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이 올해 중국 경제성장률 목표 달성을 확신했다. 올해 중국 정부의 국내총생산(GDP) 목표치는 전년대비 '5% 내외' 성장이다. 중국 내부에선 올해 성장률 목표치 달성에 문제가 없다는 분위기지만 해외에서 보는 시각은 이와 다르다. 이 같은 우려를 잠식시키기 위해 판궁성 인민은행 총재가 직접 나서 목표 달성을 자신했다. 판 총재는 25일(현지시간) 중국발전포럼에 참석, "올해 중국 경제가 좋은 회복 모멘텀을 유지하고 있다"면서 "중국 경제는 연간 5% 내외 성장 목표를 달성할 능력이 있다"라고 강조했다. 그는 "올해 초부터 경기 대응적 차원에서 통화정책을 펼 것"이라며 중국 통화 당국은 충분한 정책 공간과 다양한 수단을 보유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우려가 되고 있는 중국 소비자물가에 대해 그는 "시장 수요에 따라 유연하고 적절한, 그리고 정확한 통화 정책을 실시할 것이며, 물가 안정은 통화 정책의 중요한 고려 사항 중 하나"라고 설명했다. 판 총재는 부동산과 금융 시스템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판 총재는 "부동산 시장에 긍정적인 신호가 잡히고 있고, 부동산 시장이 장기적으로 건전하고 안정적인 발전을 위한 탄탄한 기반이 마련되고 있다"면서
마이크론을 비롯한 글로벌 반도체 업체의 최고경영자(CEO)들이 중국발전포럼에 참석했다고 중국 IT매체 지웨이왕(集微網)이 25일 전했다. 중국발전포럼은 24일 베이징에서 개막했으며, 82개 글로벌 기업들의 CEO가 참석했다. 이 중 6명이 글로벌 반도체 기업의 CEO였다. 참석자는 산재이 메흐로트라 마이크론 CEO, 호크 E 탄 브로드컴 CEO, 리사 수 AMD CEO, 사신 가즈시 시놉시스 CEO, 크리스티아누 아몽 퀄컴 CEO, 곽노정 SK하이닉스 사장 등이었다. 6곳의 반도체 기업중 SK하이닉스를 제외한 5곳이 미국기업이었다. 미국이 대중국 반도체 제재를 강화하고 있지만, 미국의 반도체 기업들은 중국시장을 원하고 있음을 반영한다. 이에 앞서 23일에는 크리스티아누 아몽 퀄컴 CEO는 중국 상무부의 왕원타오(王文濤) 부장(장관)을 면담했다. 양측은 중국과 미국의 경제 및 무역관계를 비롯해 퀄컴의 중국내 발전 문제 등을 논의했다. 왕 부장은 "중국은 현재 개방의 폭을 확대하고 있다"며 "중국 정부는 외자기업의 투자활성화를 위해 비즈니스 환경을 최적화하는데 전념하고 있다"고 발언했다. 이어 "인공지능(AI), 클라우드 컴퓨팅, 소비자전자 등 분야에서 중국은
중국의 팹리스 스타트업인 신비다(芯必達)가 중국 최초로 차량용 SBC(시스템 기반 칩) 제품을 양산했다고 중국 후베이(湖北)일보가 21일 전했다. 최근의 전기자동차는 운전 보조, 엔터테인먼트, 전력제어, 정보 전송 등의 전자장비를 갖추고 있으며, 이들을 구동하는 데는 각각의 반도체가 필요하다. 일반 전기차는 1대당 1600개의 반도체가 필요하며, 향후 고급 스마트카의 경우에는 1대당 3000개의 반도체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들 기능을 통합하는 SBC 칩을 신비다가 개발, 양산을 시작한 것이다. 완톄쥔(萬鐵軍) 신비다 창업자는 "우리는 10년 이상 반도체를 개발해 왔다"며 "최근 중국 자동차 산업의 눈부신 발전을 바탕으로, 중국 업체들은 자동차 반도체 분야에서 빠르게 발전하는 기회를 잡게 됐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신비다의 연국개발(R&D)팀은 출범 22개월만에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MCU), 전원관리 칩, 통신 인터페이스 칩 등의 분야에서 핵심 IP(설계자산)를 개발했으며, 스마트 SBC에 필요한 다양한 핵심 기술을 파악해, 제품을 개발해 냈고, 최근 양산까지 성공시켰다. 신비다 측은 “자체 개발한 SBC는 차량용 MCU와 전원관리칩, 통신 칩
