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일 치솟던 국제 금값이 진정세를 보이고 있다. 글로벌 경기와 지정학적 우려로 인한 불확실성 속에서 국제 금값이 연일 고공행진을 한 바 있다. 특히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이 금 구매를 5개월 유지하면서 당분간 국제 금값이 횡보세를 보일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중국 매체 펑파이는 세계금협회(World Gold Council) 자료를 인용, 지난 8월 금 순매입량은 약 8t이라고 14일 전했다. 지난 8월 말 기준 세계 주요 중앙은행의 금 매입이 둔화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고 이 매체는 설명했다. 실제 지난 8월 말 기준 금 매입에 나선 중앙은행은 폴란드와 체코, 튀르키예, 인도 등 4곳에 불과했다. 8월말 기준 튀르키예 중앙은행의 금 순증가액은 52t인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이와 관련 세계금협회는 “글로벌 중앙은행의 금 구매가 크게 둔화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는 추세 변화라기보다는 글로벌 중앙은행들이 관망적인 자세를 보이는 것이라면서 이 관망적 태도는 지속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세계금협회는 올해 세계 주요 중앙은행의 금 수요는 여전히 긍정적이지만 지난해보다는 낮을 수 있다고 전망했다. 세계 금 시장에서 큰 손으로 불리는 인민은행은 지난 4월 이
중국의 대형 인쇄회로기판(PCB)업체인 징왕전자가 태국에 PCB 공장을 착공했다. 징왕전자는 10일 태국 바진주 자민부리시 킨지공단에 현지 공장 착공식을 진행했다고 자체 SNS 공식계정을 통해 11일 전했다. 류위 징왕(景旺)전자 회장은 "태국 공장 건설은 징왕전자 발전전략의 중요한 일환이며, 전세계 고객에게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조치"라며 "징왕전자가 글로벌 시장을 향해 나아가는 중요한 이정표"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징왕전자의 태국공장은 킨지공단내 9만7292㎡ 부지에 들어서게 된다. 건설은 2단계로 진행된다. 1단계 공정에는 20억 위안(한화 약 3800억원)이 투자되며, 2026년초부터 양산을 시작한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다. 징왕전자는 1년 이내에 ISO9000, ISO14000, IATF16949, OHSAS18000과 같은 국제 시스템 인증을 완료한다는 방침이다. 1단계가 완공되면 월 10만㎡의 PCB를 생산할 예정이다. 징왕전자의 태국공장은 자동차 전자, 네트워크 통신, 서버 및 스토리지, 통신 모듈 분야의 글로벌 고객을 대상으로 제품을 생산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태국공장은 고밀도 상호연결(HDI) PCB 제품을 포함한 고급 시장 수요를
중국의 대형 팹리스(반도체 설계 전문회사) 업체인 윌(Will)세미컨덕트(웨이얼반도체, 윌세미)의 올해 3분기까지의 순이익이 500%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윌세미는 9일 실적 예고 공시를 통해 3분기까지의 매출액은 187억~189억 위안으로 추정된다고 발표했다. 또 3분기까지의 순이익이 22억~24억 위안일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전년 대비 515.3%~569.6% 증가한 것이다. 윌세미 측은 공시를 통해 "시장 수요가 지속적으로 회복되고 있으며, 회사의 프리미엄 스마트폰용 제품을 비롯해 자율주행 자동차용 제품이 고객들로부터 호평을 받으면서 회사의 매출액과 순이익이 현저히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제품 구조 최적화 및 공급망 최적화를 추진해 전반적인 회사의 마진율이 올라가고 있다"고 부연했다. 