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우존스 지수와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지수가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는 등 뉴욕증시 3대 지수가 일제히 상승했다. 미국 국채 발행 물량 부담감 감소와 대형 기술주 실적 기대감이 증시를 끌어올렸다. 29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 지수는 전장보다 0.59% 상승한 3만8333.45에 거래를 마쳤다. S&P 지수는 전장 대비 0.76% 오른 4927.93으로 장을 마감했다. 다우 지수와 S&P 지수 모두 사상 최고치를 넘어섰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도 역대 최고치인 1만6212.23을 향해 달려리고 있다. 이날 나스닥 지수는 전장 대비 1.12% 뛴 1만5628.04를 기록했다. 미 재무부의 올 1분기 국채 발행 규모가 7600억 달러로 알려지면서 증시 상승에 힘을 보탰다. 이는 당초 전망치보다 550억 달러 줄어든 규모다. 이는 미국 정부의 재정 상태가 우려했던 것보다 나쁘지 않다는 의미다. 여기에 이번주 발표 예정인 대형 기술주 실적이 양호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면서 증시가 일제히 상승 탄력을 받았다. 이날 빅7 종목 가운데 애플을 제외한 나머지 종목들이 1% 넘게 뛰었다. 엔비디아는 전장 대비 2.35% 상승 마감했고,
성메이(盛美)반도체장비(ACM상하이, 이하 성메이반도체)가 제 3자 배정 유상증자를 통해 45억 위안(한화 약 8325억원) 규모의 자금을 조달할 계획을 발표했다고 중국경제망이 29일 전했다. 유상증자 대상은 증권투자사, 증권사, 신탁회사, 자산관리사, 보험사, 해외 기관투자가 등 35곳이다. 모집된 자금 45억 위안 중 23억 위안은 '첨단 반도체 장비 연구개발(R&D) 프로젝트'에 투입되며, 13억 위안은 회사 운영자금으로 사용한다. 나머지 9억 위안은 'R&D 및 공정 테스트 플랫폼 프로젝트'에 사용할 예정이라고 성메이반도체 측은 설명했다. 첨단 반도체 장비 프로젝트는 관련된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구매하고, 상응하는 R&D 인력을 배치해 기존의 장비를 한단계 더 업그레이드하는 것이다. 회사측은 이를 통해 중국 시장은 물론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높이겠다는 방침이다. R&D 및 공정 테스트 플랫폼은 자체 보유한 공정테스트 기술을 바탕으로 필수적인 R&D 테스트 기기와 노광기, CMP(연마기), 이온주입기 등 외부 구매 장비를 결합시켜 R&D 및 테스트 능력을 높이고, 보다 완비된 테스트 시스템을 구죽하겠다는
중국 매체가 스위스 '2024 제네바 모터쇼(오토쇼)'에 전 세계 33개 업체만 참여했고, 이 가운데 유명 업체는 고작 5개에 불가하다고 보도했다. 제네바 모터쇼는 독일 프랑크푸르트 모터쇼(뮌헨)와 프랑스 파리 모터쇼, 미국 디트로이트 모터쇼, 일본 도쿄 모터쇼와 함께 전 세계 5대 모터쇼로 꼽히는 오토쇼다. 중국 경제 전문 매체 제일재경은 다음달 26일부터 3월 3일(현지시간)까지 제네바 모터쇼가 열린다고 29일 전했다. 이 매체는 독일 뮌헨과 도쿄 모터쇼 등 전 세계 유명 국제 오토쇼와 마찬가지로 제네바 모터쇼가 크게 축소됐다고 설명했다. 지난 27일 기준 제네바 모터쇼에 참여하는 유명 브랜드는 중국 비야디(BYD) 및 MG모터(SAIC 산하 브랜드), 프랑스 르노 및 르노 다시아, 미국 루시드 등 5개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이로 인해 여러 해외 언론들이 2024 제네바 모토쇼가 역사상 가장 초라한 모습으로 열린다고 보도하고 있다고 이 매체는 부연했다. 제네바 모터쇼는 지난 1924년 처음 열렸다. 올해가 100주년 되는 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토쇼 크기와 위상이 크게 축소됐다고 이 매체는 덧붙였다. 제일재경은 지난 2020년 코로나19 발병으로 제