올해 중국의 반도체 생산능력 증가분이 전 세계 다른 지역의 증가분 합계보다 더 많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홍콩에 본사를 둔 컨설팅업체인 게이브칼 드래고노믹스(Gavekal Dragonomics)가 이같은 내용의 보고서를 발표했다고 중국 매체 차이징(財經) 산하 레이트포스트가 20일 전했다. 매체는 올해 중국 내 반도체 공장 증설이 완료되면 한달간 웨이퍼 생산량 100만장이 증가하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대만 증설분은 한달 웨이퍼 30만장, 한국 증설분은 20만장, 미국 증설분은 18만장, 일본 증설분은 10만장으로 나타났다. 이들을 다 합하면 한달 78만장이다. 중국에서의 증설분은 모두 성숙 공정인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과 동맹국의 대중국 반도체 제재로 인해 중국 본토의 웨이퍼 제조업체는 외국의 소재, 장비, 소프트웨어 도구를 수입할 수 없는 상황이다. 하지만 중국의 업체들은 공격적으로 반도체 증설투자에 나서고 있으며, 전체 자원을 미국의 제재를 받지 않는 분야인 성숙공정에 집중시키고 있다. 성숙공정은 28nm(나노미터) 이상의 반도체공정을 뜻하며, 성숙공정을 통해서는 자동차용, 산업용, 에너지용, 가전제품용, 디스플레이용 반도체를 생산할 수 있다. 다
중국 가전시장에서 삼성전자가 다시 부상할 가능성이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지난해 중국 컬러TV 시장이 저점을 통과한 만큼 올해 컬러TV 시장이 성장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크다. 또 75인치 등 TV 대형화 추세가 가속화될 것이라는 예상이 지배적이다. 중국 경제 전문 매체 제일재경은 삼성전가 중국 가전 시장에 재진출하겠다는 신호를 보냈다고 20일 전했다. 이 매체는 최근 폐막한 중국 가전전시회 'AWE 2024(Appliance & Electronics World Show)'에서 최승식 삼성전자 중화권 총재(사장)가 한 말을 주목했다. 최 총재는 "삼성은 모바일 기기와 스마트 가전제품, 스마트 홈에 인공지능(AI)를 접목하고 통합하는 노력을 하고 있다"라고 밝힌 바 있다고 이 매체는 전했다. 삼성전자의 중국 컬러TV 시장 부활 조짐은 데이터로도 나타나고 있다. 중국 AVC(奥维云网)에 따르면 올 1월부터 지난 3월 10일까지 삼성전자의 중국 오프라인 컬러TV 시장 매출 비중은 8.48%로 전년 동기 대비 0.95%포인트 상승했다. 또 같은 기간 삼성전자의 컬러TV 평균 판매 가격은 1만3627위안(한화 253만원)으로 중국 평균 판매 가격 7450위안보다
식각장비와 증착장비를 생산하는 중국의 반도체 장비업체 AMEC(중국명 중웨이공사, 中微公司)가 그동안 5나노 반도체 공정에 필요한 식각기 300대를 공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즈야오(尹志堯) AMEC 회장은 18일 열린 기업설명회에서 "신형 식각기 600대가 글로벌 반도체 업체들에 공급됐으며, 이 중 절반은 5나노(nm) 공정에 사용되고 있다"고 밝혔다고 중국 증권시보가 19일 전했다. 인 회장은 "회사는 지난 20여년동안 15가지 플라즈마 식각 장비를 개발했으며, 이들 제품은 성능, 안정성, 신뢰성 측면에서 고객사들의 높은 요구조건들을 모두 충족했다"며 "식각장비의 정밀도는 0.1nm이하까지 줄어들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회사의 제품은 절반 이상의 식각기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으며, 성능과 가격 측면에서 글로벌 최정상급 수준에 도달했다"고 부연했다. 이날 AMEC는 지난해 실적을 공개했다. AMEC는 지난해 전년 대비 32.1% 증가한 62억6400만 위안(한화 1조1642억원)의 매출액을 기록했다. 식각장비 판매액은 49.3% 증가한 47억 위안이었으며 MOCVD(증착장비) 판매액은 33.9% 감소한 4억6200만 위안이었다. 지난해 순이익은 52.
