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중국 전기자동차 등 신에너지차 판매량이 1600만대를 돌파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이런 가운데 가격 할인 등 과잉경쟁에 따른 중국 자동차 산업 몰락이라는 우려에 대해 중국 내부에서 자성의 목소리도 더욱 커지고 있다. 11일 상하이증권보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이날 상하이에서 열린 '2025 중국자동차포럼'에서 이같은 전망이 나왔다. 푸빙펑 중국자동차공업협회(CAAM) 비서장은 포럼에 참석, 올 상반기 중국 신에너지차 판매 대수가 약 694만대이며 신에너지차 보급률은 44.3%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올 하반기 신에너지차 판매가 900만대를 넘어설 것이라며 연간 기준 중국 신에너지차 판매 대수는 1600만대 달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는 보급률이 50%를 넘을 것이라는 뜻이다. 당초 중국 정부의 신에너지차 보급률 50% 달성은 2035년이었다. 중국 공업정보화부는 '2021∼2035 신에너지산업 발전 계획'에 따라 2025년까지 신에너지차 보급률을 25%까지 올린 후 2030년 40%, 2035년 50%까지 확대한다는 목표를 제시한 바 있다. 푸 비서장의 보급률 50%는 연간 기준이라는 점에서 중국은 당초 목표를 10년이나 앞당기게 됐다. 배터리 기
관세 문제로 미국과 대립양상을 보이고 있는 브라질이 중국과 함께 남미 대륙을 관통하는 철도를 건설한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중국 관영 환구시보 영문판 글로벌 타임스는 중국과 브라질이 대륙횡단철도 프로젝트 타당성 조사를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10일 전했다. 양 측은 브라질 대서양 연안에서 브라질을 관통한 후 페루 태평양 연안까지 연결한다는 철도를 구상하고 있다. 브라질 교통부 산하 철도공단과 중국 국영철도그룹 산하 중국철도경제계획연구소가 대륙횡단철도에 대해 타당성 조사와 환경영향평가 등을 연구하게 된다고 글로벌타임스는 전했다. 양 측은 브라질 북동부 대서양 연안에 위치한 바이아주와 중부 고이아스주, 중부 마투그로수두술주, 북부 론도니아주, 북부 아크리주, 페루 찬카이항까지 철도를 연결한다는 구상을 하고 있다. 페루 찬카이항은 페루 수도 리마와 인접한 찬카이 지역에 건설 중인 대형 항구다. 찬카이항은 중국 일대일로( 一帶一路) 프로젝트 일환으로 중국 자본(중국원양해운)이 투입됐고, 항구 일부가 개항한 상태다. 브라질과 중국이 브라질을 관통하는 철도를 건설하겠다는 프로젝트가 허구 맹랑한 구상이 아닌 것으로 보인다. 왕유밍 중국 베이징국제문제연구소
올 상반기 중국 굴삭기 판매량이 20% 이상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굴삭기는 건설 경기를 엿볼 수 있는 가늠자라는 점에서 중국 건설경기가 회복되고 있다는 신호로도 읽힌다. 9일 펑파이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주요 굴삭기 제조업체의 올 상반기 모두 12만529대의 굴삭기를 판매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16.8% 증가한 것이다. 이 가운데 중국 내수로 판매된 굴삭기는 모두 6만5637대로 전년 대비 22.9% 증가했다. 나머지 5만4883대는 수출 물량으로, 이 역시 전년 대비 10.2% 늘었다. 중국 굴삭기 판매는 5월 하락세를 보였지만 6월 들어 다시 증가세를 보였다. 6월 한달간 판매된 굴삭기는 모두 1만8804대이며 이중 내수 판매는 8136대로 집계됐다. 전체 물량은 전년 동월 대비 13.3% 증가했고, 내수 물량은 6.2% 늘었다고 펑파이 등 중국 매체들은 전했다. 샹차이증권은 굴삭기 판매 증가와 관련, 6월 중국 내수 굴삭기 판매량이 예상치를 상회했다면서 하반기 수요 회복세가 지속되면서 판매가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굴삭기 등 건설 장비 판매가 증가했음에도 불구, 건설기계 가동 시간 등은 전년 대비 및 전월 대비 모두 감소했다. 중국