올해 중국 전기자동차 등 신에너지차 판매가 1150만대에 달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는 가운데 중국 당국이 중고 자동차 시장을 활성화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노후 자동차를 신에너지차로 전환할 경우 폐차 지원금 등 다양한 지원대책이 나올 것으로 보인다. 중국 증권일보는 29일자 6면 톱기사로 '상무부, 노후 자동차 교환 장려, 중고차 시장 수혜'라는 제목의 기사를 게재했다. 왕원타오 중국 상무부 부장(장관)은 지난 26일 국무원 신문판공실이 주최한 기자회견에서 "올해 '소비 촉진의 해'를 맞아 자동차와 가전 등 노후 소비재를 바꿀 수 있는 다양한 정책을 마련 중"이라고 밝혔다. 그는 "상무부는 에너지(탄소) 배출이 낮은 제품을 장려할 것"이라며 "에너지 효율이 높은 제품의 소비가 늘어날 수 있도록 장려할 방침이며 이를 적극 계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증권일보는 상무부 방침으로 인해 전기차 등 신에너지차 판매가 더욱 늘어날 것이라고 설명했다. 지난해 말 기준 운행 중인 중국 자동차 대수는 약 3억4000만대로 추산되고 있다. 이 가운데 지난 2015년 전후 생산 및 판매된 자동차가 올해 지원 대상이 될 것이라고 부연했다. 선샹 싱화기금자동차연구원 연구원은
중국의 메모리반도체 팹리스(반도체 설계 전문업체)인 싱신춘추(興芯存儲)가 중국내 메모리반도체 업체와 공동으로 MRAM(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M램) 제품을 출시했다. M램은 낸드플래시 메모리와 같이 전원을 꺼도 데이터가 유지되는 메모리지만, D램 수준으로 속도가 빠른 특성을 지녀 차세대 메모리로 평가받고 있다. M램은 자성체 소자를 이용한 비휘발성 메모리로, 플래시 메모리 대비 구동 속도가 약 1000배 빠르고 전력 소모가 적은 특징이 있다. 싱신춘추는 중국내 굴지의 메모리반도체 업체 H사와 함께 지난해 12월말 40나노(nm) 4MB M램 제품을 공장에서 출고했다고 중국 IT매체 지웨이왕(集微網)이 26일 전했다. 매체는 H사의 기업명을 밝히지 않았다. 싱신춘추는 이번 제품 출고를 계기로, H사와 두번째 업무협약을 체결해 D램 리페어 제품을 공동 개발하기로 했다. 또한 싱신춘추는 또 다른 중국의 메모리업체와 함께 D램 입자 시장에 진입하기로 했다. 이는 싱신춘추가 메모리 분야에서 상당한 혁신능력과 경쟁력을 갖추고 있음을 반증한다고 매체는 평가했다. 특히 싱신춘추가 보유하고 있는 'D램 비트 바이 비트 리페어' 글로벌 특허는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이 지급준비율(RRR·지준율) 인하를 밝힌 가운데 중국 광둥성(省) 정부가 567억8100만 위안(한화 10조6000억원) 규모의 지방채권을 발행한다. 지준율 인하는 시중에 자금을 공급, 경기를 부양하겠다는 중국 통화당국의 강한 의지 표명이다. 여기에 지방 정부가 지방채 발행에 나서면서 재정 및 통화 정책 효과가 가시적인 성과를 거둘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26일 중국 증권일보 등에 따르면 광둥성은 오는 28일 총 567억8100만 위안의 신규 특별채권을 발행할 예정이다. 이번 채권은 광둥성이 올해 처음 발행하는 것이다. 올 1분기 중 계획된 지방채권 규모는 모두 1조7500억 위안(363조원)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 중 신규 채권은 1조400억 위안이며, 6726억 위안은 재융자채권(차환)이다. 나머지 1419억 위안(26조4500억원)은 숨겨진 부실채권으로 추정된다. 판뤄잉 중국은행연구원 연구원은 "1조 위안(186조4000억원) 규모의 국채 가운데 5000억 위안이 지난해 4분기 발행됐고, 올 1분기 나머지 5000억 위안이 발행 중"이라면서 "올 1분기 중국 인프라 프로젝트 활성에 큰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다우존스 지수가 다시 3만8000선을 돌파하는 등 매수세가 재유입됐다. 지난해 4분기 미국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가 전분기 상승보다 낮은 것으로 집계, 인플레이션 둔화가 확인됐다. 또 경기 연착륙에 대한 기대감이 작용, 뉴욕증시 3대 지수가 일제히 상승했다. 25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 지수는 전장보다 0.64% 상승한 3만8049.13으로 마감, 3만8000선을 재탈환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지수도 0.53% 오른 4894.16으로 거래가 마감됐다. S&P 지수는 거래일 기준 닷새째 사상 최고 기록을 갈아치웠다. 나스닥 지수는 엿새째 상승을 이어갔다. 나스닥 지수는 이날 전장 대비 0.18% 오른 1만5510.50으로 장을 마감했다. 나스닥 지수는 역대 최고치인 1만6000선을 얼마 남겨 두지 않았다. 지난해 4분기 미국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3.3%로 집계됐다. 이는 시장 전망치 2%를 크게 웃도는 것이다. 여기에 PEC 가격지수는 전년 동기 대비 1.7% 오르는데 그쳤다. 근원물가지수도 분기상승률이 2%에 그쳤다. 물가 안정과 연착륙을 기대하기에 충분한 수치가 이날 발표되면서 증시에 매수세가 유입된
