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PU(그래픽처리장치)를 개발하고 있는 중국의 유니콘 기업이 상장 절차를 시작했다. 무시(沐曦)집적회로(METAX)가 최근 상장 멘토링 등록을 완료했다고 중국 커촹반(科创板)일보가 17일 전했다. 멘토링 기관은 화타이(华泰)증권이다. 중국 증권감독관리위원회는 상장을 희망하는 기업을 대상으로 상장 경험이 많은 금융기관을 매칭시켜 유망 기업의 상장을 지원하고 있다. 금융기관은 상대 업체를 대상으로 상장 멘토링 서비스를 펼치게 된다. 상장 멘토링 과정을 성공적으로 마치면 상장 신청을 할 수 있는 조건이 마련된다. 중국 내 GPU 개발 벤처기업인 쑤이위안커지(燧原科技)가 지난해 8월, 비런커지(壁仞科技)가 지난해 9월, 무얼셴청(摩尔线程)이 지난해 11월 각각 상장 멘토링 등록을 완료하며 상장 작업을 진행하고 있는 가운데, 또 하나의 벤처기업이 상장을 준비하고 있는 셈이다. 무시집적회로는 2020년 9월 상하이에 설립된 기업이다. 창업자는 천웨이량(陈维良)으로 미국의 반도체 기업인 AMD 출신이다. 천웨이량은 AMD에서 그래픽 IP 개발 선임 연구원을 지냈다. 이 밖에도 여러 명의 AMD 출신 인사들이 무시집적회로를 창업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회사는 이기종 컴
중국의 지난해 경제성장률이 전년 대비 5% 성장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중국 국가통계국은 17일 2024년 국내총생산(GDP)가 134조98400만 위안(한화 약 2경6768조 6770억원)이라고 고시했다. 이는 전년 대비 5% 성장한 것이다. 성장률 5%는 연초 밝힌 목표치 '5% 내외'에 부합한다. 분기별로는 지난해 1분기 5.3%, 2분기 4.7%, 3분기 4.6%, 4분기 5.4%였다고 국가통계국은 부연했다. 중국 경제는 지난해 1분기 이후 매분기 성장률이 감소, 당초 목표치인 '5%내외' 달성이 쉽지 않다는 분위기였다. 하지만 4분기 대대적인 경기부양에 나서면서 4분기 성장률이 5.4%를 기록, 연간 5%를 찍은 것으로 보인다. 실제 소매 판매가 늘었다. 지난해 중국 연간 소매판매는 전년 대비 3.5% 증가했고, 4분기는 전년 동기 대비 3.7% 늘었다. 각종 보조금 지급 등 중국 당국의 경기 부양책이 소매판매를 견인했다는 분석이다. 지난해 연간 소매판매액은 48조7895억 위안이다. 경기 부양책은 산업생산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연간 산업생산은 전년 대비 5.8% 증가했다. 분야별로는 광업이 3.1%, 제조업 6.1%, 에너지부문 5.3% 증가
지난해 중국 토종 브랜드의 소매 판매 비중이 60%를 넘어설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전기차 등 신에너지차(친환경차) 판매가 급증하면서 중국 토종 브랜드의 점유율이 사상 최대를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16일 제일재경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 1위 신에너지차 업체 비야디(BYD)가 3년 연속 매출 1위에 올라섰다. 지난해 BYD의 판매 대수(소매 기준)는 모두 371만8281대를 기록했다. 이는 전년 270만6075대보다 101만2206대 늘어난 것이다. 지난해 소매 판매 기준 BYD의 점유율은 16.2%에 달한다. 지난해 잠정 집계된 상위 10개사의 신에너지차 판매 대수는 모두 1405만1077대다. 중국승용차협회(CPCA)가 집계한 업체별 판매 대수는 BYD가 371만8281대로 독보적인 1위를 차지했고, 지리차 177만3251대로 2위에 올랐다. 1위와 2위의 격차는 무려 194만5030대다. 그 다음은 FAW 폭스바겐(160만8578대), 장안차(136만5745대), 체리차(133만5205대), 상하이폭스바겐(120만대), 상하이GM 우링(82만4681대), 이치도요타(79만8087대), 광저우도요타(77만147대), 테슬라차이나(65만71
중국의 반도체 업체인 제리팡(杰立方)반도체가 홍콩에 반도체 공장을 건설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제리팡반도체는 홍콩공업총회(FHKI)와 반도체 공장 건설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중국 반도체산업망이 16일 전했다. 홍콩공업총회는 제리팡이 홍콩에 건설할 반도체 공장에 강한 지원을 펼치기로 했다. 홍콩공업총회는 공장 프로젝트의 신속한 착공과 양산 작업을 위해 공동으로 협력 작업을 벌여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제리팡은 상하이에 본사를 둔 반도체 업체다. 2021년 설립됐으며 자동차용 반도체를 주요 사업으로 하고 있다. 