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가 혼조세로 마감했다. 27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 지수는 전장보다 96.82포인트(0.25%) 하락한 3만8972.41로 장을 마감했다. 다우 지수는 사흘 연속 하락세를 보였다. 나스닥 지수는 0.37% 상승한 1만6035.30으로 장을 마쳤다. 나스닥 지수는 3거래일 만에 반등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지수는 전장보다 0.17% 오른 5078.18로 거래를 끝냈다. 이날 혼조세는 최근 3대 지수의 사상 최고치 근접에 대한 부담감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또 주요 기업 실적 발표 시즌이 끝남에 따라 시장의 관심사가 금리에 다시 초점을 맞춘 것도 혼조세의 한 원인으로 풀이된다. 오는 28일과 29일 공개 예정인 지난해 4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잠정치와 1월 개인소비지출(PCE) 지수를 확인 후 랠리를 지속할지 여부를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 인플레이션 압력이 여전하다는 게 전반적인 분위기다. 이날 연방기금 금리 선물 시장에서 오는 6월에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은 59.1%로 집계됐다. 이는 전날과 비슷한 수준이라는 점에서 금리 인하 시기가 늦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고착화되는 분위기다. 최근 뉴욕증시 상승 분위기를 이끌
중국 최대 정치행사인 양회(兩會·전국인민대표대회와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를 앞두고 중국 정부의 재정 적자율이 3.8%를 넘을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중국 경제 전문 매체 제일재경은 27일 '예상을 뛰어넘는 통화정책은 무엇을 의미하나?'라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올해 중국 당국의 통화정책이 기대를 뛰어넘고 있다고 진단했다. 제일재경이 언급한 기대 이상의 통화 정책은 지급준비율(RRR·지준율)과 대출우대금리(LPR) 인하를 꼽을 수 있다. ◆과감한 통화정책 인민은행은 2월 5일을 기점으로 지준율을 0.5%포인트 낮췄다. 지준율은 시중 은행권이 예금 인출 등을 감안, 의무적으로 보유해야 하는 비율을 말한다. 지준율이 인하되면 시중 은행권의 대출 여력이 커진다. 통상 0.25%포인트 인하 시 5000억 위안의 자금이 시중에 풀리는 효과가 있다. 0.25%포인트가 아닌 0.50%포인트 인하는 통화당국의 경기 부양 의지를 표명한 것으로 해석됐다. 인민은행은 또 지난 20일 5년 만기 LPR 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했다. 지난해 6월 0.10%포인트 인하 후 8개월 만이다. 5년 만기 LPR 인하는 부동산 경기를 의식한 것이다. 무엇보다 인하 폭이 컸다. 5년 만기
중국의 팹리스(반도체 설계 전문업체)인 궈신커지(國芯科技)가 대규모 차량용 MCU(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 칩 공급계약을 체결했다. 궈신커지의 신제품 MCU 칩들이 시장에서 좋은 평가를 받고 있으며, 올해 상당한 실적 증대가 예상되고 있다고 중국 IT전문매체인 지웨이왕(集微網)이 28일 전했다. 최근 국영 자동차기업인 이치치처(一汽汽車) 산하의 이치제팡(解放) 상용차개발원은 파워트레인 프로젝트에서 궈신커지의 CCFC300PT칩을 채택했다. 양측은 공동으로 메인 컨트롤러칩을 연구 개발하며, 플랫폼화 솔루션을 구축하기로 했다. 프로젝트는 궈신커지 MCU에 대해 이미 1차 검수를 통과했으며, 테스트를 마친 후 대규모 물량계약을 체결하겠다는 방침이다. 또한 궈신커지는 저장(浙江)성의 아이촹커지(埃創科技)로부터 70만개의 MCU를 수주했다. 이 중 에어백제어 듀얼칩 세트인 CCL1600BL4 15만세트, 동력섀시제어 MCU 칩인 CCFC3008PCT 2만세트가 포함돼 있다. 이와 함께 궈신커지는 차량제어장치 전문기업인 이딩펑(易鼎丰)으로부터 CCFC5008PT 50만개를 수주받았다. 이딩펑은 궈신커지의 칩을 활용해 VCU(차량제어장치)를 제작할 방침이다. VCU는 동력시
중국 3대 전기자동차 스타트업 중 한 곳인 리오토(리샹)가 20만 위안(한화 3693만원) 이하 모델은 향후 5년간 출시할 계획이 없다는 중장기 계획을 발표했다. 이는 저가 전기차를 통해 볼륨을 키울 생각이 없다는 점을 분명히 한 것으로 해석된다. 리오토는 지난해 깜짝 매출과 순이익, 매출 총이익률을 공개, 26일(현지시간) 뉴욕증권 시장에서 전장대비 18.79% 상승하기도 했다. 리오토는 26일(베이징 시간) 콘퍼런스 콜을 연 자리에서 지난해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73.5% 증가한 1238억5000만 위안(한화 22조8664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또 지난해 순이익이 118억1000만 위안(2조1804억원)이라고 공개했다. 적자에서 흑자 전환한 것이다. 매출 총이익률은 22.2%로 집계됐다고 덧붙였다. 쩌우량쥔 리오토 수석 부사장은 "올해 월간 10만대를 판매한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다"면서 오는 3월 5만대, 6월 7만대 등 매월 판매 대수를 늘릴 계획이라고 말했다. 리샹 리오토 최고경영자(CEO)는 "향후 5년간 20만 위안 미만 모델을 출시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중국에서 20만 위안 이하 시장은 말 그대로 불륨 시장이자, 주류 시장이다.
