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주요 은행들이 예금금리를 인하한다. 예금 금리 인하는 지난 6월과 9월에 이어 올해 들어 3번째다. 중국 기준금리 격인 대출우대금리(LPR)가 4월째 동결됐지만 소비 진작 차원에서 중국 시중은행들이 예금 금리를 인하하는 것으로 보인다. 22일 펑파이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공상은행과 중국은행, 중국건설은행 등 시중은행들이 이날부터 예금 금리를 인하한다. 공상은행은 1년 미만 정기 예금 금리를 0.1%포인트 인하하며, 2년 만기 예금은 0.2%포인트, 3년 만기 및 5년 만기 예금은 0.25%포인트씩 인하한다. 펑파이 등 중국 매체들은 여타 국영 은행의 예금 금리도 인하되며, 주식제 은행(시중은행 및 합작은행)도 예금 금리를 인하한다고 전했다. 공상은행은 이번 '위안화 저축예금 금리 조정'에 대해 실물경제의 지속 가능성을 제고하기 위해 12월 22일부로 예금 금리를 인하한다고 설명했다. 공상은행의 경우 지난 6월 3년 만기 예금과 5년 만기 예금 금리가 각각 15bp 인하된 바 있다. 또 지난 9월에는 각각 25bp 인하했다. 이에 따라 공상은행 3년 만기 및 5년 만기 예금 금리는 올해에만 모두 65bp(0.65%) 인하됐다. 22일 현재 3년 만기
올해 중국 전기자동차 등 신에너지차 소매 판매가 775대에 달할 것으로 집계됐다. 22일 중국승용차협회(CPCA)가 집계한 12월 중국 신에너지차 판매 대수는 약 94만대로 전년 동월 대비 46.6% 증가했다. 전월 대비로는 11.8% 증가해 중국 전기차 업체의 대대적인 할인 행사가 판매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연간 중국 신에너지차 판매 대수는 전년 대비 36.5% 증가한 775만대로 추정됐다. 올해 중국 신에너지차 보급률(신차 판매 대비 신에너지차 판매 대수)은 전년보다 8%포인트 상승한 35.8%에 달할 것으로 CPCA는 예상했다. 775만대가 소매 기준인 점을 감안하면, 도매 기준 판매는 800만대를 훌쩍 넘을 것으로 전망된다. CPCA는 12월 한 달간 중국 자동차 전체 소매판매 대수는 전년 동월 대비 4.8% 늘어난 약 227만대로 추산했다. CPCA는 12월 첫째 주 주요 제조사의 일 평균 소매 판매 승용차 대수는 4만7500대로 집계했고, 둘째 주는 6만6800대, 셋째 주는 7만5700대로 계산했다. 12월 마지막째 주는 일 평균 11만4300대가 될 것으로 예상, 12월 한달 간 227만대의 승용차 판매가 예상된다고 전했다.
뉴욕증시가 하루 만에 반등에 성공했다. 3분기 미국 국내총생산(GDP) 확정치가 전년 대비 4.9% 성장한 것으로 최종 집계돼 연착륙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다. 이날 뉴욕증시 3대 지수는 1% 넘게 상승, 산타 랠리가 아직 끝나지 않았음을 확인하려는 매수가 장 후반 강하게 들어왔다. 21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 3지수는 전장보다 0.87% 상승한 3만7404.35에 장을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지수는 전장보다 1.03% 오른 4746.75에 거래를 마쳤다.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1.26% 뛴 1만4963.87을 나타내 다시 1만5000선 돌파를 시도했다. 빅7 종목 가운데 애플을 제외한 6개 종목이 모두 상승했다. 특히 마이크론테크놀러지의 깜짝 분기 실적 공개에 힘입어 8.63% 올랐다. 이로 인해 반도체 종목들이 이날 강세를 보였다. AMD가 전장 대비 3.28% 상승했고, 인텔은 2.88% 뛰었다. 브로드컴과 퀄컴은 각각 1.52%와 1.42% 상승하며 장을 끝냈다. 시장의 내년 3월 기준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은 여전했다. 금리 선물 시장에서 내년 3월 금리 인하 가능성은 82.9%를 나타냈다. 국제유가는 앙골라의