제리팡은 65억 위안(한화 약 1조2000억원)을 투자해 홍콩에 8인치 웨이퍼 공장을 건설한다는 방침이다. 올해 공장을 기공하며, 2026년에 정식 가동한다는 방침이다. 생산이 시작되면 연간 24만장의 반도체 웨이퍼를 생산할 수 있다. 이는 연간 150만대의 신에너지 차량 생산에 필요한 반도체를 공급할 수 있는 규모다. 연간 매출액은 100억위안(2조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제리팡은 "이 프로젝트는 홍콩의 산업 고도화와 함께 웨강아오(粤港澳, 광둥, 마카오, 홍콩) 대만구(大湾区)의 첨단 기술 발전을 촉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쭈융시(
중국 당국이 내수활성화 차원에서 가전과 스마트폰 등에 대해 보조금을 지급한다. 15일 펑파이신문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상무부는 가전제품 구입 보조금으로 최대 2000위안(한화 약 40만원), 스마트폰 구입 보조금은 최대 500위안(한화 약 10만원)으로 책정했다. 중국 상무부는 이 같은 보조금 지원 정책이 오는 20일부터 적용된다고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했다. 중국 정부는 지난해 자동차(친환경차)와 가전에 '이구환신(낡은 것을 새 것으로 바꾸는 것)'이라는 명분을 만들어 보조금을 지원했다. 올해는 스마트폰까지 지원, 경기 부양에 나선다. 스마트폰외 태블릿과 스마트워치(팔찌)도 보조금 대상이다.<본지 1월6일자 '경기부양에 진심인 中, 휴대폰, 태블릿, 스마트워치에도 보조금' 참조> 이에 따라 성장세가 주춤했던 스마트폰의 판매가 올해 크게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중국 브랜드와 함께 해외 브랜드도 보조금을 받을 수 있어 아이폰 등 가격대가 높은 해외 브랜드 판매도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상무부의 '휴대폰, 태블릿, 스마트워치(팔찌) 신규 구매 보조금 실시 계획'에 따르면 스마트폰 등 디지털 제품(개당 판매 가격 6000위안 초과하
중국의 낸드 플래시 메모리 벤처기업인 즈쉰촹신(至讯创新)이 중소용량 메모리를 양산하기 시작했다고 중국 IT 전문 매체인 재커(ZAKER)가 15일 전했다. 즈쉰촹신은 최근 512Mb에서 4Gb까지의 용량을 지닌 SLC(싱글레벨셀) 낸드 플래시 메모리 시리즈 양산을 시작했다. 정확한 양산 시점이나 양산 규모는 공개되지 않았다. 또 팹리스(반도체 설계 전문업체)인 즈쉰촹신이 어떤 파운드리(반도체 외주 제작) 업체에 제조 위탁을 맡겼는지도 알려지지 않았다. 즈쉰촹신이 생산하는 낸드 메모리 제품들은 소비자 전자, IoT(사물인터넷), 감시카메라, 산업 컨트롤 장비, 자동차용 전자제품 등의 용도로 사용될 예정이다. 즈쉰촹신은 해당 제품들을 19nm(나노미터) 공정으로 제조하고 있다. 주류 직렬 인터페이스를 채택해 거의 대부분의 메모리 환경에 사용이 가능하다는 것이 회사 측의 설명이다. 회사 측은 "해당 제품들은 중국 내에서는 처음으로 개발에 성공한 중소용량 고신뢰성 2D 낸드 칩"이라고 설명했다. 회사 측은 제품들의 가장 큰 강점으로 가성비를 내세우고 있다. 회사 측은 "중국내 경쟁 제품을 훨씬 능가하는 성능을 지니고 있다"라고 강조하고 있다. 즈쉰촹신은 MLC(멀티
지난해 중국이 수입한 반도체 수입액이 원유보다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중국이 지난해 수입한 반도체 총액이 3850억 달러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중국 반도체 전문지인 반다오티항예관차(半导体行业观察)가 중국 해관총서의 자료를 인용해 14일 전했다. 지난해 중국의 반도체 수입액은 전년 대비 10.4% 증가했다. 이는 지난해 중국의 원유 수입액인 3250억달러를 뛰어넘는 수치다. 반도체 수입 총량은 5492억개로 전년 대비 14.6% 증가했다. 미국의 대중국 반도체 제재가 강화되자 중국 수입업자들이 불안감에 선구매한 것이 원인으로 지목됐다. 중국은 여전히 첨단 반도체를 제조하는 장비와 노하우가 부족하며, 특히 7나노(nm) 이하 공정을 갖춘 공장이 부족한 상황이다. 중국 기업들은 성숙공정 반도체 라인을 대대적으로 증설하고 있다. 이들 칩은 TV와 세탁기 등 가전제품에 주로 사용된다. 때문에 중국은 첨단공정으로 제조된 반도체를 대거 수입한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해 중국의 반도체 수출액은 수입액의 절반에 못 미치는 1595억달러였다. 이는 전년 대비 17.4% 증가한 수치다. 반도체 수출액은 스마트폰 수출액인 1343억달러를 넘어서 수출액이 가장 높은 단일 품목이 됐다.
