이 가동을 시작하면 회사의 메모리와 연산 통합 분야에서의 핵심경쟁력이 더욱 높아질 것이라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바이웨이춘추의 자회사인 타이라이(泰来)과기는 광둥(广东)성 후이저우(惠州)에 패키징라인을 운영하고 있다. 해당 패키징라인은 가동률이 90%를 넘어선 상황이다. 출하량이 늘면서 바이웨이춘추는 후이저우에 새로운 패키징 라인을 건설을 추진했다. 바이웨이춘추의 또 다른 자회사인 쑹산후(松山湖)바이웨이춘추는 지난해 8월 건설작업을 시작했다. 총투자액은 30억9000만 위안. 이중 1단계 투자액은 12억9000만 위안이며 연간 8만장의 웨이퍼 패키징 능력을 갖추게 된다. 2단계 투자액은 18억 위안이며 올해 가동될 예정이다. 지난 5월 바이웨이춘추는 10억 위안의 자금을 모집했으며, 해당 자금은 신규 패키징 라인 건설에 투입됐다. 바이웨이춘추는 메모리 설계, 패키징, 테스트, 모듈화 제작 등이 주력사업이다. 삼성전자, 하이닉스
중국의 반도체 장비업체인 위안줘웨이나(源卓微纳)가 신공장을 착공한다. 21일 중국 반도체 업계에 따르면 위안줘웨이나는 장쑤(江苏)성 쑤저우(苏州) 샹라오(上饶)경제개발구에 새로운 공장을 건설하기로 결정하고 20일 경제개발구와 토지 사용 계약을 체결했다. 프로젝트 총 투자금액은 15억 위안이며, 두 단계로 나눠서 건설될 예정이다. 공장은 내년도에 완공된다. 완공후 연간 매출액은 15억위안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번에 건설될 공장은 반도체 그래픽화 및 적층제조 장비를 생산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반도체 그래픽화 장비는 디지털 레이저 광리소그래피 장비로, 마스크 없는 레이저 노광기를 뜻한다. 해당 장비는 반도체 웨이퍼, 고급 패키징 기판에서 미세 회로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에 사용된다. 적층제조장비는 3D 프린팅용 고정밀 광학장비다. 해당 장비는 반도체 공정에도 사용되며, 신소재 및 정밀 제조 산업에도 사용된다. 이와 함께 신공장은 핵심 광학 모듈 및 서브시스템을 생산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해당 장비는 레이저 광원 및 기타 부품으로 사용된다. 중국반도체산업망에 따르면 위안줘웨이나는 지난 2016년 10월 쑤저우공업원구에서 설립된 민영기업이다. 회사는 첨단 전자회로
중국 재정 당국이 내년도 지방정부 부채 한도를 사전에 발표한다. 내년부터 새롭게 시작되는 중국 '제15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2026~2030년)'을 염두에 둔 조치로 해석된다. 21일 상하이증권보 등 중국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재정부는 경제 회복의 모멘텀을 더욱 공고히하고 주요 지역 프로젝트에 대한 자금 수요을 보장하기 위해 2026년 신규 지방정부 부채 한도를 예년보다 빨리 공개할 계획이다. 리다웨이 중국 재정부 정부채무연구평가센터 소장은 지방정부가 2026년 예산을 편성, 2026년 1분기 주요 프로젝트 건설 자금 수요를 지원하기 위해 부채 한도를 미리 발표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 편성 사업은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와 국무원이 지정한 주요 전략 및 핵심 사업 지원에 집중될 것이라면서 이는 지방정부가 사업 준비금을 신속하게 확보, 사업을 조기 추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주요 프로젝트 이외에 승인된 부채한도는 기존 은닉채무 문제를 해소하는데 사용될 것이라고 그는 덧붙였다. 지방정부의 은닉 부채는 그간 중국 경제의 뇌관으로 지목돼 왔다. 지난해 말 기준 중국 지방정부의 은닉부채 규모는 10조5000억 위안(2055조원)이다. 은닉
중국 경제가 3분기 4.8% 성장했다. 중국 거기경제 전문가들이 예측한 수치 그대로였다. 중국 국가통계국이 20일 공개한 3분기 중국 국내총생산(GDP)는 전년 동기 대비 4.8% 상승했다. 이는 2분기 5.2%보다 0.4%포인트 낮은 수치다. 중국 경제는 1분기 5.4%, 2분기 5.2% 등 5%를 상회했다. 3분기 성장률 4.8%는 당초 중국 거시경제 전문가들이 예측한 수치다.<본지 10월17일자 '中 3분기 성장률...4.8% 내외 전망' 참조> 3분기 성장률이 5% 아래로 내려온 것은 당초 기대와 달리 내수 경기가 뒷받침하지 못한 결과다. 3분기 4.8% 성장과 관련 국가통계국은 특정 국가(미국)의 관세 남용이 세계 경제 및 무역 질서에 영향을 미쳤다고 외부 문제를 거론했다. 관세 문제가 불확실성을 키웠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중국 내부 문제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일부 산업의 성장이 둔화되는 등 내수 문제도 문제도 있다고 국가통계국은 설명했다. 실제 소비재 판매가 이렇다할 성장을 하지 못했다. 3분기 누적 소비재 총소매판매액의 전년 동기 대비 성장률은 전년 동기 대비 1.2%포인트 성장하는데 그쳤다. 금리 인하와 지급준비율 인하 등 통화정책