중국 6월 승용차 판매량이 208만대가 넘는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9일 중국승용차협회(CPCA)에 따르면 지난달 중국 전국 승용차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18.1% 늘어난 208만4000대다. 이에 따라 올 상반기 중국 승용차 판매 대수는 전년 동기 대비 10.8% 증가한 1090만1000대로 추산됐다. 6월 순수 전기차 등 친환경자동차 판매 대수는 111만1000대로 전년 동기 대비 무려 29.7% 증가했다. 올 상반기 누적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33.3% 급증한 546만8000대로 잠정 집계됐다. 올 상반기 기준 신에너지차 판매 비중은 50.2%였다. 가격 할인 등 중국 업체간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차 판매가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6월 자동차 산업에 대해 승용차협회는 생산과 도매, 소매 모두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면서 6월 실적은 예상 밖의 성적이라고 평가했다. 또 가격 할인이 심화되면서 6월 재고가 15만대 이상 감소했고, 친환경차 역시 재고가 감소했다고 분석했다. 특히 6월 기준 친환경차 소매 보급률은 53.3%를 기록했다고 덧붙였다. 6월 주요 합작 브랜드의 판매량은 51만대로 전년 동기 대비 5% 증가했다. 독일 브랜드의 6월 소매점
중국 1위 신에너지차 판매 업체인 비야디(BYD)가 가격 할인 정책을 중단했다. 테슬라 차이나는 최근 모델3(4륜구동) 가격을 1만 위안 인상했다. 중국 당국이 '내권식(内卷式, 제살깎아먹기식)' 문제에 대해 언급하면서 중국 완성차 업계의 가격 할인 전쟁에 제동이 걸리는 모양새다. 8일 경제일보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비야디가 7월 '한정' 가격 정책을 중단했다. 한정이라는 단어를 사용, 특정 기간 가격을 할인해 주는 마케팅 정책을 멈춘 것이다. 중국자동차공업협회는 지난 5월 31일 '공정한 경쟁 질서 유지 및 업계 건전한 발전 촉진에 관한 행동 강령(이하 행동 강령)'을 발표하며 중국 완성차 업체간 가격 경쟁을 일갈했다.<본지 5월 31일자 '中 자동차공업협회, BYD 가격 할인에 경고' 참조> 협회에 앞서 웨이젠쥔 창청자동차 회장은 중국 자동차 산업에 '헝다그룹'이 이미 존재하고 있다고 발언, 가격 할인 전쟁에 대해 우려를 표명한 바 있다.<본지 5월 28일자, 창안차 회장, "둥펑과 합병은 중국 車산업에 좋은 사례" 참조> 급기야 중국 자동산 산업을 총괄하는 공업정보화부가 '2025년 자동차 생산 기업 및 제품 생산 일관성 검사
중국 신흥 전기자동차 생산 업체들이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를 속속 선보이면서 중국 순수 전기 SUV 시장이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 무엇보다 미국 테슬라 모델Y를 타깃으로 지목, 전기 SUV 시장 경쟁이 뜨거울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7일 증권일보와 제일재경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샤오펑은 지난 3일 오후 신형 인공지능(AI) 스마트 패밀리 SUV '샤오펑 G7'을 출시했다. 허샤오펑 샤오펑 최고경영자(CEO)는 "올해 상반기 20만 위안(한화 약 3800만원) 이상 전기 SUV 시장이 매우 활발했다"라고 말했다. 602Max, 702Max, 702Ultra 3가지 트림으로 출시된 샤오펑 G7의 가격은 19만5800~22만5800위안이다. 당초 사전 판매 가격인 23만5800위안보다 4만 위안 싸게 출시됐다. 샤오펑 G7에는 자율주행 L3급이 탑재됐다. 특히 중국 최초로 시각언어모델 VLM(Vision Language Model)이 탑재, 운전자와 차량의 상호작용 경험을 제공한다고 샤오펑 측은 강조했다. 샤오펑 G7의 최대 출력은 218kW이며, 완충 시 최대 702Km까지 주행이 가능하다. 소득이 증가하면 레저 문화가 성장하기 마련이다. 통상