중국의 대형 팹리스(반도체 설계 전문회사) 업체인 윌(Will)세미컨덕트(웨이얼반도체, 韋爾)가 3분기 글로벌 팹리스 9위를 유지했다고 중국 IT전문매체 신원루1호(芯聞路1号)가 21일 전했다. 시장조사기관 트렌드포스가 20일 발표한 올해 3분기 팹리스 매출액 순위에서 윌세미는 매출액 7억5200만 달러로 9위에 올랐다. 윌세미는 올해 1분기부터 글로벌 9위를 유지하고 있다. 윌세미의 3분기 매출액은 2분기에 비해 42.3% 증가했다. 팹리스 순위 1위는 165억 달러를 기록한 엔비디아였으며, 2위는 73억달러를 기록한 퀄컴이 차지했다. 그 다음은 브로드컴(71억 달러), AMD(58억 달러), 미디어텍(34억 달러), 마블(13억달러), 노바텍(9억 달러), 리얼텍(8억 달러), 사이러스로직(4억 달러, 10위) 등의 순이었다. 미디어텍과 노바텍, 리얼텍 등 3곳이 대만 업체였으며, 나머지 6곳 업체는 미국 업체였다. 윌세미의 경우 화웨이와 샤오미 등 중국의 스마트폰이 지난 3분기 매출 호조를 보인데 힘입어 매출이 동반상승했다. 윌세미는 이미지칩을 전문적으로 제조하는 기업이다. 중국 저상(浙商)증권은 지난 19일 윌세미를 주제로 한 보고서를 발표하면서 중장
올해 유럽연합(EU) 신에너지자동차(전기차, 하이브리드, 플러그인하이브리드) 판매량이 신규 승용차 등록의 절반 가량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성장세가 둔화되고 있어 향후 신에너지차 판매량이 중국과 미국 등 주요 신에너지차 소비국에 비해 떨어질 것으로 보인다. 중국 매체 차이롄서는 유럽자동차공업협회(ACEA)의 통계를 인용, 올해 1월부터 11월까지 EU 전체 승용차 신규 등록의 47.6%가 신에너지차라고 21일 전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43%보다 4.6%포인트 늘어난 것이다. 또 11월 한달 간 EU 전체 승용차 등록의 51.8%가 신에너지차였다고 차이롄서는 설명했다.이 가운데 전기차 등록은 전년 동월 대비 13.3% 증가했고, 휘발유차 등록은 4.2% 증가했다. 반면 디젤차 등록은 10.3% 감소했다. EU 지역 주력 유종이 디젤인 점을 감안하면 디젤 수요가 전기차 등 신에너지차로 옮겨간 것으로 보인다. 11월 전기차 등록 대수는 전년 동월 대비 16.4% 늘어난 14만4378대였다. 국가별로는 벨기에가 전년 동월 대비 무려 150.2% 증가했고, 유럽 최대 전기차 시장인 독일은 전년 대비 22.5% 감소한 4만4942대에 그쳤다. 차이롄서는
뉴욕증시 3대 지수가 1% 넘게 하락했다. 그간 상승에 따른 차익 실현 매물이 나오면서 상승을 멈춘 것으로 보인다. 20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 지수는 전장 보다 1.27% 하락한 3만7082.00에 거래를 마쳤다. 다우 지수는 전장까지 8거래일 연속 상승한 바 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지수와 나스닥 지수도 전장 대비 각각 1.47%와 1.50% 떨어진 각각 4698.35와 1만4777.94로 장을 마감했다. 개장과 함께 상승세를 이어 가던 뉴욕 증시는 오후 들어 하락세로 반전, 매도 물량이 나오면서 그간의 상승세를 마감했다. 빅7 종목 가운데 알파벳을 제외한 6개 종목이 하락하면서 나스닥 지수는 하루 만에 1만5000선을 내줬다. 이날 뉴욕 하락은 펀더멘털보다 기술적인 측면에서 하락했다는 진단이 지배적이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가 기준금리 인하에 즉각 나서지는 않을 것이라는 언급도 나와 투자 분위기를 냉각시켰다. 패트릭 하커 미국 필라델피아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는 "연준이 금리를 더 인상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한다"면서도 "인플레이션과의 싸움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금리 선물 시장에서 내년 3월 금리
중국 광둥(廣東)성이 광둥성 반도체산업 투자기금 2기를 설립했다고 중국 커촹반(科創板)일보가 20일 전했다. 투자기금 2기에는 광둥성 산하 국영 자산운용사인 웨차이(粵財)투자홀딩스를 비롯해 둥관(東莞)시 신흥전략성산업투자파트너와 중산(中山)시 산업투자기금, 광둥웨차이(粵財)기금관리유한공사 등이 출자했다. 현재 투자기금 2기의 규모는 110억100만위안(한화 2조원)이다. 웨차이투자홀딩스가 투자금의 90% 이상을 출자했다. 이 기금의 투자운용사(GP)는 광둥성웨차이기금관리유한회사가 맡았다. 이에 앞서 광둥반도체산업투자기금 1기는 지난 2020년 9월에 설립됐으며, 투자규모는 200억 위안이었다. 웨차이홀딩스에 따르면 광둥성 반도체투자기금 총규모는 500억 위안에 달할 것으로 알려졌다. 진성훙(金聖宏) 웨차이홀딩스 회장은 지난 4월 투자기금 2기의 규모는 300억 위안에 달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때문에 시장에서는 추가적인 투자자가 모집될 것이라는 예상을 내놓고 있다. 광둥성투자기금 1기는 12개 회사에 직접 투자했다. 신쥐넝(芯聚能), 웨신(粤芯)반도체, 즈청(志橙)반도체, 다푸(大普)통신, 루이스촹신(銳石創芯), 신루이광옌모(新銳光掩模) 등이 투자에 참여