전세계 6위 전력반도체 기업인 중국 스란웨이(士兰微)가 4조원 규모의 신규 공장 건설 프로젝트를 가동했다. 20일 중국 반도체 업계에 따르면 스란웨이는 푸젠(福建)성 샤먼(厦门)시 인민정부와 지난 18일 전략적협약을 체결했고, 공동으로 샤먼시에 반도체 공장을 건설하기로 했다. 같은 날 스란웨이는 샤먼반도체투자그룹, 샤먼신이(新翼)과기와 함께 별도의 투자 협력 협약을 체결했다. 샤먼반도체투자그룹과 샤먼신이과기는 샤먼시 인민정부가 운영하는 투자펀드다. 스란웨이는 샤먼반도체투자그룹 및 샤먼신이과기로부터 투자를 받아 샤먼시에 12인치 반도체 생산공장을 건설한다. 신규 공장은 고급 아날로그 전력 반도체를 생산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반도체 공장 건설주체는 스란지화(集华)마이크로전자다. 스란지화는 지난 6월 설립됐으며, 스란웨이의 100% 자회사다. 스란지화의 등록 자본금은 1000만 위안이다. 스란지화는 모기업인 스란웨이로부터 15억 위안, 샤먼반도체투자그룹으로부터 15억 위안, 샤먼신이과기로부터 21억 위안을 추가로 투자받게 된다. 이 밖에 9억 위안은 추가 유치할 예정이다. 신공장 건설에는 모두 200억 위안(한화 약 4조원)이 투입된다. 1공장이 먼저 건설되며,
중국 해운 컨테이너 운임 지수가 크게 올랐다. 미국과 중국이 입항 수수료 부과를 쌍방 국적 선박에 입항 수수료를 부과하면서 해상 운임이 급상승한 것이다. 20일 제일재경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지난 17일 기준 중국 상하이발 미국 서부행 컨테이너 운임은 FEU(1FEU는 40피트 컨테이너 1개)당 31.9%나 상승한 1936달러까지 올랐다. 동부행 운임도 16.4% 오른 1 FEU당 2853달러까지 상승했다. 미국행 컨테이너 운임이 상승하면서 상하이 수출 컨테이너 운임지수는 전주 대비 12.9% 상승한 1310.32포인트까지 올랐다. 컨테이너 운임 상승은 중국 조선 및 기타 산업에 대한 미국의 제한조치가 글로벌 공급망 안정성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중국의 보복 조치 역시 해상운임에 악영향을 주고 있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해상운임 상승은 제품 가격 인상으로 이어지는 만큼 물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미국은 14일부터 중국 선박에 t당 50달러(한화 약 7만1000원)의 입항 수수료를 부과했다. 중국도 보복차원에서 미국 선박에 t당 400위안(약 8만원)의 입항 수수료를 받는다. 제일재경은 해운 전문가들의 말을 인용,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중국에
중국 자율주행차 업체 포니닷에이아이(이하 포니)의 홍콩 상장이 순풍을 탔다. 20일 펑파이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포니는 지난 17일 홍콩증권거래소의 상장 청문회 심사를 통과했다. 이에 따라 포니의 홍콩 증시 상장 작업이 본격 시작된다고 중국 매체들은 전했다. 이는 포니가 미국과 홍콩 증시에 모두 상장되는 궤도에 올랐다는 의미다. 포니는 앞서 지난 14일 중국 증권감독관리원회의 상장 승인을 받은 바 있다. 포니는 지난해 미국 나스닥에 상장된 바 있다. 지난 16일(현지시간) 포니의 종가는 20.415달러. 공모가(주당 13달러)보다 57% 오른 가격이다. 포니는 지난 2018년 중국 최초의 로보택시 서비스를 시작한 업체다. 지난해 매출은 7502만5000달러다. 포니 매출은 2022년 6838만6000달러이며, 2023년 매출은 7189만9000달러였다. 올 상반기 매출은 3543만4000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43.3% 늘었다. 상반기 순손실은 9064만 달러로 지난해 5176만 달러보다 증가했다. 올 상반기 로배택시 사업 매출은 325만6000 달러로 전년 대비 무려 178.8% 증가했다. 주목할 점은 올 1분기와 2분기 승객 운임 수익이 각각 800%
중국이 부동산 건설경기를 찾을 수 있는 활로를 찾은 것으로 보인다. 중국 도시와 농촌 지역 주택의 노후화가 바로 답이다. 17일 제일재경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중국 도시 및 농촌주택의 총 연면적은 660억㎡를 넘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 가운데 30년 이상된 건물의 총 연면적은 약 230억㎡를 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중국 주택도시농촌건설부(건설부)는 중국 지급(地級) 이상 도시 297곳과 현급(縣級) 150곳에 대한 도시 건강 검진을 실시했다. 제일재경은 중국 각 지역의 도시화가 가속화되면서 다양한 도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면서 현재 중국 많은 주택은 재건축 등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전했다. 중국 내부에선 주택 연한에 따라 100년 이상 된 역사적인 건물(주택)과 50년 이상된 수명을 다한 건물, 1975년 전후 건설된 노후 건물, 1980년 이후 지어진 낡은 건물로 나누고 있다. 현재 30년 이상 된 건물은 약 35%(230억㎡)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제일재경은 노후 건물의 리노베이션 시장 규모가 1조 위안(한화 약 200조원)를 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제일재경은 전문가 말을 인용, 30년 이상 된 노후 주택은 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