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과 남미를 연결하는 세계 최장 항공길이 열렸다. 중국 내부에선 일대일로(육상·해상 실크로드) 확장이라는 데 의미를 두고 있다. 경제일보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동방항공은 오는 12월 중국 상하이~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를 운항하는 항공편을 운항한다. 이 노선의 운항거리는 2만Km에 달한다. 운항은 시간은 25시간 55분이다. 세계 최장 운항 시간이다. 비행거리가 2만Km가 넘어 뉴질랜드 오클랜드를 경유한다. 약 2시간 25분 경유하는 동안 항공유를 보충한다. 복편 비행 시간은 약 29시간이다. 이 노선의 이코오믹석 요금은 1만2235위안(한화 약 239만원)부터 시작하며, 비즈니스석은 4만5754위안(895만원)부터 시작한다. 논스톱이 아니라는 점에서 기존 최장 노선인 싱가포르~뉴욕(JFK공항) 노선과 순위 바뀜은 없다. 이 노선의 운항거리는 1만5348Km이며, 비행시간은 18시간 40분이다. 상하이(푸동공항)~부에노스아이레스(에세이사공항) 노선에는 보잉 777이 투입된다. 항속거리가 1만3000Km가 넘는 777-300ER 기종이 투입될 것으로 추정된다. 동방항공은 앞서 지난 6월 상하이~부에노스아이레스 운항에 합의한 바 있다. 이 노선은 중국에서
중국 소매판매 증가율이 우하향 곡선을 그리고 있다. 산업생산 증가율 역시 우하향 그래프를 보이며 중국 경제가 좀처럼 반등하지 못하는 모습니다. 15일 중국 국가통계국이 공개한 8월 중국 소매판매는 전년 동월 대비 3.4% 증가했다. 이는 전월 3.7%보다 낮은 증가율이다. 중국 소매판매 증가율은 지난 5월 6.4%를 고점으로 매월 우하향세다. 지역별로는 도시 소매판매액은 전년 동월 대비 3.2% 증가하는데 그쳤고, 농촌은 4.6% 증가했다. 1월부터 8월까지 누적 도시와 농촌 소매판매액 증가율은 각각 4.6%와 4.7%다. 소비유형별로는 상품 소매판매액이 전년 동월 대비 3.6%, 요식업은 2.1% 증가했다. 8월 누적 상품과 요식업 증가율은 각각 4.8%와 3.6% 증가하는데 그쳤다. 소매판매는 내수 시장을 엿볼 수 있는 지표라는 점에서 중국 내수경기가 지난해보다 증가하고 있지만 기대 이하라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금리와 지급준비율을 인하하고 있지만 중국 14억 인구가 좀처러 지갑을 열지 않고 있는 셈이다. 일정 규모 이상 기업 산업생산 증가율도 좀처럼 힘을 받지 못하고 있다. 8월 산업생산 증가율은 전년 동월 대비 5.2%로 집계됐다. 전월 증가율은 5.7
중국 신쯔광그룹의 팹리스(반도체 설계 전문업체) 자회사인 쯔광궈웨이가 AI와 5G, eSIM이 결합된 새로운 eSIM(전자 SIM카드) 칩을 출시했다. 15일 중국반도체업계에 따르면 쯔광궈웨이는 온라인 IR을 통해 자사를 중국내 최초로 eSIM 글로벌 상용화에 성공한 칩 제조사로 소개했으며, GSMA(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와 중국내 통신 표준을 모두 충족하는 여러 eSIM 제품을 양산하고 있다고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쯔광궈웨이는 앞서 지난달 진행됐던 올해 상반기 실적보고에서 "자체 개발한 eSIM 칩 제폼이 전세계적으로 대량 출하가 가능한 상황"이라고 밝힌 바 있다. 특히 중국내에서 eSIM 정책이 개방된다면 쯔광궈웨이는 이 분야에서 폭발적인 매출 성장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현재는 스마트폰용 eSIM 칩에 비해 시장규모는 작지만 상당한 발전 공간을 갖춘 차량용 eSIM 칩 분야에서도 성장이 기대된다고도 덧붙였다. 현재 중국 이동통신업체들은 eSIM 도입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eSIM 칩을 사용하면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SIM카드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진다. 현재는 SIM카드를 스마트폰 등 단말기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사용하지만 eSIM을 사