1분기 중국 폴더블 스마트폰 출하량이 284만대를 넘어섰다. 이와 관련 얼리어답터 시장이 포화상태에 도달했을 뿐 폴더블 폰 산업이 성장 단계에 진입했다고 보기 어렵다는 분석이 나왔다. 제일재경은 4일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IDC 데이터를 인용, 1분기 중국 폴더블 폰 출하량이 전년 동기 대비 53.1% 증가한 284만대로 집계됐다고 전했다. 이 매체는 폴더블 폰은 그간 스크린 힌지 문제와 무게, 배터리 수명 등 기술적 혁신이 점진적으로 이뤄졌다고 분석했다. 하지만 이 같은 기술적 문제 해결만으로 폴더블 폰이 성장하는데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폴더블 폰 출하량이 크게 늘었지만 시장 수요가 뚜렷히 개선되고 있다고 보기 어렵다는 것이다. 올해 폴더블 폰 시장이 여전히 조정과 관망세를 보일 것이라고 이 매체는 전망했다. 폴더블 폰은 단말기 제조업체의 하드웨어 기술력을 입증하는 중요 수단이다. 또 단말기 제조업체의 고급 시장 지위를 확고히 하는 핵심 요소다. 그만큼 기술 혁신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실제 지난 2일 아너가 8.8mm 두께의 '매직 V5' 폴더블 폰을 출시했다. 이는 오포의 파인드 N5 폴더블 폰 두께 8.93mm 보다 얇다. 폴더블 폰의 가장 큰 약
주행거리 '0Km 중고자동차'가 수출되고 있다는 중국 내부 폭로가 나온 가운데 중국 당국이 중고차 수출에 대한 지도를 강화하겠다는 입장을 내놨다. 4일 제일재경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상무부는 3일 정례 기자회견을 통해 중고차 수출 업무에 대한 지도를 강화하고, 중고차 수출의 건강하고 질서 있는 발전을 촉진시키겠다고 발표했다. 허융첸 중국 상무부 대변인은 "자동차는 가격이 비싼 소비재이며, 각국이 중고차 시장 발전을 장려하고 지원하고 있다"며 중국 역시 지난해 2월 중고차 수출 관련 절차를 마련해 공고한 바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2024년 2월 이후 중고차 품질 안전을 엄격히 관리했고, 중고차 수출 역시 해외 소비자의 차량 구매 선택을 충족시켰다고 부연했다. 중국 당국이 주행거리 0Km 중고차가 중국내 유통되는 것을 넘어 해외로 수출되고 있음을 파악한 것으로 보인다. <본지 6월 26일자 '中 차 산업의 불편한 진실... 주행거리 0Km 중고차도 수출' 참조> 주행거리 0Km 중고차 유통은 밀어내기식 영업의 산물이다. 그만큼 중국 완성차 업체간 경쟁이 치열하다는 의미이자, 손해를 보더라도 일단 팔고보자는 식의 영업이 성행하고 있다는 뜻
중국이 자체 개발한 여객기인 C909가 해외 운항을 시작했다. C909는 중국이 개발한 첫 민간 항공기다. C909는 해외 노선에 투입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1일 펑파이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에어차이나 소속 C909 여객기(CA757편)가 이날 오전 8시 7분 네이멍구 하오터바이타국제공항에서 이륙, 몽골 울란바토르 국제공항으로 향했다. 에어차이나는 주 7회 운항하며 이 노선에 C909 항공기를 투입한다. 이날 CA757편 운항과 관련 중국 매체들은 중국이 직접 만든 항공기가 국제 상업 노선에 투입되는 첫 사례이자 중국 항공산업의 이정표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에어차이나는 지난 2021년 C909를 도입, 국내선에 투입해 왔다. 에어차이나는 현재 C909 항공기 35대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중국 매체들은 에어차이나 소속 C909의 누적 비행시간은 11만 시간 이상이며, 누적 승객 수는 413만명에 달한다고 전했다. C909는 중국 중국상용항공기(COMAC,코맥)이 개발한 소형급(78~97석) 항공기다. 2002년 개발을 시작, 2008년 첫 비행에 성공했다. C909 항공기는 지난 2016년 6월 첫 상업비행을 시작했다. 당초 모델명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