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중국의 자동차 판매 대수 목표가 3230만대로 설정됐다. 이 가운데 전기자동차 등 신에너지차 판매는 1550만대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17일 제일재경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공업정보화부 등 중국 8개 부처는 '자동차산업 안정적 성장 추진 계획(2025~2026년, 이하 추진 계획)을 발표했다. 이번 중국 당국의 추진계획의 핵심은 연간 3230만대 판매와 협력업체 대금 지급 의무 이행, 온라인 부정행위 단속 캠페인, 레벨3(L3) 차량 생산 조건부 승인 등 크게 4가지다. 공업정보화부 등 8개 부처는 올해 자동차 판매 목표를 3230만대로 정했다. 이는 전년 대비 3% 증가한 것이다. 중국 자동차 판매는 지난 2023년 사상 첫 3000만대를 돌파한 이후 지난해에는 3144만대를 기록했다. 올 8월까지 중국 자동차 판매량은 2112만8000대다.<본지 9월 12일자 '中 8월 누적 자동차 생산 및 판매 2000만대 돌파' 참조> 따라서 9월부터 12월까지 1117만대 이상 판매해야 목표 달성이 가능하다. 지난해 같은 기간 1267만대가 판매됐다는 점에서 목표 달성이 가능하다는 게 중국 내부의 분위기다. 신에너지차 판매 목표는 전년 대비 20
중국 1위 배터리 업체인 닝더스다이(CATL)의 주가가 15일 장중 한때 최고가를 기록하는 등 최근 상승세를 타고 있다. CATL은 15일 나트륨 배터리 국가 인증을 획득, 조만간 나트륨 배터리가 탑재된 전기자동차가 출시될 것으로 보인다. 16일 상하이증권보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지난 15일 장중 한때 CATL 주가가 주당 371.52위안을 기록, 지난 2021년 최고가를 넘어섰다. CATL 주가가 다시 탄력을 받은 것은 나트륨 배터리 인증 획득보다 내년 배터리 생산량이 늘어날 것이라는 기대감이 작용했다는 중국 내부 분석이 나오고 있다. 주가 상승 원동력이 향후 배터리 수요 증가라는 것이다. 중국 내부에선 내년 CATL 배터리 생산량이 900~1000GWh에 달할 것으로 전망이 나오고 있다. 이는 2025년 추정 생산량 약 700GWh에서 43% 증가한 것이다. 이 같은 생산량 증가는 전력 배터리와 에너지 저장용 배터리에 대한 해외 수요 증가에 따른 것으로 CATL이 향후 2년간 생산 용량을 300GWh 이상 확대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올 상반기 기준 CATL의 가동률은 약 90% 인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일각에선 CATL의 수요에 비해 가동
중국과 남미를 연결하는 세계 최장 항공길이 열렸다. 중국 내부에선 일대일로(육상·해상 실크로드) 확장이라는 데 의미를 두고 있다. 경제일보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동방항공은 오는 12월 중국 상하이~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를 운항하는 항공편을 운항한다. 이 노선의 운항거리는 2만Km에 달한다. 운항은 시간은 25시간 55분이다. 세계 최장 운항 시간이다. 비행거리가 2만Km가 넘어 뉴질랜드 오클랜드를 경유한다. 약 2시간 25분 경유하는 동안 항공유를 보충한다. 복편 비행 시간은 약 29시간이다. 이 노선의 이코오믹석 요금은 1만2235위안(한화 약 239만원)부터 시작하며, 비즈니스석은 4만5754위안(895만원)부터 시작한다. 논스톱이 아니라는 점에서 기존 최장 노선인 싱가포르~뉴욕(JFK공항) 노선과 순위 바뀜은 없다. 이 노선의 운항거리는 1만5348Km이며, 비행시간은 18시간 40분이다. 상하이(푸동공항)~부에노스아이레스(에세이사공항) 노선에는 보잉 777이 투입된다. 항속거리가 1만3000Km가 넘는 777-300ER 기종이 투입될 것으로 추정된다. 동방항공은 앞서 지난 6월 상하이~부에노스아이레스 운항에 합의한 바 있다. 이 노선은 중국에서