멕시코의 중국산 자동차 50% 관세 부과에 대해 중국 자동차 수출에 비상이 걸렸다. 멕시코는 자국산업 보호를 이유로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하지 않은 국가를 대상으로 수입 관세를 부과하기로 결정한 상태다. 멕시코는 관세 부과와 관련 대중국 무역 적자를 언급하고 있다. 지난해 말 기준 멕시코 전체 수입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19.9%다. 적자 규모가 1131억 달러에 달한다. 반면 중국 내부에서는 미국의 영향을 받아 멕시코 정부가 중국산 자동차 등 중국 제품에 관세를 부과하는 것이라고 의심하고 있다. 15일 중국 매체 제일재경은 중국승용차협회(CPCA)의 자료를 인용, 올 1월부터 7월까지 중국 자동차 수출 대수는 모두 418만대다라고 전했다. 국가별로는 멕시코가 32만2000대로 1위 수출국가이며, 그다음은 아랍에미레이트(UAE), 27만1000대, 러시아 22만8000대, 벨기에 18만4000대, 브라질 17만5000대 순이다. 특히 멕시코는 중국 자동차 수출 1위국인 러시아를 제치고 올해 1위에 오르는 등 최근 중국산 자동차 핵심 수출국으로 떠오른 시장이다. 그간 멕시코의 중국산 자동차(경차, A세그먼트) 관세는 15~20%였다. 관세가 50%
중국 지방정부의 은닉부채가 1년새 4조 위안(한화 약 783억원) 가량 준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상무위원회는 지난해 말 지방 정부의 부채 한도를 6조 위안 늘리는 등 중국 경제의 뇌관 제거 작업에 착수한 바 있다. 란포란 중국 재정부 부장(장관)은 지난 12일 지방정부의 은닉부채 위험을 해소하기 위한 정책을 시행하면서 은닉부채 규모가 크게 감소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말 기준 중국 지방정부의 은닉부채 규모는 10조5000억 위안(2055조원)이다. 이는 전년 14조 3000억 위안보다 3조8000억 위안 준 것이다. 은닉부채는 중국 지방 정부가 법정 부채 한도를 초과해 발행한 채권 등을 말한다. 중국 중앙 정부는 지난해 말 12조 위안 규모의 은닉부채 감축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본지 2024년 11월29일자 '中 지방정부 숨겨진 부채 1차 지도 나왔다' 참조> 중국 경제의 뇌관으로 지목된 지방정부 은닉부채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중앙정부는 오는2028년까지 10조 위안의 신규 채권을 발행, 숨겨진 부채 문제를 해결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올해도 2조 위안의 지방채권을 발행했다는 점에서 올 연말 지방 정부의 은닉부채 규모는
중국 자동차 생산량과 판매량이 2000만대를 넘어섰다. 12일 중국자동차공업협회(CAMM)에 따르면 올 1월부터 8월까지 중국에서 생산된 자동차는 모두 2105만1000대로 전년 대비 12.7% 증가했다. 이 기간 판매량은 전년 대비 12.6% 늘어난 2112만8000대로 집계됐다. 8월 누적 생산과 판매가 각각 2000만대를 넘어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8월 누적 승용차 생산량과 판매량은 각각 1833만8000대와 1838만4000대로 전년대비 각각 13.6%와 13.8% 늘었다. 중국 자동차 생산 및 판매 증가는 전기자동차 등 신에너지차가 이끈 것으로 보인다. 8월 누적 신에너지차 생산량과 판매량은 각각 962만5000대와 962만대로 전년 대비 37.3%와 36.7% 증가했다. 올해 전체 신차 판매량 가운데 신에너지차가 차지하는 비중은 45.5%에 달했다. 중국 자동차 생산과 판매가 급증한 가운데 업체간 부익부 빈익빈 현상도 두드러지고 있다. 8월 누적 기준 중국 자동차 판매량 상위 10대 기업의 전체 판매량은 1759만4000대로 83.6%를 차지했다. 수출도 증가했다. 8월 누적 중국 자동차 수출은 전년 대비 13.7% 증가한 429만2000대로
8월 중국 전기자동차 등 신에너지차 판매량이 111만대를 넘어섰다. 차이롄서는 11일 중국 승용차협회(CPCA)가 공개한 자료를 인용, 8월 신에너지차 판매량이 111만5000대로 전년 동기 대비 8.8%, 전월 대비 13.0% 증가했다고 전했다. 1월부터 8월까지 중국 신에너지차 누적 판매량은 전년 동기 26.0% 늘어난 757만대로 집계됐다. 현재와 같은 추세라면 2025년 중국 신에너지차 판매는 1100만대를 훌쩍 넘을 것으로 전망된다. 8월 소매 판매량 1위는 역시 비야디(BYD)였다. 비야디는 8월 한달간 31만200대를 판매했고, 그다음은 지리차 13만4405대, 장안차 7만2338대, 상하이GM우링 6만1351대, 테슬라 5만7152대, 립모토 5만1162대, 흥멍즈싱 4만4561대, 세레스차 4만12대, 체리차 3만9122대, 샤오미오토 3만6396대 등의 순이다. 10위권에 이름을 올린 업체 가운데 가장 주목을 받는 곳은 샤오미다. 샤오미 8월 판매량은 전년 동월 대비 무려 177.6%가 급증한 수치다. 이 같은 급증은 6월 말 출시한 첫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인 'YU7'의 인기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YU7은 공식 출시 발표 3분만에
