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망세 분위기가 작용, 뉴욕증시 3대 지수가 소폭 하락했다. 시장은 지난해 4분기 경제성장률이 예상치를 밑돌았지만 여전히 3%대의 높은 성장세를 확인했다. 28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 지수는 전장보다 0.06% 밀린 3만8949.02로 장을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지수와 나스닥 지수도 이날 각각 0.17%와 0.55% 밀린 각각 5069.76와 1만5947.74로 거래를 마쳤다. 이날 시장은 인플레이션 둔화 속도가 기대와 달리 더디다는 것을 확인했다. 지난해 4분기 GDP는 전기 대비 3.2% 증가했다. 이는 속보치 3.3%를 밑도는 것이지만 둔화 속도가 크게 떨어진 것이다. 이날 지수 하락은 29일(현지시간) 공개되는 1월 개인소비지출(PCE) 지수를 확인 후 투자 전략을 다시 수립하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현재 1월 PCE 지수는 지난해 12월보다 높은 0.4~0.5% 상승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PEC 결과에 따라 연방준비제도(연준)의 통화 정책 방향을 명확히 읽을 수 있다는 판단이다. 시장은 오는 6월 금리 인하가 단행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날 연방기금 금리 선물 시장에서 연준이 오는 6월 금리를 인하할 가능
뉴욕증시가 혼조세로 마감했다. 27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 지수는 전장보다 96.82포인트(0.25%) 하락한 3만8972.41로 장을 마감했다. 다우 지수는 사흘 연속 하락세를 보였다. 나스닥 지수는 0.37% 상승한 1만6035.30으로 장을 마쳤다. 나스닥 지수는 3거래일 만에 반등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지수는 전장보다 0.17% 오른 5078.18로 거래를 끝냈다. 이날 혼조세는 최근 3대 지수의 사상 최고치 근접에 대한 부담감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또 주요 기업 실적 발표 시즌이 끝남에 따라 시장의 관심사가 금리에 다시 초점을 맞춘 것도 혼조세의 한 원인으로 풀이된다. 오는 28일과 29일 공개 예정인 지난해 4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잠정치와 1월 개인소비지출(PCE) 지수를 확인 후 랠리를 지속할지 여부를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 인플레이션 압력이 여전하다는 게 전반적인 분위기다. 이날 연방기금 금리 선물 시장에서 오는 6월에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은 59.1%로 집계됐다. 이는 전날과 비슷한 수준이라는 점에서 금리 인하 시기가 늦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고착화되는 분위기다. 최근 뉴욕증시 상승 분위기를 이끌
뉴욕증시 3대 지수가 일제히 하락했다. 엔비디아 실적 발표 이후 2거래일 연속 급등했던 증시가 숨고르기에 들어간 것으로 보인다. 26일(현지시간) 다우존스 지수는 전장보다 0.16% 밀린 3만9069.23으로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지수는 전장보다 0.38% 하락한 5069.53으로 장을 마감했다. 2거래일 연속 사상 최고가 행진을 보였던 다우와 S&P 지수가 소폭 내려앉았다. 2거래일 연속 하락세를 보였던 나스닥 지수는 이날 낙폭이 상대적으로 작았다. 이날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0.13% 떨어진 1만5976.25로 거래, 사상 최고치(1만6057.44) 경신 가능성을 열어뒀다. 기업 실적 공개가 마무리되면서 시장은 다시 연방준비제도(연준)의 금리 향방에 촉각을 곤두세우는 모습을 보였다. 오는 29일 공개될 1월 개인소비지출(PCE)가 넘어야 할 산이다. PCE 지수가 전월보다 상승할 것으로 전망이 우세하다. 인플레이션이 둔화 양상을 보이겠지만 시장의 기대만큼 떨어지지 않을 것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29일 PCE 지수 공개 이후 시장이 다시 출렁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날 연방기금 금리 선물 시장에서 연준이 6월에