멕시코의 중국산 자동차 50% 관세 부과에 대해 중국 자동차 수출에 비상이 걸렸다. 멕시코는 자국산업 보호를 이유로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하지 않은 국가를 대상으로 수입 관세를 부과하기로 결정한 상태다. 멕시코는 관세 부과와 관련 대중국 무역 적자를 언급하고 있다. 지난해 말 기준 멕시코 전체 수입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19.9%다. 적자 규모가 1131억 달러에 달한다. 반면 중국 내부에서는 미국의 영향을 받아 멕시코 정부가 중국산 자동차 등 중국 제품에 관세를 부과하는 것이라고 의심하고 있다. 15일 중국 매체 제일재경은 중국승용차협회(CPCA)의 자료를 인용, 올 1월부터 7월까지 중국 자동차 수출 대수는 모두 418만대다라고 전했다. 국가별로는 멕시코가 32만2000대로 1위 수출국가이며, 그다음은 아랍에미레이트(UAE), 27만1000대, 러시아 22만8000대, 벨기에 18만4000대, 브라질 17만5000대 순이다. 특히 멕시코는 중국 자동차 수출 1위국인 러시아를 제치고 올해 1위에 오르는 등 최근 중국산 자동차 핵심 수출국으로 떠오른 시장이다. 그간 멕시코의 중국산 자동차(경차, A세그먼트) 관세는 15~20%였다. 관세가 50%
중국 자동차 생산량과 판매량이 2000만대를 넘어섰다. 12일 중국자동차공업협회(CAMM)에 따르면 올 1월부터 8월까지 중국에서 생산된 자동차는 모두 2105만1000대로 전년 대비 12.7% 증가했다. 이 기간 판매량은 전년 대비 12.6% 늘어난 2112만8000대로 집계됐다. 8월 누적 생산과 판매가 각각 2000만대를 넘어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8월 누적 승용차 생산량과 판매량은 각각 1833만8000대와 1838만4000대로 전년대비 각각 13.6%와 13.8% 늘었다. 중국 자동차 생산 및 판매 증가는 전기자동차 등 신에너지차가 이끈 것으로 보인다. 8월 누적 신에너지차 생산량과 판매량은 각각 962만5000대와 962만대로 전년 대비 37.3%와 36.7% 증가했다. 올해 전체 신차 판매량 가운데 신에너지차가 차지하는 비중은 45.5%에 달했다. 중국 자동차 생산과 판매가 급증한 가운데 업체간 부익부 빈익빈 현상도 두드러지고 있다. 8월 누적 기준 중국 자동차 판매량 상위 10대 기업의 전체 판매량은 1759만4000대로 83.6%를 차지했다. 수출도 증가했다. 8월 누적 중국 자동차 수출은 전년 대비 13.7% 증가한 429만2000대로
8월 중국 전기자동차 등 신에너지차 판매량이 111만대를 넘어섰다. 차이롄서는 11일 중국 승용차협회(CPCA)가 공개한 자료를 인용, 8월 신에너지차 판매량이 111만5000대로 전년 동기 대비 8.8%, 전월 대비 13.0% 증가했다고 전했다. 1월부터 8월까지 중국 신에너지차 누적 판매량은 전년 동기 26.0% 늘어난 757만대로 집계됐다. 현재와 같은 추세라면 2025년 중국 신에너지차 판매는 1100만대를 훌쩍 넘을 것으로 전망된다. 8월 소매 판매량 1위는 역시 비야디(BYD)였다. 비야디는 8월 한달간 31만200대를 판매했고, 그다음은 지리차 13만4405대, 장안차 7만2338대, 상하이GM우링 6만1351대, 테슬라 5만7152대, 립모토 5만1162대, 흥멍즈싱 4만4561대, 세레스차 4만12대, 체리차 3만9122대, 샤오미오토 3만6396대 등의 순이다. 10위권에 이름을 올린 업체 가운데 가장 주목을 받는 곳은 샤오미다. 샤오미 8월 판매량은 전년 동월 대비 무려 177.6%가 급증한 수치다. 이 같은 급증은 6월 말 출시한 첫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인 'YU7'의 인기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YU7은 공식 출시 발표 3분만에
중국 공업정보화부와 국가발전개혁위원회, 국가시장감독관리총국, 공안부 등 6개 부처가 자동차업계 인터넷 혼란 바로잡기 특별 캠페인을 실시한다. 11일 펑파이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공업정보화부 등 6개 부처는 전날 '자동차 업계 인터넷 혼란 바로잡기 특별 캠페인 실시에 관한 공지(이하 공지)'를 발표했다. 공지를 보면 중국 자동차 산업 특히 전기차 등 신에너지차 산업 및 유통 문제의 심각성이 그대로 드러난다. 우선 불법적 부당 이익 문제가 지적됐다. 허위 영상과 이미지 등 자동차 회사에 대한 부정적인 내용 유포 문제를 지목했다. 이 같은 허위, 가짜 정보를 통해 트래픽을 올려 상업적 이익을 얻는 사례가 있다는 것. 또 과장 및 허위 광고를 통해 소비자를 기만하는 행위도 단속 대상이다. 자동차 제조사가 허위 데이터를 인용 또는 조작하거나 판매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공개하는 등 자동차 업계와 사회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6개 부처는 경고했다. 반대로 경쟁사에 대한 악의적 명예 훼손, 악의적 불만 제기 등도 캠페인 대상이다. 중국 6개 부처는 공지를 통해 앞으로 3개월간 이 같은 문제를 바로잡겠다고 명시했다. 그러면서 부정행위 배후에 홍보 및 마케팅 회사들