뉴욕증시 3대 지수가 일제히 하락했다. 엔비디아 실적 발표 이후 2거래일 연속 급등했던 증시가 숨고르기에 들어간 것으로 보인다. 26일(현지시간) 다우존스 지수는 전장보다 0.16% 밀린 3만9069.23으로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지수는 전장보다 0.38% 하락한 5069.53으로 장을 마감했다. 2거래일 연속 사상 최고가 행진을 보였던 다우와 S&P 지수가 소폭 내려앉았다. 2거래일 연속 하락세를 보였던 나스닥 지수는 이날 낙폭이 상대적으로 작았다. 이날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0.13% 떨어진 1만5976.25로 거래, 사상 최고치(1만6057.44) 경신 가능성을 열어뒀다. 기업 실적 공개가 마무리되면서 시장은 다시 연방준비제도(연준)의 금리 향방에 촉각을 곤두세우는 모습을 보였다. 오는 29일 공개될 1월 개인소비지출(PCE)가 넘어야 할 산이다. PCE 지수가 전월보다 상승할 것으로 전망이 우세하다. 인플레이션이 둔화 양상을 보이겠지만 시장의 기대만큼 떨어지지 않을 것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29일 PCE 지수 공개 이후 시장이 다시 출렁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날 연방기금 금리 선물 시장에서 연준이 6월에
칭화유니그룹(쯔광지퇀, 紫光集團) 산하 팹리스(반도체 설계 전문업체) 자회사인 쯔광궈웨이(쯔광궈웨이, 紫光國微, Guoxin Micro)가 이미지 처리 AI 반도체를 개발해 시험생산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쯔광궈웨이가 자체 투자자 소통 플랫폼을 통해 "자체 개발한 AI 반도체는 이미지 처리를 위한 DCNN(딥 컨볼루셔널 뉴럴 네트워크) 가속기 제품이며, 현재 시험 생산을 하고 있다"고 중국 증권시보가 26일 전했다. 현재 일부 제품은 고객사에 인도, 테스트 및 개발 작업을 진행 중이라고 증권시보는 덧붙였다. 쯔광궈웨이 측은 "해당 AI 반도체는 사물의 외관을 감지하고, 장애물을 식별하는 용도로 사용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해당 칩은 이미지의 특징을 추출하고 학습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쯔광궈웨이는 스마트 안전칩(SIM 카드 칩)을 전문적으로 개발하며, 금융 IC 카드 칩, 차세대 교통 카드 칩, 신분증 리더, POS 기계 SE 칩 시장에서 중국 점유율 선두를 차지하고 있다. 쯔광궈웨이는 R&D투자를 지속적으로 늘리고 있다. 2020년에 3억4700만 위안, 2021년에 6억3200만 위안, 2022년 12억1100만 위안, 2023년
지난해 중국 자체(토종) 브랜드의 시장 점유율이 56%로 집계됐다다. 중국 토종 브랜드 시장점유율 56%는 역대 최고치다. 한때 합작 브랜드와 수입 브랜드가 주도했던 중국 자동차 시장을 토종 브랜드들이 장악하는 모양새다.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는 26일자 1면에 자동차 전기화 및 지능형 네트워크 기술이 혁신을 이루면서 중국 토종 브랜드가 새로운 진전을 이루고 있다고 전했다. 지난해 중국 토종 브랜드 판매대수는 1459만6000대로 전년 동기 대비 24.1% 증가했다. 이에 따라 중국 토종 브랜드의 시장 점유율은 전년 대비 6.1%포인트 오른 56%를 기록했다. 중국 토종 브랜드의 시장점유율은 지난 2019년 34.1%에 불과했지만 2020년, 38.4%, 2021년 44.5%, 2022년 49.9%로 매년 빠른 성장세를 보였다. 인민일보는 특히 전기자동차 등 신에너지차 산업에 대해서 의미를 부였다. 지난 2019년 중국 신에너지차 판매 대수는 120만60000대(소매기준)에서 2020년 136만7000대, 2021년 352만대, 2022년 536만5000대 등 매년 폭발적으로 늘었다. 지난해의 경우 도매 기준 중국 신에너지차 판매 대수는 949만5000
