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미국 신용카드 기업인 마스터카드의 중국 진출을 승인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의 정상회담 이후 이뤄진 첫 번째 조치로 해석된다. 20일 중국 매체 펑파이는 인민은행과 국가금융감독관리총국이 지난 17일 완스왕롄 정보기술 베이징 유한회사(이하 왕스완롄)가 제출한 신용카드 결제업을 허가했다. 완스왕례는 미국 마스터카드의의 중국 현지 합작법인이다. 중국 금융당국이 미국 신용카드사의 중국 내 신용카드 결제업을 승인한 것은 지난 2020년 아메리칸 익스프레스에 이어 2번째다. 아메리칸 익스프레스는 합작사인 롄퉁을 통해 중국 신용카드 결제업 승인을 받았다. 펑파이는 '국무원의 카드 결제기관 진입 관리 실시에 관한 결정'과 '카드 결제기관 관리조치' 등의 규정에 따라 인민은행과 국가금융감독관리총국이 마스터카드의 중국 내 신용카드 결제업을 승인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마스터카드는 중국 시중은행이 발급한 카드에 마스터카드 브랜드를 붙이고 영업을 할 수 있게 됐다. 펑파이는 마스터카드는 미국에서 2번째로 큰 결제기관이라면서 이번 중국 진출 승인은 중국의 금융시장 개방 의지를 보여주는 좋은 예라고 설명했다. 또 해외 신용카드 결제업의 추가 중
중국의 올해 자동차 수출 물량이 450만대 이상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중국 내부에선 세계 1위 자동차 수출국 타이틀을 기대하는 분위기다. 20일 중국 매일경제신문 등에 따르면 지난 10월 말 기준 중국 자동차 수출 대수는 모두 392만2000대로 전년 동기 대비 59.7% 증가했다. 중국은 지난 1분기 자동차 107만대를 수출, 1분기 기준 세계 자동차 수출국 1위에 오른 바 있다. 중국 내부에선 올해 연간 기준 중국 자동차 수출 대수가 450만대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연간 기준 세계 자동차 수출 1위국에 오를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중국 자동차 수출이 100만대를 넘어선 것은 지난 2012년이다. 이후 줄곧 제자리 걸음을 하던 중국 자동차 수출은 지난 2021년 200만대 고지를 돌파했다. 100만대에서 200만대로 가는데 무려 10년이라는 세월이 필요했다. 하지만 300만대를 돌파하는데 걸린 시간은 고작 1년에 불과했다. 중국 자동차 수출 대수가 지난해 311만대를 기록한 것이다. 자동차 왕국 독일을 제치고 지난해 2위 자리를 꿰찼다. 올해는 일본을 제치고 자동차 수출국 1위에 오를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중국을 자동차 수출국
중국 당국이 베이징 등 15개 도시의 모든 공공부문 차량을 전기자동차로 교체하라고 고시를 했다. 또 자율주행 자동차의 시범 프로젝트를 31개 성(省)·시·자치구로 확대하기로 했다. 올해 전기차 판매가 급증하자, 전기차 및 자율주행차 보급을 더욱 늘리기로 한 것이다. 앞서 중국 국가관리국은 지난 9월 31개 성 관용 자동차 담당자들에게 노후 관용 차량 교체시 전기차로 교환하라고 장려한 바 있다. 장려를 넘어 고시를 통해 전기차 구매를 지시함에 따라 전기차 판매가 더욱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본지 10월10일자 '中 31개省, 관용차 전기차로 교체 지시'> 17일 경제관찰보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공업정보화부와 교통부 등 8개 부처는 지난 14일 '공공부문 차량 완전 전기화를 위한 1차 시범구역에 관한 고시'를 발표했다. 이번에 고시된 지역은 베이징과 선전, 충칭, 청두, 정저우, 닝보, 샤먼, 스자좡, 하이커우, 창춘 등 모두 15개 도시다. 해당 지역은 재정 상태가 양호하고 전기차 충전소 등 관련 인프라가 상대적으로 잘 갖춰진 곳으로, 전기차 보급 확대를 이끌 수 있다는 판단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이번 고시에 따라 15개 도시의 관용차와 시