오는 9일(현지시간) 신제품 애플 '아이폰17' 공개를 앞두고 있는 가운데 신제품 가격이 오를 가능성이 있다고 5일 중국 매체가 전했다. 차이롄서는 관련업계 전문가들의 말을 인용, 애플이 신제품 가격을 인상할 가능성 있다고 5일 전했다. 애플은 오는 9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쿠퍼티노 애플 파크 내 스티브 잡스 시어터에서 신제품 발표 행사를 가질 것이라고 예고한 바 있다. 현재 아이폰17 시리즈는 일반과 에어, 프로, 프로맥스 등 4가지 모델로 출시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지난해 아이폰16 출시가격은 일반 829달러, 플러스 899달러, 프로 999달러, 프로맥스 1199달러였다. 지난해 시리즈와 비교하면 플러스가 에어로 대체되는 것으로 보인다. 에어의 두께는 약 5.5㎜로 알려지고 있다. 삼성전자 신제품 갤럭시 S25 엣지 두께는 5.8㎜다. S25 엣지 가격은 1099달러다. 이 때문에 아이폰17 에어의 가격이 기존 플러스 가격보다 비쌀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에어 가격이 상승하면 프로와 프로맥스 가격도 동반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는 게 중국 매체들의 전망이다. 차이롄서는 애플이 신제품 가격 상승 요인을 관세가 아닌 신기술에 중점을 두고 홍보할 가능
애플이 폴더블폰 시장에 진출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는 가운데 중국 스마트폰 업체들이 유럽에서 점유율을 늘리고 있다. 2일 제일재경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지난해 삼성의 유럽 폴더블폰 시장 점유율 50%로 전년 73%에 비해 크게 떨어졌다. 제일재경은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 데이터를 인용, 삼성 폴더블폰의 유럽 시장점유율이 한때 98%에 달했지만 최근 중국 업체들이 유럽에 신형 폴더블폰을 대거 출시하면서 삼성의 점유율이 크게 떨어졌다고 전했다. 같은 기간 가장 큰 성장을 한 업체는 중국 업체 아너라고 이 매체는 강조했다. 아너의 점유율은 2023년 10% 미만에서 2023년 34%로 늘었다. 그러면서 중국 폴더블폰 업체들의 유럽 약진이 예상했다. 유럽 스마트폰 시장이 과거 통신사 중심에서 오픈 마켓으로 이동하면서 중국 업체들에 기회가 생겼다는 것이다. 중국 폴더블폰 업체들의 시장 점유율이 늘어나면서 중국 업계의 분위기는 '삼성의 라이벌'이 됐다는데 다소 고무된 상태다. 올해 유럽 스마트폰 단말기 규모는 1억3000만~1억4000만대가 될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특히 영국과 독일 등 초고가 유럽 시장에서는 폴더블폰이 비교적 빠르게 도입될 것으로
중국 신에너지자동차(친환경차) 공룡 비야디(BYD)가 올 상반기 매출 3712억8000만 위안(한화 약 72조5000억원)을 기록했다고 반기 보고서를 제출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23.3% 증가한 것이다. 1일 차이롄서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비야디는 올 상반기 매출 3712억8000만 위안, 순이익 155억1000만 위안(한화 3조원)의 반기 실적을 공개했다. 비야디 올 상반기 매출과 순이익은 전년 대비 각각 23.3%와 13.7% 증가했다. 부문별로는 자동차 부문 매출이3035억600만 위안으로 전년 대비 32.4% 늘었다. 반면 휴대폰 부품 등 기타 부문은 전년 대비 5.5% 감소한 687억4400만 위안으로 집계됐다. 비야디 매출이 크게 증가한 것은 신에너지차 판매 증가에 따른 것이다. 올 상반기 비야디가 판매한 차량은 모두 214만6000대로 지난해 같은 기간(161만3000대)보다 33% 늘었다. 중국 매체들은 올해 비야디 수출 증가에 의미를 두는 모양새다. 올 상반기 비야디 수출은 전년 대비 무려 130% 급증한 47만대다. 이는 지난해 연간 수출을 넘어선 수치다. 올해 비야디의 해외 판매 목표는 약 80만대다. 현재와 같은 속도라면 올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