올해 중국 자동차 시장이 전년 대비 4.7% 성장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이는 올해 중국 자동차 판매량이 3230만대에 이를 것이라는 뜻이다. 또 수출은 620만대에 달할 것으로 전망됐다. 14일 중국자동차공업협회(CAAM)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 자동차 생산과 판매가 각각 3128만2000대와 3143만6000대로 잠정 집계됐다. 이는 전년 대비 각각 3.7%와 4.5% 늘어난 것이다. 중국 매체 펑파이신문은 CAAM의 통계를 인용, 지난해 중국 자동차 생산과 판매가 안정적으로 유지, 연간 3000만대 이상의 규모를 유지했다고 분석했다. 전체 생산과 판매 대수 가운데 승용차의 누적 생산과 판매는 각각 2747만7000대와 2756만3000대였다. 전년 대비 각각 5.2%와 5.8% 늘었다. 특히 지난해 신에너지차(친환경차)의 생산과 판매는 1288만8000대와 1286만6000대로 전년 대비 각각 34.4%와 35.5% 급증했다. 신에너지차의 보급률은 40.9%라고 CAAM 측은 부연했다. CAAM 측은 신에너지차(승용 및 상용) 생산과 판매는 10년 연속 세계 1위를 차지했다고 덧붙였다. CAAM 측은 지난해 상반기 자동차 생산과 판매가 전반적으로 부진
세계 3위, 중국 1위 반도체 후공정업체인 창뎬커지(长电科技, JCET)가 미국 반도체 기업 샌디스크의 중국법인을 인수하는 작업이 중국 당국으로부터 최종 허가를 받았다. 창뎬커지는 회사가 성뎨(晟碟) 반도체를 인수하는 안과 관련해 중국의 국가시장감독관리총국이 발행한 '사업자 반독점 심사작업이 인수 금지를 부여하지 않는 결정서'를 취득했다고 중국전자보가 13일 전했다. 창뎬커지는 또 해당 인수 안에 대해 상하이시 민항(闵行)구 구정부 산하 자연자원국의 동의를 받았다. 이로써 창뎬커지의 성뎨반도체 인수와 관련된 모든 정부 행정절차가 마무리됐다. 그동안 창뎬커지의 성뎨반도체 인수 안과 관련해 시장 독점에 대한 우려가 제기돼 왔었지만, 이번 행정절차 마무리로 이같은 우려는 일소됐으며, 인수 안의 모든 절차가 마무리됐다. 성뎨반도체는 메모리반도체 업체인 샌디스크의 중국 자회사 법인이다. 샌디스크는 미국의 웨스턴디지털이 2016년 인수한 바 있다. 샌디스크는 플래시메모리 제품을 생산하는 업체로, 메모리카드, USB, 플래시 드라이브 등의 제품군을 보유하고 있다. 성뎨반도체는 샌디스크가 제작한 메모리 제품의 패키징 및 테스트 업무를 담당해 왔다. 성뎨반도체는 2006년
중국 통화당국이 국제 융자 관련 매개변수를 전격 조정했다. 13일 펑파이신문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인민은행과 외환관리국은 기업과 금융기관의 ‘국제 융자 거시건전성 조정 매개변수(이하 매개변수)’를 1.50에서 1.75로 높였다. 변경된 매개변수는 이날부터 적용된다. 매개변수는 중국 내 기업의 해외 자금 조달을 편리화하고 실물 경제의 융자 원가를 경감하기 위해 제정한 융자 원활화 수단이다. 국경 간 자금조달 위험가중균형 상한을 높이게 되면 금융기관 및 기업이 해외로부터 자금을 조달할 수 있는 공간을 확대할 수 있다. 이는 외화 유동성이 늘어나 외환시장의 안정을 꾀할 수 있다. 이번 매개변수 상향 조정은 위안화 환율 안정을 위한 조치로 해석된다. 중국 내 미 달러 유동성이 늘어나면서 위안화의 평가절하 압력이 완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왕칭 동방금성 수석 애널리스트는 "매개변수가 상향되면 기업과 금융기관의 국경간 달러 유통이 증가한다"면서 위안화 환율을 안정시키겠다는 명확한 정책적 신호"라고 매개변수 상향 조정의 배경을 설명했다. 인민은행은 지난 2020년 3월 달러 대비 7위안 돌파를 눈앞에 둔 시점에 매개변수를 1에서 1.25로 상향조정한 바 있다. 또 지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