샤오미가 전기자동차 베이징 생산공장을 일반인에게 공개한다. 레이쥔 샤오미 회장 겸 최고경영자(CEO)는 전기차 공장 견학 프로그램 예약을 받는다는 내용의 글을 자신의 소셜미디어 웨이보에 공개했다고 중국 메이리징지신문 등 중국 매체들이 6일 전했다. 일반인 공장 견학은 매주 토요일 오후 14시부터 17시까지다. 1월 견학이 가능한 날은 11일과 18일, 25일이다. 샤오미 베이징 전기차 공장은 베이징 경제기술개발구에 위치하고 있다. 이 공장 부지는 71만8000㎡(21만7195평)이다. 샤오미 베이징 공장은 2단계로 진행되며, 2차 공장 완공은 2025년 6월이다. 이 공장은 지난해 베이징 산업 관광 시범단지로 선정된 바 있다. 샤오미의 이번 전기차 공장 일반인 견학 프로그램은 마케팅 차원으로 해석된다. 샤오미는 지난해 4월 첫 전기차 모델 SU7를 출시, 모두 13만5000대를 판매했다. 레이쥔 샤오미 CEO는 지난해 12월 31일 "2025년 모두 30만대를 판매하겠다"라고 목표를 밝힌 바 있다. 그는 "연간 30만대의 차량을 판매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면서 비야디(BYD)가 30만대를 판매하는 데 10년이 걸렸다고 말했다. 중국 자동차 업계에선 전기
중국 국영 반도체기업인 옌둥웨이(燕东微)가 40억 위안(한화 약 8000억원)의 증자를 실시했다고 중국 대반도체산업망이 6일 전했다. 옌둥웨이는 모기업인 베이징뎬쿵(北京电控)을 대상으로 40억2000만 위안의 증자를 실시했다. 베이징뎬쿵은 베이징시 시정부 산하 국유기업이며, 주요 주주는 베이징시 국유자산감독관리위원회다. 증자후 베이징뎬쿵이 보유하게 되는 옌둥웨이의 지분은 58.75%다. 해당 자금은 베이뎬지청(北电集成)의 공장 건설 시설자금으로 사용된다. 베이뎬지청은 옌둥웨이의 자회사다. 베이뎬지청은 12인치 웨이퍼 반도체 공장을 건설 중이다. 총 투자액은 330억 위안(6조 6000억원)이다. 베이뎬지청이 추진중인 반도체 공장에서는 디스플레이 구동 칩, 디지털 아날로그 혼합 칩, 임베디드 MCU(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 등을 생산한다. 해당 공장은 28나노(nm)~55나노 공정 설비가 들어서게 된다. 해당 공장에서 생산된 반도체는 소비자 전자, 산업 자동화, 신에너지산업, 사물인터넷 등에 사용된다. 현재 베이뎬지청은 공장 건설작업이 진행중이다. 올해 4분기에 건물이 완공되고 장비 반입이 시작된다. 내년 연말에 양산될 예정이다. 베이뎬지청은 2023년 10월에
중국 당국이 내수활성화 차원에서 스마트폰과 태블릿, 스마트워치(팔찌)를 보조금 대상 품목에 포함시켰다. 자동차와 가전에 이어 '이구환신(낡은 것을 새 것으로 바꾸는 것)' 정책에 통신 관련 기기를 포함시킨 것이다. 이에 따라 올해 스마트폰과 태블릿, 스마트워치의 판매가 크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국가발전개혁위원회(발개위)는 지난 3일 '중국 경제의 고품질 발전'이라는 제목의 언론 브리핑을 열고 소비 진작을 위한 특별 조치를 시행한다고 밝혔다. 샤오웨이밍 발개위 부비서장은 소비 진작을 위해 소비자 제품의 서비스 공급을 늘리겠다면서 스마트폰과 태블릿, 스마트워치에 대해 디지털 보조금을 지원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중국 당국은 지난해 내수 경기 부양차원에서 자동차와 가전에 대해 보조금을 지원한 바 있다. 자동차와 가전의 경우 단가가 높아 내수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 실제 중국 상무부 등 관계 당국은 지난해 이구환신 정책이 내수 회복에 도움이 됐다고 분석하고 있다. 스마트폰과 태블릿, 스마트워치에 대한 보조금 지원 정책은 중국 당국의 경기부양에 대한 의지 표명으로 해석된다. 보조금 규모는 아직 알려지지 않고 있지만 스마트폰, 태블릿, 스마트워치 판매에 긍정적인
