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신에너지자동차 1위 업체인 비야디(BYD)의 첫 초대형 자동차 전용 운반선이 최종 인도됐다. 11일 중국 매체 동방재부망 등에 따르면 광저우조선소는 한번에 차량 7000대를 운반할 수 있는 자동차 운반선을 건조, 산둥성 옌타이 인근에서 시운전을 마쳤다. 익스플로러 1호로 명명된 이 자동차 운반선은 지난해 12월 28일 BYD에 인도됐으며, 그동안 시운전을 했다고 중국 매체들은 전했다. 이 선박의 총 길이 199.9m, 폭 38m, 설계 속도 18.5노트이며, 액화천연가스(LNG)와 벙커C유를 모두 사용하는 이중연료 추진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고 중국 매체들은 설명했다. BYD는 이 선박을 임대, 자사 자동차 수출에 사용할 계획이라고 중국 매체들은 전했다. BYD는 익스플로러 1회 이외에 한 척을 올해 더 인도받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자동차 운반선의 첫 목적지는 유럽인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이번 자동차 운반선과 관련 중국 매체들은 BYD의 '독립 운송 시대'의 시작을 의미한다면서 자동차 운반선은 BYD의 해외 수출 확대를 지원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지난해 BYD 신에너지차 수출 물량은 전년 대비 무려 334.2% 급증한 24만2800대다. 올해 수출 물
중국이 전기자동차 등 신에너지차 글로벌 판매량의 60%를 차지할 것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상하이증권보는 장융웨이 '중국 전기자동차 100인회' 비서장의 말을 인용, 올해 글로벌 신에너지차 판매가 2000만대 돌파할 것이며, 이중 60%가 중국산 신에너지차가 될 것이라고 11일 전했다. 장 비서장은 2024년 글로벌 신에너지차 시장에서 중국의 위상이 더욱 높아질 것이라며 중국이 글로벌 신에너지차 산업의 풍향계가 될 것이라며 이같이 전망했다. 중국자동차협회(CAAM)는 올해 중국 전체 자동차 판매량 3100만대(도매 기준)중 1150만대가 신에너지차가 될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다. 쉬하이둥 CAAM 부총공정사는 "중국 자동차 시장이 3000만대 규모 시대에 진입할 것"이라며 중국 경제가 점차 회복, 신에너지차 등 중국 자동차 수요가 꾸준히 성장할 것"이라고 말했다. 천리란 톈진대 자동차개발연구센터장은 "올해 중국 신에너지차 시장이 급속도로 성장할 것"이라며 "하이브리드차와 순수 전기차가 시장을 양분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상하이,지리와 동풍, 치루이자동차 등 중국 자체 브랜드의 성장에 대한 기대감도 점점 커지고 있다. 하오훙 상하이차 마케팅 및 브랜드 관리 담당
지난해 12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를 하루 앞두고 뉴욕증시가 소폭 상승했다. 10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 지수는 전장보다 0.45% 오른 3만7695.73으로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지수는 전장보다 0.57% 오른 4783.45로 장을 마쳤다.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0.75% 상승한 1만4969.65로 장을 마감했다. 나스닥 지수는 거래일 기준 나흘 연속 상승, 1만5000선 회복을 눈앞에 뒀다. 시장은 12월 미국 CPI가 전년 동월 대비 3.2% 상승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시장의 예상대로 CPI가 나온다면 연방준비제도(연준)의 기준금리 인하 시점이 다소 늦어질 수도 있다. 시장에선 오는 3월 기준금리 인하가 시작될 것이라는 전망에 점점 낮아지고 있다. 실제 이날 연방기금(FF) 금리 선물 시장에서 오는 3월 금리 인하 가능성은 67.6%를 기록했다. 전날 63.8%에서 소폭 오르긴 했지만 지난해 연말 80% 이상이었던 점을 감안하면 금리 인하 기대감이 떨어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점도표상의 금리(3.75~4.00%)와 현재 금리(5.25%~5.5%)를 비교하면 올해 0.25%포인트씩 모두 6