중국 공업정보화부와 국가발전개혁위원회, 국가시장감독관리총국, 공안부 등 6개 부처가 자동차업계 인터넷 혼란 바로잡기 특별 캠페인을 실시한다. 11일 펑파이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공업정보화부 등 6개 부처는 전날 '자동차 업계 인터넷 혼란 바로잡기 특별 캠페인 실시에 관한 공지(이하 공지)'를 발표했다. 공지를 보면 중국 자동차 산업 특히 전기차 등 신에너지차 산업 및 유통 문제의 심각성이 그대로 드러난다. 우선 불법적 부당 이익 문제가 지적됐다. 허위 영상과 이미지 등 자동차 회사에 대한 부정적인 내용 유포 문제를 지목했다. 이 같은 허위, 가짜 정보를 통해 트래픽을 올려 상업적 이익을 얻는 사례가 있다는 것. 또 과장 및 허위 광고를 통해 소비자를 기만하는 행위도 단속 대상이다. 자동차 제조사가 허위 데이터를 인용 또는 조작하거나 판매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공개하는 등 자동차 업계와 사회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6개 부처는 경고했다. 반대로 경쟁사에 대한 악의적 명예 훼손, 악의적 불만 제기 등도 캠페인 대상이다. 중국 6개 부처는 공지를 통해 앞으로 3개월간 이 같은 문제를 바로잡겠다고 명시했다. 그러면서 부정행위 배후에 홍보 및 마케팅 회사들
중국 소비자물가가 디플레이션 선을 넘나들고 있다. 10일 중국 국가통계국이 발표한 8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동월 대비 0.4% 하락했다. 전월 대비로는 변동이 없었지만 지난해과 비교하면 하락 추세가 뚜렷하다. 소비자물가 지수는 식품 가격이 끌어내렸고 도시 지역보다 농촌 지역 하락 폭이 더 컸다. 8월 식품 가격은 전년 동월 대비 4.3%나 떨어진 반면 비식품 가격은 0.5% 상승했다. 특히 CPI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식품과 주류 가격도 전년 동월 대비 2.5%나 하락했다. 식품 가운데 신선야채 가격이 무려 15.2%나 하락했다. 계란 역시 12.4%나 떨어졌고 돼지고기 가격도 16.1%나 하락했다. 8월 생산자물가지수(PPI)는 전년 동월 대비 2.9% 하락해 전월 마이너스(-)3.6%보다 낙폭을 줄였다. 부문별로는 광업이 11.5%, 원자재 4.1%, 가공업 2.2% 각각 하락했다. 또 연료 및 전력 가격은 전년 동월 대비 9.7%나 떨어졌고, 화학원료 가격도 6.2%나 하락했다. 건축자재 및 비철금속 재료 가격 역시 4.7% 떨어졌다. 둥리쥐안 국가통계국 통계국장은 CPI 하락과 관련, "계절적 요인이 작용, 식품 등의 가격이 하락했고,
중국 반도체 장비업체가 12인치 레이저 박리장비 국산화에 성공한 것으로 보인다. 레이저 박리장비(Laser Lift-Off Equipment)는 레이저를 사용해 두 층을 분리(박리)하는 장비를 뜻한다. 레이저 박리장비는 접착제, 에피택셜층, 기판과의 접합면 등에 레이저를 투사해 층을 분리한다. 특히 3세대 반도체 소자인 탄화규소(SiC, 실리콘카바이드) 웨이퍼에서 중요성이 높다. 탄화규소가 단단하고 가공이 어려우며, 쉽게 손상될 수 있어서 레이저 박리장비가 필수적이다. 중국은 이제까지 100% 일본과 독일의 제품들을 수입해 왔다. 10일 중국 반도체 업계에 따르면 징페이(晶飞)반도체가 자체 개발한 레이저 박리장비로 탄화규소 12인치 웨이퍼를 박리해내는 데 성공했다. 징페이반도체는 중국의 레이저 박리장비 개발업체로 그동안 6인치용 장비와 8인치용 장비를 개발해 판매해왔다. 이에 더해 12인치 탄화규소 웨이퍼를 박리하는데 성공했다. 12인치 웨이퍼 박리장비 개발로 중국은 현재 주류인 탄화규소 6인치 웨이퍼를 12인치로 전환할 수 있게 됐다. 12인치 웨이퍼 공정을 채택하면 생산 비용을 약 30~40% 절감할 수 있다. 웨이퍼 생산 원가 절감으로 탄화규소 반도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