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3대 지수가 일제히 상승 마감했다. 특히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2% 넘게 상승, 연초 부진을 만회했다. 8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 지수는 전장보다 0.58% 오른 3만7683.01로 장을 끝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지수는 전장보다 1.41% 상승한 4763.54로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2.20% 뛴 1만4843.77로 거래를 마쳤다. 이날 뉴욕증시는 장 초반 보잉 주가가 폭락, 지수를 끌내렸으나 엔비디아 등 기술주가 반등하면서 지수 전체를 뒷받침했다. 보잉 주가는 737 맥스9 항공기 동체사고로 8%나 급락했다. 반면 엔비디아는 이날 6% 넘게 상승, 지난해 11월 기록한 최고 기록을 갈아치웠다. 오는 2분기 중국 맞춤형 GPU 칩 생산을 시작한다는 소식이 주가가 크게 올랐다. 하지만 중국 내부에선 엔비디아의 중국 맞춤형 반도체 칩 수요가 크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어, 엔비디아의 실제 매출 증가에 얼마나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지는 미지수다. 중국 매체들은 알리바바와 텐센트 등 대형 IT 기업들이 지난해 11월부터 엔비디아가 공급한 특수제작 GPU 샘플을 테스트하고 있다면서도 엔비디아 칩 대신 중국
엔비디아의 중국 맞춤형 GPU(그래픽 프로세서)에 중국 업체들이 시큰둥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중국 IT 전문매체인 CNMO는 현지 소식통을 인용, 엔비디아의 중국 맞춤형 GPU대신 중국산 제품을 선호하고 있다고 8일 전했다. CNMO는 알리바바와 텐센트 등 중국 대형 IT 기업들이 지난해 11월부터 엔비디아가 공급한 특수제작 GPU 샘플을 테스트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이들은 올해 엔비디아로부터 구매할 칩의 수량이 과거 계획했던 수량에 비해 한참 적을 것임을 엔비디아 측에 이미 통보했다고 CNMO는 기술했다. 미국은 지난해 11월 엔비디아가 개발한 고성능 칩의 중국 수출을 금지시켰다. 엔비디아는 미국의 제재를 회피하기 위해 기존 칩의 성능을 저하시킨 중국 맞춤형 칩을 개발했으며, 오는 2분기부터 양산해 중국시장에 판매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이와 관련 CNMO는 엔비디아의 다운그레이드 칩은 중국 업체들이 개발한 로컬 칩에 비해 성능의 우세가 약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엔비디아 칩에 비해 로컬 칩은 공급 안정성이 뛰어나고, 현지 업체들의 경쟁력을 제고된다면 미래 '상호 윈윈'을 기대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중국산 제품에 더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고 CNM
중국의 외화보유액이 5개월 만에 다시 3조2000억 달러를 넘어섰다. 8일 중국 국가외환관리국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말 기준 중국 외화보유액은 3조2380억 달러로 전월보다 662억 달러(2.1%) 늘었다. 중국 외화보유액이 다시 늘어난 것은 미 달러 가치 하락 등 엔화와 유로화, 파운드화 절상에 따른 비달러 통화 자산의 달러 환산이익이 발생한 것이다. 또 지난해 말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의 통화정책 기조 변화로 미 국채 가격 상승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살제 지난해 12월 미국 달러 대비 중국 위안화 환율은 2개월 연속 상승했다. 지난해 12월 미 달러 대비 위안화 환율(중앙값)은 전월 말 7.1018에서 12월 말 7.0827로 상승했다. 현물 환율 역시 미 달러 당 7.0920으로 상승했다. 외환관리국은 중국 경제가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어 보유 외환이 안정을 유지할 것이라고 낙관했다. 원빈 민성은행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미 연준이 금리 인하 기조로 인해 중국과 미국의 금리 격차가 축소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면서 이로 인해 외국자본의 재유입이 증가, 국제수지 전반에 안정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차오칭밍 후이관연구원 부원장은 "중국의 외화보유