중국 통화당국이 경기 부양을 위해 조만간 지급준비율(지준율) 인하 카드를 꺼낼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은 '통화정책위원회 107차 정례회의' 내용을 지난 3일 인터넷 홈페이지에 공개했다. 인민은행은 외부 환경 변화에 따른 부정적 영향이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인플레이션 압력은 완화되고 있다고 판단했다. 인민은행은 중국 경제가 전반적으로 안정을 유지하고 있다면서도 여전히 내수 부족과 숨여진 위험이라는 도전에 직면해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경기 대응적 통화정책을 강화해 안정적인 경제 성장과 물가 안정을 유지해야 한다고 분석했다. 통화정책위원회는 회의에서 통화정책 통제의 강도를 높여야 한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이를 위해 지준율과 금리 인하의 적절한 시기를 선택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통화정책위원회는 금융기관의 화폐와 신용 공급을 늘려 국내외 경제 및 금융 상황에 충분히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통화정책위원회가 언급한 화폐 및 신용 공급 확대는 지준율 인하를 뜻한다. 지준율은 은행권이 예금 인출 등을 감안, 의무적으로 보유해야 하는 현금 비율이다. 지준율이 인하되면 은행권의 대출 여력이 커진다. 통상 0.25%포인트 인하 시 5000억 위
중국의 대형 반도체 기업인 화룬웨이(华润微)가 12인치 반도체 웨이퍼 공장을 완공했다. 화룬웨이의 자회사인 룬펑(润鹏)반도체가 선전(深圳)시 바오안(宝安)구에 건설 중인 12인치 반도체 공장이 지난달 31일 완공식을 진행했다고 중국 IT 전문 매체인 신즈쉰(芯智讯)이 3일 전했다. 완공식에는 리훙(李虹) 화룬웨이 회장, 왕수펑(王叔鹏) 룬펑반도체 사장 등이 참석했다. 해당 공장에는 220억 위안(한화 약 4조4000억원)이 투자됐다. 2022년 10월 착공했으며, 2년여만에 완공됐다. 룬펑반도체는 화룬웨이와 선전시 시정부가 공동으로 2022년 6월 설립한 반도체 기업이다. 국가반도체산업투자기금 2기(대기금 2기)와 디이치처(第一汽车) 등이 투자했다. 룬펑반도체의 공장은 40나노(nm) 아날로그 특화 공정을 채택했다. 연간 48만장의 12인치 파워 반도체 생산능력을 갖추고 있다. 룬펑반도체의 공장이 생산한 반도체는 전기자동차, 태양광 발전, 철도 교통, 스마트 전력망, RF(무선주파수) 통신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예정이다. 룬펑반도체 측은 "이번 공장 완공으로 집적회로 분야에서 건실한 발걸음을 내딛었다"며 "반도체 설계, 패키징, 테스트 등 각 분야 밸류체
중국 공업정보화부는 '2021∼2035 신에너지산업 발전 계획'에 따라 오는 2025년까지 신에너지차 보급률을 25%까지 올린 후 2030년 40%, 2035년 50%까지 확대한다는 목표를 제시한 바 있다. 하지만 이 계획은 10년을 앞당겨질 것으로 예상된다. 올해 신에너지차 보급률은 7월 50%를 넘어섰다. 지난 1월 신에너지차 보급률은 33%였다. 3월 42.%를 기록하면 40%대에 진입했고, 7월에는 51.3%를 기록했다. 이후 8월 54%, 9월 53.5%, 10월 53.2%, 11월 52.6% 등 6개월 연속 50% 벽을 뛰어넘었다. 순수전기차 역시 가파른 상승세다. 지난 1월 19%였던 순수전기차 판매 비중(전체 판매 가운데 전기차가 차지하는 판매비율)은 2월 20%에 진입했고, 8월에는 31%로 30%대에 진입했다. 11월 순수전기차 판매 비중은 31%까지 상승했다. 중국 내부에선 올해 중국 신에너지차 보급률이 50%를 훌쩍 넘어설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지난 2020년 22.3%에서 불과 2년 새 2배 이상 상승한 것이다. 하지만 이같은 가파른 상승세를 2025년 이후부터는 상승폭이 둔화될 것이라는 예상이 지배적이다. 또 2025년 중국
중국 톈청셴진(天成先进)이 TSV(Through-Silicon Via) 공정을 활용한 반도체 패키징 라인을 완공해 양산에 돌입했다. 톈청셴진의 TSV 1공장이 완공됐으며, 1공장은 연간 24만장의 반도체 패키징 역량을 보유하고 있다고 중국 대반도체산업망이 2일 전했다. 톈청셴진은 현재 2공장 건설을 진행 중이며, 2공장은 연간 36만장의 생산능력을 갖추고 있다. 2공장까지 완공되면 톈청셴진은 60만장의 능력을 갖추게 된다. 톈청셴진은 3D 반도체 웨이퍼 패키징 기술의 연구개발에 매진해온 업체로 웨이퍼급 3차원 반도체 집적기술을 개발해 냈다. 톈청셴진은 해당 기술을 '주충(九重)'이라고 명명했다. 해당 기술은 3가지 카테고리에서 6가지의 제품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1공장은 AI(인공지능) 반도체, 고성능 컴퓨팅 칩, 자율주행 칩, 센서, 이미지 칩, 무선주파수 칩, 통신칩, 바이오 메디컬 칩 등을 처리한다는 방침이다. 톈청셴진은 2023년 4월에 설립된 업체로, 중국 반도체 업계 선두권 TSV 공정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TSV 기술은 실리콘 웨이퍼를 관통하는 전도성 연결 통로를 통해 칩을 수직으로 연결하는 3D 반도체 패키징 기술로, 집적도