중국 지리자동차 산하 반도체업체인 징넝웨이(晶能微)전자가 저장성 자싱(嘉興)시에 전력반도체 생산기지를 착공했다고 중국 전자공정보(EET)가 10일 전했다. 공장건설에 50억1700만위안(한화 9181억원)이 투자된다. 공장건설은 2단계로 진행되며 1단계 공장이 우선 착공됐다. 1단계 공정으로 6인치 FRD(패스트 리커버리 다이오드) 웨이퍼 제조공정과 하프 브리지 모듈공정이 건설된다. FRD는 전기자동차용 전력반도체의 일종이다. 총 투자액은 21억3000만위안이다. 이 공장은 연간 48만장의 6인치 FRD웨이퍼를 생산하게 된다. 또 하프 브리지 모듈은 연간 60만세트를 생산한다. 1단계 공정은 올해 4분기에 완공될 예정이다. 2단계 공정에 대한 계획은 공개되지 않았다. 이에 앞서 징넝웨이는 지난해 9월 탄화수소(실리콘 카바이드, SiC) 하프 브리지 모듈을 시범생산하는데 성공했다. 해당 모듈은 전기설계가 우수하며, 고출력과 고신뢰성을 달성해 신에너지차에 장착할 수 있다는 게 회사측의 설명이다. 최대 10개의 탄화수소 칩을 병렬로 연결해 다양한 신에너지차종에 적용될 수 있다. 징넝웨이가 이번에 착공한 자싱공장은 저장성 항저우(杭州) 모듈공장, 저장성 타이저우(台
지난해 중국에서 판매된 전기자동차 등 신에너지차 대수가 모두 886만4000대(도매기준)로 집계됐다. 이는 잠정치 889만5000대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은 수치다. 소매기준으로 전년 대비 36.2% 급증한 773만6000대가 판매됐다. 특히 지난해 중국 승용차 수출은 514만7000대를 기록, 중국이 일본을 제치고 연간 기준 승용차 수출 1위국 자리에 꿰찼다. 중국의 승용차 수출 1위국 지위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10일 중국승용차협회(CPCA)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한 달간 판매된 승용차 판매 대수(소매기준)는 전년 대비 13.1% 늘어난 235만3000대다. 이에 따라 연간 승용차 판매 매수는 전년대비 5.6% 늘어난 2169만9000대로 집계됐다. 도매기준 승용차 판매 대수는 전년 대비 10.2% 증가한 2553만1000대로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신에너지차의 경우 12월 한 달간 94만5000대가 판매, 전년 동월 대비 무려 47.3% 늘었다. 연간 신에너지차 판매 대수는 773만6000대로 전년 대비 36.2% 증가했다. 이에 따라 지난해 연간 기준 중국 신에너지차 소매기준 보급률은 전년 대비 8.1%포인트 증가한 35.7%로 나타났다.
올해 중국 경제성장률이 5.3%에 이를 것이라는 예측이 나왔다. 또 중국 경제가 '전저후고(前低後高)' 흐름을 보인 것이라는 분석도 제기됐다. 중국과학원 예측과학연구센터는 전날 '2024 중국 경제 전망 발표회' 및 '중국 경제 포럼'을 통해 올해 중국 국내총생산(GDP)가 전년 대비 약 5.3%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고 중국 매체 펑파이가 10일 전했다. 중국과학원은 올해 중국 경제가 1분기 5.0%, 2분기 5.3%, 3분기 5.5%, 4분기 5.4% 등 전저후고 추세를 보일 것이라고 예상했다. 중국과학원은 2024년 중국 무역 여건에 대해 상품 교역의 하방위험이 커 중국 수출의 불확실성이 높아질 수 있고, 미국에 대한 수입의존도가 낮아지고 있다는 점을 우려했다. 다만 신에너지차 수출과 중간재 수출이 늘어나 중국 수출 회복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중국과학원은 중국의 소비 행태 변화에 대해서도 분석했다. 중국 노인인구 증가에 따른 노동력 감소, 노인 부양 기능 약화 등을 우려했다. 이어 중국과학원은 인구 구조적 변화에 따른 소비자 심리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면서 대가족 중심의 소비에서 소가족 중심의 소비로 빠르게 전환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중국과학
뉴욕증시가 반등 하루 만에 혼조세로 돌아섰다. 지난해 12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 결과에 촉각을 곤두세우는 모습니다. 오는 3월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이 약화된 상태에서 CPI 상승률이 기대치보다 높을 수 있다는 불안감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9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 지수는 전장보다 0.42% 떨어진 3만7525.16으로 장을 마쳤다. 다우 지수는 장중 한대 3% 가까이 급락했지만 장 마감 무렵 반발 매수가 유입되면서 낙폭을 줄였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지수는 장중 0.7%까지 하락했지만 막판 낙폭을 좁혀 전장보다 0.15% 밀린 4756.50으로 마감했다. 나스닥 지수는 장중 1% 가까이 하락했지만 장 막판 상승, 전장보다 0.09% 오른 1만4857.71로 거래를 마쳤다. 이번 주 뉴욕증시의 최대 관심사는 역시 CPI다. CPI 결과에 따라 오는 3월 기준금리 향방을 가늠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12월 미국 CPI는 전월보다 상승했을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금리 인하 조치 시기가 지연될 수 있다는 의미다. 이미 시장에서 기대치가 크게 낮아지고 있다. 연방기금(FF) 금리 선물 시장에서 3월 금리 인하 가능성