중국 자동차 전문 매체가 현대자동차의 러시아 공장 매각 소식을 전하면서 중국 자동차 브랜드가 그 빈자리를 대신하고 있다고 전했다. 중국 자동차 전문 포털 사이트 치처즈지아는 현대차의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러시아 공장(HMMR) 매각 소식을 20일 보도했다. 현대차는 19일 임시 이사회를 열고 HMMR과 제너럴모터스(GM) 상트페테르부르크 공장 매각을 승인했다. 현대차는 향후 2년 이내 공장을 되살 수 있는 바이백 조건으로 러시아 현지업체 아트파이낸스에 공장을 매각했다. 이와 관련 치처즈지아는 '현대차, 러시아 공장 매각으로 2억1900만 달러 손실'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현대차가 러시아 공장을 7000루블(551위안, 77.67달러)에 매각한다고 전했다. 하지만 이번 러시아 공장 매각으로 현대차는 한국 돈 2870억원(15억6000만 위안)의 손실이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치처즈지아는 미국과 동맹관계인 한국은 러시아·우크라이나 분쟁(전쟁)에서 우크라이나 측에 서 있다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현대차는 일본 등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과 함께 러시아가 서방으로부터 제재를 받자 러시아 사업을 중단했다고 설명했다. 현대차는 지난 2022년 3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이 4개월 연속 기준금리를 동결했다. 인민은행은 20일 1년물 대출우대금리(LPR)을 종전과 같은 3.45%로 집계했다. 부동산 담보 대출과 관련이 짙은 5년물 LPR도 4.20%로 유지했다. 5년물은 6개월 연속 동결 상태다. 앞서 인민은행은 15일 1년물 LPR을 산정하는데 기반으로 하는 중기 유동성 지원창구(MLF) 1년물 금리를 2.50%로 유지한 바 있다. MLF는 7일짜리 역환매조건부채권(역RP)과 더불어 인민은행이 시중 유동성을 조절하는 정책 수단이다. 인민은행은 MLF를 통해 사실상 기준금리 역할을 하는 LPR를 조절한다. 중국 11월 산업생산 및 소매판매 수치도 LPR 동결에 힘을 보탰다. 11월 중국 소매판매와 산업생산은 전년 동월 대비 각각 10.1%와 6.6% 증가했다. 지난해 11월은 중국의 '제로(0) 코로나' 정책 기조가 극에 달한 시기였다. 기저효과가 작용했지만 소매판매 두자릿 수 성장은 중국 경제가 회복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무엇보다 소비자물가지수(CPI)가 다시 마이너스를 보이고 있는 점을 감안, LPR 동결이 예상됐었다. 이와 함께 12월 말까지 5000억 위안의 국채가 발행, 시중에 자금이 풀리는 점
중국이 7개월 연속 미국 국채를 줄였다. 중국 시나재경은 10월 미국 재무부의 국제자본흐름보고서(TIC)를 인용, 10월 중국의 미 국채 보유액은 전월보다 85억 달러 감소한 7796억 달러로 집계됐다고 20일 전했다. 중국의 미 국채 보유액은 지난해 4월 1조 달러 아래로 떨어진 이후 매월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중국은 지난해 8월부터 지난 2월까지 7개월 연속 미국 국채 보유액을 줄인 바 있다. 이후 4월부터 7개월 연속 미국 국채 보유액을 줄이고 있다. 지난해 말 기준 중국이 올해 줄인 미 국채는 656억 달러(한화 85조2000억원)에 달한다. 반면 세계 1위 미 국채 보유국인 일본은 10월 1조982억 달러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월보다 118억 달러 늘어난 금액이다. 10월 기준 미국 상위 10위 해외 채권국 가운데 일본과 영국, 아일랜드, 캐나다, 프랑스는 매 채권 보유액을 늘렸고, 중국과 룩셈부르크, 벨기에, 스위스는 보유액이 감소했다. 중국 일각에선 미국 채권 보유액을 축소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어 중국이 의도적으로 미국 채권을 줄이고 있는 것이 아니냐라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실제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 통화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