중국 신에너지자동차 1위 업체인 비야디(BYD)가 지난해 모두 427만2100대를 판매했다고 2일 밝혔다. 이는 롄위보 BYD 자동차 공학연구소 소장이 밝힌 판매량과 거의 일치한다. 롄 소장은 지난해 말 베이징에서 열린 한 포럼에서 참석, "중국 전기차 3대 중 1대는 BYD이며, 전 세계 전기차 5대 중 1대는 BYD"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올해 BYD의 연간 판매 디수는 425만대를 기록할 것"이라고 예상했다.<본지 2024년 12월17일자 'BYD 車 춘추전국시대 통일' 참조> BDY는 지난해 전체 판매 대수 가운데 승용차는 425만4000대라고 전했다. 이는 전년 301만2900대 대비 무려 41% 증가한 것이다. 지난해 연초 BYD가 비공식적으로 밝힌 연간 판매 목표는 약 360만대였다. BYD의 2025년 판매 목표는 아직 알려지지 않고 있지만 500만대가 될 것이라는 게 중국 자동차 전문가들 사이에서 나오고 있다. BYD의 지난해 순수 전기차(승용) 판매는 176만4994대이며,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판매량은 248만5378대였다. 지난해 12월 한달 간 판매량은 50만9440대로 월간 기준 최대치를 기록하기도 했다.
<편집자 주> 자동차 후발주자 중국이 전기자동차 등 신에너지차 열풍에 폭풍 성장하고 있다. 올해 중국 신에너지차 판매가 내연기관차를 앞지를 것이 확실시되는 등 글로벌 자동차 산업에 한 획을 그을 것으로 보인다. 중국 정부는 당초 '2035년 신에너지차 보급률 50% 달성'이라는 청사진을 제시했는데 보급률 50% 역시 올해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무려 10년을 앞당긴 것이다. 신에너지차 연간 1000만대 이상 시장으로 급성장하면서 중국 자동차 산업이 2025년 구조조정 원년이 될 것이라는 전망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세계 최대 자동차 시장으로 급성한 중국 신에너지차 시장에 대해 살펴본다. '1163만1000대' 중국 승용차협회(CPCA)가 공개한 지난해 12월 22일 기준 누적 전기자동차 등 신에너지차 도매 판매 대수다. 같은 기간 중국 자동차 총 도매 판매 대수는 2588만6000대다. 전체 도매 판매 대수는 전년 동기 대비 7% 증가한 반면 신에너지차 판매는 전년 동기 대비 무려 39% 늘었다. 현재와 같은 추세라면 내년 중국 신에너지차 판매가 가솔린 등 내연기관차를 앞지를 것으로 보인다. 2일 CPCA가 전망한 12월 중국 자동차 판매 전망 데
중국 스마트폰 시장에서 주춤했던 화웨이가 지난해 복귀했다는 평가가 중국 내부에서 나오고 있다. 화웨이의 반격이 시작되면서 시장이 더욱 치열해졌다는 것이다. 중국 매체 제일재경은 지난해 중국 스마트폰 시장은 애플과 오포, 비보, 샤오미, 아너 등 5개 브랜드가 순위 다툼을 했다고 2일 전했다. 중국 스마트폰 시장을 놓고 각사가 '엎치락뒤치락'하는 모습이라는 분석하면서 각사의 점유율은 20% 정도라고 평가했다. 이런 시장에 화웨이가 복귀, 중국 스마트폰 시장의 새롭고 큰 변수가 됐다고 이 매체는 전했다. 지난해 연간 기준 화웨이는 상위 5위 안에 들지 못했지만 4분기 화웨이 성장세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제일재경은 강조했다. 이 매체는 IDC가 공개한 스마트폰 출하량을 근거로 지난해 4분기 기준 화웨이 성장률은 전년 대비 35~47% 정도로 추정했다. 이를 시장 점유율로 환산하면 10.3%로 10%대를 회복했다고 예상했다. 주목할 점은 600달러(한화 88만원) 이상 프리미엄 스마트폰 시장에서의 화웨이 반등이다. 프리미엄 폰은 주로 애플이 주도해왔던 시장이다. 지난해 3분까지 화웨이 시점점유율은 30.7%다. 이는 전년 21.4%보다 9.3%포인트 증가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