중국 소비자물가지수(CPI)가 3개월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할 것이라는 전망된다. CPI가 마이너스를 보이면서 중국 경제가 디플레이션에 빠질 수 있다는 우려가 지속적으로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국가통계국은 오는 12일 지난해 12월 중국 CPI와 생산자물가지수(PPI)를 공개한다. 중국 CPI는 지난해 7월 -0.3%를 기록, 지난해 처음 마이너스 구간에 진입한 후 1개월 만에 다시 플러스 구간으로 반등한 바 있다. 이후 지난해 10월(-0.2%)과 11월(-0.5%) 2개월 연속 마이너스 구간에 진입, 중국 경제가 디플레이션 함정에 빠질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 바 있다. 중국 내부에선 지난해 12월 중국 CPI는 -0.3~-0.4%를 기록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야채와 과일 등 신선 제품의 가격이 반등했지만 여전히 돼지고기 가격이 하락세를 보이고 있어 CPI 플러스 구간 진입은 어렵다는 것이다. 중국 CPI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돼지고기 가격은 올해 들어서도 하락세를 지속하고 있다. 지난주 기준 중국 전국 돼지고기 평균 가격(도매 기준)은 전주 대비 .12% 하락한 Kg당 20.02 위안에 거래됐다. 다음달 춘절 연휴 기간 소비가 늘어날
삼성전자의 파운드리(반도체 외주제작) 사업부가 올해 1분기에 고객사들에게 5~15%의 가격할인을 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 IT 전문 매체 쉰즈쉰은 삼성전자 파운드리사업부 고객사 관계자들의 전언을 인용, 삼성전자가 경쟁사들의 가격 인하 전략에 따라 파운드리 가격을 5~15% 낮췄으며, 고객사들과 협상을 통해 가격 할인을 하겠다는 뜻을 보였다고 5일 전했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시장 수요 부진으로 파운드리 업체들이 잇따라 가격을 인하하고 있으며, TSMC 역시 올해 성숙공정에 대해 2%의 가격할인을, 7나노(nm) 공정에 대해서도 최대 10%의 할인을 제공하고 있다. 삼성전자를 비롯한 파운드리 업체들은 가동률 유지를 위해 고객사들에 견적 수정을 제안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삼성전자는 5나노 이하 공정에서 TSMC와 경쟁하고 있으며, 퀄컴, 엔비디아, AMD 등의 고객사들과 적극적인 협상에 나서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파운드리 후발주자인 삼성전자가 TSMC보다 더 큰 폭의 할인을 제시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이 매체는 전했다. 트렌드포스의 데이터에 따르면 2023년 세계 파운드리 시장에서 대만이 약 46%의 점유율을 차지하며 1위에 올랐고
중국이 22나노(nm) 공정으로 256코어의 AI칩을 생산하는데 성공했다. 중국 최대의 연구개발(R&D) 기관인 중국과학원 산하 컴퓨팅기술연구소가 RISC-V에 기반한 256코어 멀티칩을 선보였다고 중국 IT 전문지 신즈쉰(芯智訊)가 5일 전했다. RISC는 축소 명령어 집합 컴퓨터(Reduced Instruction Set Computer)라는 뜻으로, 반도체 설계에 필요한 명령어 세트를 칭한다. RISC-V는 RISC의 다섯번째 버전이라는 뜻이며 오픈소스인 만큼 미국의 제재로부터 벗어나 있다. 중국과학원은 256코어 멀티칩 설계를 기반으로 이를 1600코어로 확장해 웨이퍼 한 장 크기의 칩을 만들어 컴퓨팅 장비로 사용할 방침이다. 중국과학원 연구팀은 '기초연구(基础研究)'라는 학술지에 논문을 발표해 해당 칩에 대한 설명을 게재했다. 해당칩은 '저장다신폔(浙江大芯片)'으로 명명됐다. 칩 디자인은 각각 16개의 RISC-V 코어를 포함하는 16개의 작은 칩으로 구성된다. 칩이 메모리를 공유할 수 있도록 온칩네트워크를 사용했다. 각 소형칩에는 또 다른 칩을 연결할 수 있는 여러 개의 인터페이스가 있으며, 이를 통해 100개의 소형 칩 또는 1600개의
올해 부가세 포함 판매 가격이 33만9000 위안을 넘는 신에너지차에 대해 구매세가 부과되는 만큼 완성차 업체들이 가격 포지셔닝에 나설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5일 경제전문 제일재경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당국은 지난해 6월 신에너지 승용차 구매세 감면 정책에 관한 고시'를 통해 신에너지차 구매세 감면 정책이 오는 2027년 12월 31일까지 연장했다. 2024년부터 2025년까지는 구매세가 전액 면제되고, 2026년부터 2027년까지는 50%의 구매세가 부과된다. 올해부터 내년까지 신에너지차에 대한 구매세가 전액 면제되지만 한도는 있다. 구매세 면제 한도 금액은 3만 위안(550만원)이다. 면제 한도를 넘는 금액에 대해선 세금을 납부해야 한다. 현재 구매세 전액 면제가 되는 차량의 가격은 33만9000 위안(6200만원)이다. 33만9000 위안이 넘는 차량은 면제 한도 금액이 넘는 금액에 대해 세금이 부과된다. 33만9000 위안은 구매 세율 10%와 부가가치 세율 13%를 적용 시 면제 한도 최고 금액이다. 예컨대 판매 가격이 30만 위안인 승용차를 구입할 경우 차량 구매세율 10%은 3만 위안이다. 면세 한도 3만위안을 넘지 않기 때문