혼조세를 보여왔던 뉴욕증시 3대 지수가 급등했다. 특히 엔비디아 등 인공지능(AI) 관련주들이 폭등하면서 전체 분위기를 끌어올렸다. 22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 지수는 전날보다 1.18% 상승한 3만9069.11로 장을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지수는 5000를 다시 돌파했다. S&P 지수는 전날보다 2.11% 뛴 5087.03으로 거래를 마쳤다. 다우와 S&P 지수는 이날 사상최고치를 경신했다. 3% 가까이 급등한 나스닥 지수는 역대 최고치를 눈앞에 뒀다.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2.96% 오른 1만6041.62로 거래를 마감했다. 역대 최고치는 1만6057.44(2021년 11월 19일 마감 기준)다. 이날 특징주로는 엔비디아를 뽑을 수 있다. 엔비디아는 이날 16.40% 폭등하며 시가총액 2조 달러 돌파를 눈앞에 뒀다. 엔비디아는 전날 매출 전년 대비 265% 증가, 분기 순이익 769% 등 실적을 공개한 바 있다. 모두 시장 예상치를 웃돌았다. 엔비디아 뿐만 아니라 AMD와 SMCI 등 AI 관련주들이 이날 일제히 폭등했다. AI가 PC수요를 끌어올릴 것이란 기대감이 작용, AI와 반도체 관련주들이 이
너무 빠른 금리인하를 경계했다는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 의사록이 공개되면서 뉴욕증시가 혼조세를 보였다. 금리 인하를 기대했던 시장과 거리감이 있는 시각이다. 21일(현지시간) 다우존스 지수는 전장보다 0.13% 오른 3만8612.24로,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지수는 전장 대비 0.13% 상승한 4981.80으로 장을 마감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 대비 0.32% 떨어진 1만5580.87로 장을 마쳤다. 이날 뉴욕증시 3대 지수는 하락세로 출발, 약세를 보였으나 장 마감 낙폭을 줄였고 장 마감 무렵 다우와 S&P 지수만 반등에 성공했다. 나스닥 지수는 3거래일 연속 하락했다. 이날 공개된 FOMC 정례회의 의사록의 핵심은 조기 금리 인하에 대한 경계심이다. 인하의 방향은 맞지만 너무 빠르게 인하됐을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을 우려한 것이다. 의사록이 공개된 후 미국 국채 10년물 금리는 다시 4.3%대로 올라섰다. 30년물도 4.49%를 나타냈다. 10년물과 30년물 모두 지난해 11월 이후 최고치를 이날 경신했다. 연준은 이날 공개한 1월 FOMC 정례회의 의사록에서 너무 빠른 금리인하를 경계하고 신중히 판단
뉴욕증시 3대 지수가 일제히 하락했다. 20일(현지시간) 다우존스 지수는 전장보다 0.17% 밀린 3만8563.80으로 장을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지수는 전장보다 0.60% 하락한 4975.51에, 나스닥 지수는 0.92% 떨어진 1만5630.78로 거래를 마쳤다. 이날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의 낙폭이 여타 지수에 비해 컸다. 실적 발표를 앞둔 엔비디아가 장중 한때 7% 이상 하락하는 등 반도체 관련 주에 대한 기대감이 낮았다. 엔비디아는 장 후반 낙폭을 만회하긴 했지만 전장 보다 4.35% 급락한 상태에서 거래를 마감했다. 반도체 종목으로 분류되는 AMD, ARM, 브로드컴도 각각 전장 대비 4.70%와 5.12%, 1.52% 동반 하락했다. 빅7 종목 가운데 알파벳만 유일하게 이날 상승했고, 나머지 종목은 약세로 장을 마감했다. CNBC는 엔비디아가 기술주 하락을 주도했다고 분석했다. 특히 중국 토종 완성차 업체들의 신차 엔트리 가격 인하가 이어지면서 테슬라가 전장 대비 3.10% 미끄러졌다. 중국 업체들의 가격 인하로 인해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고, 업체들의 수익성이 악화될 것이라는 우려가 테슬라 주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1월 미국 소매판매 감소하면서 뉴욕증시가 이틀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15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 지수는 전날보다 0.91% 상승한 3만8773.12로 장을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지수는 0.58% 오른 5029.73를 나타냈다. S&P 지수는 거래일 기준으로 나흘 만에 다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나스닥 지수는 0.30% 상승한 1만5906.17로 장을 마감했다. 나스닥 지수는 빅7 약세 속에 상승폭이 크지 않았다. 1월 미국 소매판매는 전월보다 0.8% 줄어든 7003억 달러로 집계됐다. 지난해 2월 이후 가장 큰 폭의 감소세다. 연방준비제도(연준)가 금리 인하 시기를 앞당길 수도 있다는 기대감이 작용, 증시가 상승세를 탔다. 실제 연방기금 금리 선물 시장에서 5월 금리 인하 가능성은 41.8%로, 전날 38.2% 보다 상승했다. 하지만 미국 주간 실업보험 청구자 수가 다시 줄어들면서 상승 탄력에 줄였다. 지난 10일 기준 신규 실업보험 청구자 수는 21만2000명으로 직전 주보다 8000명 감소했다. 실업보험 청구자 수가 줄었다는 것은 여전히 고용 상황이 견조하다는 의미다. 뉴욕증시가 상승세를 이어가면서