중국 와이파이 칩 업체인 캉시(康希)통신이 상하이거래소 커촹반(科創板)에 17일 상장됐다. 상장 첫날 주가는 147%까지 급등하며 시가총액 110억위안(한화 2조원)을 기록했다고 중국경제망이 이날 전했다. 캉시통신은 와이파이 프런트 엔드 모듈(FEM) 칩을 설계하는 팹리스(반도체 설계 전문회사)다. 캉시통신의 매출구성 역시 와이파이 FEM이 80%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와이파이 FEM은 안테나와 송수신기 사이의 회로 및 부품을 포함하며, 무선통신장치에서 주파수 변환, 증폭, 안테나 매칭 및 다양한 신호 처리 기능을 담당하는 중요 부품이다. 와이파이 FEM 시장에서는 스카이웍스(Skyworks)와 코보(Qorvo)로 대표되는 미국 업체들이 주도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양대 업체가 세계 시장 점유율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중국시장에서는 캉시통신이 두각을 나타내고 있지만, 해외 업체들과는 여전히 상당한 격차가 존재한다. 캉시통신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2022년 캉시통신의 중국 내 화이파이 FEM 시장 점유율은 20.26%며, 글로벌 시장에서의 점유율은 6.52%다. 캉시통신의 제품은 ZTE, 지샹텅다(吉祥騰達), TP-Link, 징둥윈(京東雲), 톈이
중국이 6개월 연속 미국 국채를 줄였다. 중국 매체 펑파이는 9월 미국 재무부의 국제자본흐름보고서(TIC)를 인용, 9월 중국의 미 국채 보유액은 전월보다 273억 달러 감소한 7781억 달러라고 17일 전했다. 이는 지난 2009년 5월 이후 최저치라고 덧붙였다. 중국의 미 국채 보유액은 지난해 4월 1조 달러 아래로 떨어진 이후 매월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중국은 지난해 8월부터 지난 2월까지 7개월 연속 미국 국채 보유액을 줄인 바 있다. 이후 4월부터 6개월 연속 미국 국채 보유액을 줄이고 있다. 세계 1위 미 국채 보유국인 일본도 지난 9월 285억 달러를 줄였다. 9월 기준 일본의 미 국채 보유액은 1조877억 달로로 집계됐다. 일본은 전월에는 37억 달러 늘린 바 있다. 세계 3위 미 국채 보유국인 영국도 9월 292억 달러 감소한 6689억 달러로 집계됐다. 일각에선 세계 2위 미국 국채 보유국인 중국이 매달 보유액을 줄이면서 미국 국채 가격이 떨어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실제 미국 국채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지난 7월 재닛 옐런 미국 재무 장관의 중국을 방문했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당시 관영 매체들은 옐런 장관 방중 기간 중 미국
뉴욕증시가 숨 고르기에 들어갔다. 16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 지수는 전장보다 0.13% 하락한 3만4945.47에 장을 끝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지수는 전장보다 0.12% 오른 4508.24를,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0.07% 오른 1만4113.67을 나타냈다. 긴축 기조 전환에 힘을 실어주는 지표가 나왔지만 뉴욕증시는 이날 관망세가 확산되는 분위기였다. 다우 지수는 3만5000 고지를 넘어선 후 하루 만에 소폭 내려왔고, S&P 지수와 나스닥 지수는 상승했지만 강도는 약했다. 지난 주 미국 주간 신규 실업보험 청구 인원은 23만1000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3개월 만에 가장 많은 것이다. 실업보험 청구 인원이 늘었다는 것은 일자리를 찾는 데 어려움이 있다는 의미이자 경기 둔화를 뜻한다. 다만 여전히 23만명대라는 점에서 아직은 노동 시장이 견조하다는 분석도 제기됐다. 경기 둔화 전망에 국제 원유 가격은 크게 떨어졌다. 12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날보다 4.9% 급락한 배럴당 72.90달러에, 브렌트유는 전장 대비 4.6% 떨어진 배럴당 77.42달러에 거래됐다. 국제유가가 크게 떨어지면서 엑슨모빌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기업인 알리바바그룹 창업자인 마윈(马云)이 알리바바 주식 1000만주를 매각한다. 16일 펑파이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마윈과 그 가족들이 지배하고 있는 JC 프로퍼티(JC Properties Limited)와 JSP 인베스트먼트(JSP Investment Limited)가 알리바바 주식을 각각 500만주를 매각한다. 이는 15일(현지시간) 종가 기준 8억7070만 달러어치다. JC 프로퍼티와 JSP 인베스트먼트는 영국령 버진 아일랜드에 본사를 둔 페이퍼 컴퍼니다. 펑파이는 2020년 7월 기준 마윈의 알리바바 지분은 4.8%이지만 이후 마윈의 지분 상황은 공개되지 않고 있다고 전했다. 2019년 홍콩거래소에 공개된 마윈의 지분은 6.1%였다. 당시 마윈은 4개 방식으로 6.1%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었다고 펑파이는 전했다. JC 프로퍼티와 JSP 인베스트먼트가 각각 4억1894만3904주와 3억9840만4608주를 보유하고 있었다고 설명했다. 펑파이는 최근 알리바바가 사업 구조를 조정하는 등 적지 않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클라우드 사업부 완전 분사 계획 철회 등 굵직한 의사 결정에 마윈의 보이지 않는 입김이 작용