중국 신에너지차 기업과 배터리 제조업체 간 상생 협력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9일 중국 매체 펑파이 등에 따르면 체리(치루이)자동차와 궈쉬안 하이텍 파워 에너지(이하 귀쉬안 하이텍)은 신에너지차 시장을 공동으로 개척한다는 내용의 전략적 제휴를 맺었다. 양사는 전략적 제휴에 따라 앞으로 배터리 플랫폼화, 배터리 안정성, 배터리 빅테이터 활용 등을 함께 연구하기로 했다. 양사는 체리자동차의 승용차와 버스, 트럭 및 기타 차량 프로젝트를 공동 수행하게 된다고 펑파이 등 중국 매체들은 전했다. 자동차 분야 뿐만 아니라 에너지저장장치(ESS)와 전기선박 등 신사업 분야에서도 혁신적인 비즈니스 모델을 공동 발굴, 국제 시장에서 경쟁우위를 확보하기로 했다. 궈쉬안 하이텍은 궈시안 가오커의 완전 자회사로 차량용 배터리를 생산하는 기업이다. 궈쉬안 하이텍은 지난해 상반기 기준 체리자동차에 0.68GWh 규모의 차량용 배터리를 공급한 바 있다. 중국자동차배터리산업혁신연맹에 따르면 궈쉬안 하이텍은 지난해 1월부터 11월까지 모두 13.88GWh 배터리를 생산한 바 있다. 시장점유율은 4.52%로 중국 내 5위권이다. 체리자동차는 지난해 모두 188만1316대(잠정치)의 신에너
중국의 반도체 기업인 쩌스커지(ZETTASTONE)가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공장을 건설한다고 중국 IT 전문매체 지웨이왕(集微網)이 9일 전했다. 쩌스커지는 후베이(湖北)성 어저우(鄂州)시에 공장을 건설할 계획이며, 20억 위안(한화 3600억원)을 투자한다는 방침이다. 공장건설은 1단계와 2단계로 진행된다. 1단계 투자액은 10억 위안이며, SSD 모듈 생산기지를 건설한다. 생산규모는 연간 600만개다. 2단계 투자액은 10억위안이며, 플래시 메모리칩의 패키징 기지가 건설된다. 또한 이 공장은 연간 600만개의 메모리 컨트롤러 칩을 생산할 계획이다. 류양(劉楊) 쩌스커지 최고경영자(CEO)는 "회사는 자체개발한 SSD 컨트롤러 칩을 기반으로 한 3D 낸드 SSD를 개발하고 있다"며 "제품은 일반 소비자용과 기업용을 포괄한다"고 말했다. 쩌스커지는 현재 28나노 PCIe Gen3 컨트롤러 칩을 양산하고 있다. PCIe는 주변장치를 컴퓨터 시스템에 연결하기 위한 고속 시리얼 인터페이스를 뜻한다. 쩌스커지는 독자기술로 SSD 솔루션을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현재 PCIe Gen5 컨트롤러 칩을 개발하고 있다. 쩌스커지는 2017년 중국과학원 마이크로전
폭발적인 성장을 하고 있는 중국 전기자동차 등 신에너지차 시장이 내년이면 정리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지난해 중국 신에너지차 시장은 연간 판매 '900만대 육박'이라는 성장을 했다. 하지만 업체 간 가격경쟁으로 이익률이 떨어지는 어려움에 직면해 있는 것이 현실이다. 중국 내부에선 이미 2~3년 내 퇴출될 기업은 퇴출될 것이며, 경쟁력 있는 업체 10여 곳만이 살아남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중국 경제 전문 매체 제일재경은 리쉐융 중국 체리자동차 마케팅 담당 사장의 말을 인용, 올해 중국 신에너지차 시장의 대략적인 구도가 나올 것이며 내년이면 결말이 날 것이라고 9일 전했다. 리 사장은 "올해 신에너지차 시장은 지난해 보다 더 치열할 것"이라면서 순수 전기차 시장의 보다 더 큰 성장은 가격이 아닌 기술에 의해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리 사장은 중국 순수 전기차 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지만 하이브리드차와 기존 내연기관차가 당분간 동거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는 "앞으로 2~3년간 하이브리드차 40%, 순수 전기차 30%, 내연 기관차 30% 등 '4:3:3' 구도를 형성할 것"이며, 이 구도는 오는 2030년까지 이어질 것이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