중국 비야디(BYD)가 우리 돈 3억원 대 슈퍼 전기자동차 왕양(仰望) 'U9'을 공개했다. 지난해 10월 왕양 'U8'에 이어 2번째 하이엔드급이자 페라리와 람보르기니 등을 겨냥한 스포츠카다. 비야디는 중저가 전기차 등 신에너지차를 판매하며 덩치를 키운 중국 1위 신에너지차 업체다. 비야디는 지난해 중저가의 한계를 넘기 위해 전기차 전용 프리미엄 브랜드 왕양을 론칭했다. 비야디는 25일(현지시간) 라이브 스트리밍 행사를 통해 168만 위안(한화 3억1000만원) 상당의 고성능 순수 전기 슈퍼카를 선보였다. 중국 자동차 전문 매체 치처즈자는 비야디가 선보인 U9의 제로백은 2.36초이며, 최고 속도는 시속 309.19Km/h라고 소개했다. 또 이 슈퍼카의 최대 출력은 960kW(1306마력)이며 최대 토크는 1680N·m이다. U9의 전장과 전폭, 전고는 각각 4966, 2029, 1295(1338)mm이며, 휠베이스는 2900mm다. U9에는 500kWh 배터리가 탑재, 완충시 주행 가능 거리가 450Km이며 10분 만에 최대 80%까지 충전이 가능하다. 이 슈퍼카는 올 하반기(10~11월)께 인도될 예정이라고 치처즈자는 덧붙였다. 이 슈퍼카의 신차 보증기
중국 이미지센서 2위 업체인 거커웨이(格科微, GalaxyCore)가 22일 저장(浙江)성 자싱(嘉興)시 자산(嘉善) 경제기술개발구에 제 2공장을 기공했다고 중국 IT 전문 매체 지웨이왕(集微網)이 23일 전했다. 거커웨이의 2공장에는 CMOS(상보성 금속 산화막 반도체) 이미지 센서의 후공정 라인 및 12인치 특수공법 후공정 라인 등이 건설될 예정이다. 거커웨이는 오는 2026년 양산을 시작한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다. 양산 후 2공장은 연간 매출액 100억 위안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됐다. 거커웨이 측은 "이번 2공장 건설계획은 생산능력의 확장뿐 만 아니라 선진기술을 도입하고 공법을 업그레이드 하는 성격이 짙다"라며 "2공장은 주로 고화소 센서를 대상으로 한 테스트와 후면 밀링 및 절단 등 선진 공정을 확장하는 것을 주요 목표로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자오리신(趙立新) 거커웨이 CEO는 기공식에서 "향후 자싱시의 2공장은 단순한 생산기지가 아닌 R&D의 중심 센터가 될 것"이라며 "향후 이미지센서 컬러 코팅 기술, 마이크로 렌즈 기술, 자동 초점 기술 및 손 떨림 방지 기술과 같은 첨단기술들이 이 곳에서 연구개발 될 것"이라고 밝혔다. 거커웨이는 웨
리오토(리샹)이 다음 달부터 베이징 공장을 가동한다. 리오토 베이징 공장은 과거 현대자동차가 운영해 오던 베이징 1공장이다. 지몐신문 등 중국 매체들은 베이징시 신문판공실 발표를 인용, 리오토가 오는 3월부터 베이징 공장을 본격 가동, 전기차 생산에 들어간다고 23일 보도했다. 리오토 베이징 공장에선 순수 전기자동차 메가(MEGA)를 생산한다. 메가는 다목적(MPV) 순수 전기차다. 가격은 60만 위안(한화 1억1100만원)이 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메가의 공식 출시 일이 3월 1일 점을 감안하면 리오토 베이징 공장은 이미 가동 중인 것으로 보인다. 리오토는 웨이라이(니오)와 샤오펑과 함께 중국 3대 3대 전기차 스타트업으로 꼽히는 업체다. 리오토는 지난해 37만6000대를 판매했다. 리오토는 지난해 목표치 30만대를 초과 달성했다. 리오토의 올해 판매 목표는 80만 대다. 리오토의 목표 달성이 가능할지는 미지수지만 리오토는 올해 4개 모델을 새롭게 선보일 예정이다. 리오토의 올해 매출 목표는 2000억 위안(37조원)이다. 리오토의 베이징 공장 본격 가동은 여러 의미가 담겨 있다. 북경현대는 지난 2021년 1공장을 베이징시에 매각했다. 이후 리오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