올해 중국에서 생산된 신에너지자동차 4대 중 1대는 광둥성에서 생산됐다고 중국 자동차 전문 매체 치처즈자가 25일 전했다. 광둥성은 중국 국내총생산(GDP) 1위 성(省)이자, IT 메카로 불리는 선전시를 품고 있는 성이다. 치처즈자는 투가오쿤 광둥성 공업정부화청장의 말을 인용, 지난해 광둥성 자동차 제조업의 매출 총액은 전년 대비 8.1% 늘어난 1조3060억 위안(한화 244조원)이라고 설명했다. 또 광둥성에서 지난해 생산된 신에너지차는 전년 대비 16.9% 증가한 519만1900대이라고 설명했다. 이는 지난해 생산된 전체 신에너차 가운데 17.2%가 광둥성에서 생산된 것이라고 부연했다. 광둥성은 올해 신에너지차 산업을 더욱 육성, 올해 전국 신에너지차 4대중 1대는 '메이드 인 광둥'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함께 신에너지차 부품 산업도 지속적으로 지원하는 등 광둥성에 위치한 신에너지차 브랜드 인지도를 더욱 향상시키겠다고 재차 강조했다. 올해 신에너지차 수요를 늘리기 위해 노후차를 신에너지차로 교체하는 경우 다양한 혜택을 부여할 방침이다. 또한 신에너지차의 해외 시장 진출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폐배터리 활용 프로젝트도 병행하겠다는 계획을 공개했다.
중국 파운드리(반도체 외주 제작) 업체들이 삼성전자 파운드리 사업 고객 빼내기에 나서고 있다. 중국 IT전문 매체 EET차이나는 중국 파운드리 업체들이 가격 인하를 통해 신규 고객 유치에 나서고 있다고 25일 보도했다. 이 매체는 중국 파운드리 업체들의 가격 인하는 기존 고객을 유지하는 동시에 대만 팹리스(반도체 설계 전문업체)들의 신규 주문을 받아내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중국에는 반도체 공장이 대거 건설되고 있다. 이로 인해 중국의 파운드리들은 신규 고객유치를 통한 물량확보가 시급한 상황이다.<본지 2023년 11월15일자 '中 내년까지 반도체공장 32곳 추가 예정' 참조> 매체는 SMIC(중신궈지, 中芯國際), 화훙(華虹)반도체, 징허지청(晶合集成) 등 대표적인 중국의 파운드리가 지난해 가격인하를 통해 대만 팹리스들의 수주를 받아냈다고 전했다. 이들 대만 팹리스들은 미국 글로벌 파운드리를 비롯해 글로벌 8위 파운드리인 대만의 PSMC, 대만의 UMC(聯電) 및 삼성전자 파운드리 사업부의 기존 고객이었다고 이 매체는 부연했다. 일부 업체는 기존 거래 파운드리 업체와 계약을 파기하고, 중국 파운드리 업체로 물량을 이전할 준비를 하고 있는 것으
일본 게이단렌(경단련) 등 일본 경제계 인사 180여 명이 중국을 방문했다. 일본 경제계가 중국을 찾은 것은 4년 4개월 만이다. 중국 경제에 대한 불확실성이 아직 크지만 국내총생산(GDP) 등 거시경제 지표상으로는 회복 단계를 밟고 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는 시점에 일본 경제계의 중국 방문은 의미가 적지 않다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25일 중국 경제 전문 매체 제일재경에 따르면 신도 고세이 중·일경제협회 회장(일본제철 회장)과 도쿠라 마사카즈 경단련 회장, 고바야시 켄 일본 상공회의소 회장 등으로 구성된 일본 경제 대표단이 지난 23일 중국에 도착, 중국 경제계 인사들과 교류를 하고 있다. 제일재경은 코로나19 확산으로 중일 경제계 교류가 중단됐고, 지난해에는 일본의 '오염물질 해양 방류' 문제로 양측이 만나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제일재경은 기사에 '핵'이나 '방사능'과 같은 민감한 단어를 사용하지 않았다. 런훙빈 중국국제무역촉진회 회장은 일본 경제계 인사 방중과 "중국과 일본은 중요한 무역 파트너로서 중일이 상호 발전을 위해 협력을 심화해야 한다"라고 일본 경제계의 중국 방문을 환영했다. 제일재경은 중일 경제계 양측이 지난 24일 탄소중립과 산업 역량 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