뉴욕증시가 하락 하루 만에 반등했다. 전날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에 너무 과민한 반응을 보였다는 분위기가 확산되면서 지수를 다시 끌어올렸다. 14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 지수는 전장보다 0.40% 오른 3만8424.27로 장을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지수는 전날보다 0.96% 반등한 5000.62로 거래를 마쳤다. S&P 지수는 이날 다시 5000선을 회복했다.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1.30% 뛴 1만5859.15로 장을 마감했다. 이날 증시는 반도체 종목들이 분위기를 띄웠다. 인공지능(AI) PC 출시 등 올해 PC 수요가 회복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면서 관련주들이 일제히 오름세를 탔다. AMD가 전장 대비 4.17%나 올랐고, ARM도 5.35%나 급등했다. 인텔과 마이크론테크놀러지 역시 전장 대비 각각 2.39%와 0.37% 상승 마감했다. 엔비디아는 전날 대비 2.46% 상승하며 거래를 마쳤다. 엔비디아는 아마존을 제친 하루 만에 알파벳까지 추월, 시총 3위(1조8300억 달러) 자리를 꿰찼다. 1월 CPI 공개 이후 연방준비제도(연준)의 기준금리 인하 시점은 자연스럽게 5월에서 6월로 넘어갔다. 이
미국 1월 소비자물가지수(CPI)의 둔화 속도가 더딘 것으로 확인되면서 뉴욕증시 3대 지수가 크게 떨어졌다. 13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 지수는 전장보다 1.35% 떨어진 3만8272.75로 장을 마감했다. 지난해 3월이후 하루 낙폭으로 가장 컸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지수 역시 전날보다 1.37% 하락한 4953.17로 거래를 마쳤다. 빅7 종목들이 일제히 하락하면서 나스닥 지수도 전장보다 1.80%나 수직 낙하했다. 이날 증시는 CPI 소식이 전해지면서 찬물을 끼얹었다. 상황에 따라 기준금리 인하 시기가 5월보다 더 늦어질 수 있다는 우려감이 작용한 탓이다. 미국 노동부가 발표한 1월 CPI는 전월보다 0.3% 상승했다. 전년 동월 대비로는 3.1% 상승했다. 시장의 기대치는 2%대였다. 1월 근원 CPI는 전년 동월 대비로는 3.9% 올랐다. 인플레이션이 둔화되지 않은 셈이다. 이에 따라 시장의 기준금리 기대감은 사라졌다. 연방기금 금리 선물시장에서 연준이 3월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은 8.5%까지 떨어졌다. 5월 금리 인하 가능성도 33.9%로 낮아졌다. 6월 금리 인하 가능성은 71%로 껑충 뛰었다. 시장의 기대는 3월에
뉴욕증시가 혼조세로 마감했다. 다우존스 지수는 사상 최고치를 갈아치운 반면 스탠다드앤푸어스(S&P) 지수와 나스닥 지수는 하락했다. 13일(현지시간) 공개되는 1월 소비자물가지수(CPI) 결과를 기다리는 분위기가 역력했다. 12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 지수는 전장 대비 0.33% 상승한 3만8797.38로 거래를 마쳤다. 이날 지수는 역대 최고치다. 지수 5000를 돌파했던 S&P 지수는 전거래일 보다 0.09% 밀린 5021.84로 장을 마감했다. S&P 지수가 소폭 하락했지만 여전히 상승 모멘텀은 보유하고 있어 CPI 결과에 따라 다시 상승세를 탈 가능성이 크다. 나스닥 지수도 소폭 하락한 1만5942.55를 기록했다. 이날 이렇다할 재료없이 암(ARM) 주가가 30% 가까이 폭등했다. 실적 발표 이후 인공지능(AI)에 대한 기대감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이날 대형 기술주들은 약보합세를 보였다. 테슬라는 2% 이상 떨어졌고, 아마존과 마이크로포스트는 1% 이상 하락했다. 애플과 구글 역시 소폭 하락했다. 이날 투자자들의 최대 관심사는 역시 1월 CPI다. 전월에 비해 소폭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지만 전년 대비로는 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