자율주행용 인공지능(AI) 칩을 개발하는 중국 디핑셴 지치런(地平線機器人, 호라이즌 로보틱스)의 제품이 110개 이상의 양산차 모델에 장착됐다. 위카이(餘凱) 디핑셴 최고경영자(CEO)는 17일 베이징에서 진행된 '중국 전기차 100인 포럼'에서 110개 이상의 차량에 자사 칩이 장착되고 있다고 밝혔다고 중국경영보가 18일 전했다. 위 CEO는 "디핑셴은 그동안 30개 이상의 완성차 업체와 양산 협력을 해왔으며, 110개 이상의 차량 모델에 디핑셴의 제품이 장착되고 있다"고 소개했다. 위카이 CEO는 "디핑셴은 그동안 정청(征程)2, 정청3, 정청5 등의 제품을 출시했으며, 올해 4월에는 정청6를 출시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정청6에 대해 "프로젝트 기획단계의 기대치를 훨씬 뛰어넘는 성능을 보이고 있다"며 "누가 봐도 베테랑 반도체 업체가 만들었다는 느낌을 받게 될 것이며, 이같은 제품은 우리로서는 처음 만들어 냈다"고 강조했다. 그는 "소비자는 스마트 운전을 통해 안전함과 편리함을 누리게 될 것"이며 "보조 운전 칩의 침투율은 지난해 50%를 넘어섰고, 조만간 100%까지 올라설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현재 자율주행 칩은 스마트 드라이빙과 스마
글로벌 숏폼 플랫폼인 틱톡(TikTok)의 모기업인 바이트댄스(중국명 즈제탸오둥)가 중국 메모리 칩 기업인 신위안(昕原)반도체에 지분투자를 했다. 바이트댄스의 자회사인 싱가포르 피코하트가 신위안반도체의 지분 9.5%를 인수해 3대주주에 올라섰다고 중국 커촹반(科創板)일보가 15일 전했다. 신위안반도체는 2019년 홍콩의 멤리스(MEMRIS)가 설립했으며 현재 28.7%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이어 2대주주는 24.9%의 지분율을 보유하고 있는 상하이롄허(聯和)투자다. 신위안반도체는 ReRAM을 개발하는 스타트업이다. ReRAM은 'Resistive Random-Access Memory'의 약자로, 비휘발성 메모리의 한 유형이다. 플래시메모리에 비해 빠른 속도와 높은 내구성을 제공하며, 더 낮은 전력소비를 특징으로 한다. ReRAM은 미래 메모리 기술 중 하나로 주목받고 있다. 매체는 신위안반도체는 중국 본토에서 유일하게 ReRAM의 대량 생산을 실현한 회사라고 평가했다. 신위안반도체는 소재, 공정, 칩 설계, IP(설계자산) 설계 등 분야에 경쟁력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신위안반도체는 공업자동화 컨트롤러 핵심부품에 사용되는 ReRAM 제품을
중국의 GPU(그래픽처리장치) 전문 팹리스(반도체 설계 전문업체)인 징자웨이(景嘉微)가 AI 반도체 신제품인 '징훙(景宏)' 시리즈를 개발했다고 중국 퉁화순(同花順)재경이 14일 전했다. 신제품은 조만간 시장에 출시될 예정이라고 이 매체는 소개했다. 징훙은 징자웨이가 AI 훈련, AI 추론 및 과학 연산 등의 응용영역에 특화시켜 개발한 고성능 스마트 모듈이다. 징훙은 INT8, FP16, FP32, FP64 등 혼합 정밀 연산을 지원한다. INT는 정수형 데이터 형식으로 INT8은 정수를 8비트로 표현한 것을 의미한다. FP는 부동 소수점 데이터 형식이며, FP64는 부동 소수점 숫자를 64비트로 표현한 것이다. 또한 징훙은 새로운 멀티카드 상호 연결 기술을 지원해 연산력을 확장하며, 글로벌 CPU 및 운영체제에도 호환될 수 있다. 특히 컴퓨팅 생태학과 딥 러닝 프레임워크 및 알고리즘 모델도 지원한다. 징자웨이는 "이번에 개발된 제품이 컴퓨팅 분야에서 회사의 제품라인을 풍부하게 했으며, 비즈니스를 확장할 수 있게 됐다"며 "관련 분야에서 회사의 경쟁력을 대폭 강화하게 될 것"이라고 자평했다. 징자웨이가 가장 최근 발표한 제품은 2021년 9월에 출시한 회사의
중국 스마트폰 업체 촨인(傳音, 트랜션)이 자체 제작한 반도체를 공개했다고 중국 매체 IT즈자(之家)가 13일 전했다. 트랜션은 지난 2013년 광둥(廣東)성 선전(深圳)시에 설립된 민영기업이다. 설립 당시부터 중국 시장이 아닌 중동과 아프리카, 중남미 시장에 특화된 스마트폰 개발에 집중한 업체다. 트랜션은 산하에 테크노, 인피닉스, 아이텔 등 3개의 스마트폰 브랜드를 운영하고 있다. 테크노는 지난해 4분기 중동-아프리카 시장에서 20%의 시장점유율로 브랜드별 점유율 1위를 차지했다. 3개 브랜드의 아프리카 시장 점유율 합계는 48%에 달한다. 이번에 반도체를 출시한 곳은 트랜션 산하 브랜드의 하나인 인피닉스다. 트랜션은 이번에 처음으로 반도체를 출시했으며, 인피닉스는 전력 관리 칩인 '치타(Cheetah) X1'을 공개했다. 인피닉스는 이 칩이 곧 출시될 인피닉스 노트 40 시리즈에 탑재될 것이라고 발표했다. 해당 스마트폰에는 ‘올라운드 급속충전 장치’가 장착되며, 치타 X1은 해당 장치의 중추적인 부품이다. 치타 X1은 프로토콜 통합, 충전 조정 등 기능 통합, 최대 100W의 다중 속도 유선 충전, 무선 충전, 야간 충전시 AI 충전 보호, 영하 20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