미국의 대(對)중국 반도체 제재 강도가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중국의 대형 IT기업인 텐센트가 이에 대응해 중국내에서 AI 칩을 조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16일 중국의 IT 전문매체인 지웨이왕(集微網)에 따르면 류츠핑(劉熾平) 텐센트 회장은 최근 현지 인터뷰에서 "미국의 지난달 대중국 반도체 제재로 인해 우리는 더욱 효율적으로 현재 보유중인 AI 칩을 사용해야 하며, 이와 동시에 중국내에서 AI칩을 조달할 방안을 모색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류 회장은 "텐센트는 이미 '훈위안(混元)'이라는 이름의 자체적인 인공지능 모델을 지속적으로 개발중이며, 이를 위해 충분한 엔비디아 칩을 보유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텐센트는 중국내 AI칩 재고가 가장 많은 기업중 하나"라고 덧붙였다. 미국은 지난해 10월 엔비디아의 A100, H100의 중국 수출을 금지한 데 이어, 지난달에는 엔비디아의 중국 수출용 버전인 A800과 H800에 대한 수출을 금지하는 조치를 취했다. 이로 인해 엔비디아 AI칩의 중국 수출이 사실상 불가능해졌다. 이와 함께 중국 업체들이 자국산 AI칩인 GPU를 구매하고 있다. 바이두는 지난 8월 화웨이의 GPU인 어센드(Ascend, 중국명 성성
국제통화기금(IMF)도 중국 경제에 대해 긍정적인 전망치를 내놓았다고 관영 신화통신이 16일 전했다. 앞서 골드만삭스와 UBS도 중국의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상향 조정한 바 있다. 전날 중국 국가통계국이 10월 소매판매와 산업생산 등 핵심 경제 지표를 발표한 후 신화통신은 세계 주요 경제 예측 기관들이 공개한 전망치를 종합, 중국 경제가 회복되고 있다는 점을 부각시켰다. 특히 14억 인구에서 나오는 소비 시장이 중국 경제를 견인할 것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신화통신은 IMF가 올해 중국 성장률 전망치를 종전 5%에서 5.5%로 상향 조정했다고 보도했다. 또 내년 성장률 전망치도 4.2%에서 4.6%로 상향 조정했다고 설명했다. 신화통신은 7월 이후 복잡한 국제 정세와 자연재해 복합적인 요인으로 인해 중국의 일부 경제 지표에 이상 징후가 나타났지만 4분기 들어 정상화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올 3분기까지 중국 성장률은 5.2%이며, 올해 목표치 '5% 안팎' 달성에 문제가 없다고 덧붙였다. 신화통신은 앞서 골드만삭스와 UBS가 소비의 지속적인 회복과 투자의 지속적 증가, 수출 증가 등에 힘입어 중국 경제가 내년에도 개선될 것이라고 보도한 바 있다. 실제
중국 샤오미가 만든 첫 번째 전기자동차가 공개됐다. 16일 제몐신문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샤오미의 첫 전기차인 'SU7'이 중국 공업정보화부 신차 신고 목록에 등재됐다. 신차 신고 목록 등재는 사실상 중국 당국으로부터 승인을 받았다는 뜻이며, 조만간 SU7이 출시된다는 의미다. SU7은 4도어 쿠페 스타일로 길이 5m, 폭 1.96m, 높이 1.44m, 휠베이스 3m다. 스포티함을 강조하기 위해 차량 전면부가 낮게 설계됐다. SU7은 순수 전기차로 SU7와 SU7 프로, SU7 맥스 등 3가지 버전으로 출시된다. 이들 모델에 적용되는 배터리는 삼원계 배터리(CATL)와 인산철 배터리(BYD)다. 모터 전력은 220kW와 275kW다. 운항 거리는 공개되지 않았다. 중국 내 최대 관심사는 역시 가격이다. 중국 내부에선 30만~40만 위안 대에서 가격이 결정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기본형인 SU7은 30만 위안 아래에서 책정될 가능성이 높고 프로는 30만대 중반, 맥스는 30만대 후반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샤오미는 전기차를 생산 판매하기 위해 베이징자동차그룹(BASIC)과 협력한다. 다만 전기차는 베이징 이좡 샤오미 공장에서 생산하며,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