지난해 중국 전기자동차 등 신에너지차 총 판매 대수(도매 기준)가 889만대로 잠정 집계됐다. 또 중국 전체 승용차 판매 대수는 2170만6000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5일 중국 승용차협회(CPCA)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한 달간 판매된 신에너지차는 전년 동월 대비 50% 늘어난 113만대다. 이에 따라 지난해 연간 누적 도매 판매 대수는 전년 동기 대비 37% 증가한 889만5000대로 추정됐다. 소매기준으로는 지난해 12월 한 달간 93만6000대가 판매된 것으로 잠정 추산됐다. 이는 전년 동월 대비 46%, 전월 대비로는 11% 늘어간 것이다. 지난해 중국 신에너지차 소매 기준 누적 판매는 전년 대비 36% 증가한 774만4000대로 잠정 추산됐다. CPCA는 지난해 중국 전체 승용차 도매 판매 대수는 2561만1000대이며, 소매 판매 기준으로는 2170만6000대라고 전했다. CPCA 12월 판매량 증가에 대해 연말을 앞두고 완성차 업체들이 대대적인 할인 프로모션을 진행하면서 신에너지차 등 승용차 판매가 전년에 비해 늘었다고 분석했다. CPCA는 12월 판매 대수는 잠정치라면서도 이 수치가 크게 벗어나지 않을 것으로 낙관했다. 또 지난해에 이어 올
금리 인하 시점이 기대보다 늦춰질 수 있다는 지표가 나오면서 뉴욕증시가 약세를 이어갔다. 4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 지수는 전장보다 0.03% 오른 3만7440.34로 장을 마감했다. 하락 하루 만에 반등했지만 힘은 약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지수는 전장보다 0.34% 하락한 4688.68로, 나스닥 지수는 0.56% 떨어진 1만4510.30으로 장을 마쳤다. 다우 지수는 하락 하루 만에 반등했지만 힘은 약했고, 나스닥 지수는 거래일 기준 지난해 12월 28일 이후 5거래일 연속 하락세를 보였다. 이날 공개된 고용 지표는 인플레이션(물가)이 예상만큼 빠르게 둔화하지 않을 수 있다는 우려를 낳았다. 12월 ADP 전미 고용보고서의 민간 부문 고용은 전월보다 16만4000명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여전히 미국 고용시장이 견조한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이다. 인플레이션 목표치에 도달하는 데 다소 시간이 걸릴 수 있다는 우려감이 증시에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실제 연방기금(FF) 금리 선물 시장에서 오는 3월에 금리가 인하될 가능성은 66.4%를 기록했다. 전날 인하 가능성은 70.8%였다. 시장의 기대와 달리 금리 인하 시점이
올해 중국에서 AI(인공지능) 칩의 국산화가 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중국 상하이증권보가 4일 전했다. 스마트컴퓨팅의 중요성이 날로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스마트컴퓨팅의 핵심은 AI칩이며, AI칩 중 현재 가장 널리 쓰이고 있는 GPU(그래픽 처리 장치) 분야에서 중국은 미국의 강도 높은 제재를 받고 있다. 매체는 GPU 분야에서 엔비디아가 독점적인 글로벌 영향력을 갖고 있는 가운데 올해 AI칩 분야에서 국산화 대체가 가속화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량샤오샤오(梁曉曉) 상하이교통대학 컴퓨터공학과 교수는 "중국의 AI칩 개발은 ▲전용 칩 개발▲범용 GPU 칩 개발 ▲특수 칩 개발 등 3가지로 진행되고 있다"며 "특수 칩 개발은 메모리-연산 일체화 칩, 양자컴퓨팅, 광자컴퓨팅 등의 방식으로 이뤄지고 있다"고 소개했다. 그는 이어 "최근 들어 중국에는 AI칩을 개발하는 벤처기업들이 잇달아 생겨나고 있으며, 이들은 각자 여러가지 기술경로로 발전해가고 있다"고 평가하며 지난달 12월 중국의 AI칩 개발 벤처 기업인 무어스레드(Moore Thread, 중 모얼셴청, 摩尔線程)가 컴퓨팅센터를 설립한 사실을 대표적인 성과로 꼽았다. GPU를 개발하는 업체인 무어스레드는 '콰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