위런룽(虞仁榮) 윌세미 회장은 최근 현지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올해 경영실적이 큰 폭으로 상승한 것은 지난해 저조했던 기저효과에 따른 영향이 크다"고 설명한 바 있다. 인터뷰에서 위런룽 회장은 "프리미엄 스마트폰용 제품과 자동차용 제품의 시장 점유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며 "특히 자동차용 제품의 글로벌 점유율은 올해에도 지속적으로 선두를 유지할 것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과 국무원 재정부 고위 관료들이 만나 통화정책에 대해 논의했다. 인민은행은 공식 위챗 계정을 통해 재정부와 합동 공식 실무급 회의를 개최했다고 중국 매체 펑파이가 10일 전했다. 인민은행은 중국공산당 제20기 중앙위원회 제3차 전체회의(20기 3중전회) 정신을 관철하고 중앙금융공작회의 정신을 이행하기 위해 첫 회의를 가졌다고 설명했다. 회의에는 쉬안창넝 인민은행 부행장과 량오민 재정부 부부장(차관)이 대표로 참석했다. 중앙은행 고위 관료와 재정부 고위 관료가 만난 것은 이례적이다. 펑파이는 양측이 회의에서 국채 매매에 있어 고기 단계부터 긴밀히 협력하고, 채권 시장의 운영에 대해 논의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양측 모두 중앙은행 국채 매입이 통화정책을 풍부하게 하고 유동성 관리를 강화하는 중요한 수단이라는 데 동의했다고 덧붙였다. 양측의 만남과 논의 내용은 다양한 추측을 낳고 있다. 인민은행은 지난 6월 비은행권이 보유한 장기채권의 만기 불일치와 금리 리스크에 대해 지속적으로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고 우려한 바 있다. 인민은행은 지난 4월부터 장기채 금리 문제에 주목해왔다면서 주의를 당부했다<본지 6월28일자 中 인민은행, '장기채권
중국의 한 연구소가 광자칩을 제조하는 데 필요한 핵심기술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현지 IT 전문 매체인 신즈쉰이 9일 전했다. 중국 후베이(湖北)성 우한(武汉)에 위치한 주펑산(九峰山)연구소는 8인치 실리콘 포토닉스 웨이퍼에 레이저 소재 에피택셜 결정립을 이질적으로 접합하는 데 성공했다고 공식계정을 통해 발표했다. 주펑산연구소에 따르면 10년여의 연구개발 끝에 CMOS와 호환되는 광반도체 온칩 디바이스 제작공정을 진행해 시제품을 생산해 내는 데 성공했다. 주펑산연구소는 2023년 3월에 운영을 시작했다. 중국 내 광자칩 개발팀이 연구소 설립을 주도했으며, 연구소 설립 후 30여개의 반도체 관련 기업들과 연계해 제조 기술을 개발해 왔다. 연구소는 지난 2월 세계 최초로 8인치 실리콘 박막 니오브산 리튬 광전 집적 웨이퍼를 생산해냈다고 발표한 바 있다. 당시 이 기술은 전 세계적으로 실리콘 기반 화합물의 광전 집적 분야에서 가장 진보된 기술로 평가됐었다. 이어 이번에는 실리콘 웨이퍼에 레이저 소재 에피택셜 결정립을 접합하는 식으로 광전칩을 만들어낸 것이다. 광자칩은 전자 대신 빛을 사용해 데이터를 처리하고 전송한다. 빛을 사용하는 만큼 더 빠르고 효율적인 데이
중국의 외환보유액이 3개월 연속 증가했다. 반면 금 보유액은 5개월 연속 변동을 보이지 않았다. 8일 중국 외환관리국에 따르면 9월말 기준 중국 외환보유액은 3조3163억6700만 달러로 전월 3조2882억 1500만 달러보다 281억5200만 달러 증가했다. 이는 전월 대비 0.86% 늘어난 것이다. 이와 관련 외환관리국은 주요국 중앙은행의 통화정책과 거시경제지표 등의 요인으로 인해 미 달러 지수가 하락하면서 글로벌 금융자산 가격이 전반적으로 상승했다고 전했다. 외환보유액이 늘어났다기 보다 금융자산 가격 상승으로 보유액이 증가했다는 설명이다. 그러면서 중국 경제는 전반적으로 안정을 유지하고 있으며, 외환보유액도 안정세를 보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미 달러 대비 위안화 환율도 안정적이라고 외환관리국은 분석했다. 9월 한달간 미 달러대비 위안화 현물환율은 1.02% 상승했다고 전했다. 또 3분기 중 미 달러 대비 위안환 현물 환율은 3.44% 이상 증가했다고 덧붙였다.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의 금 매입은 5개월 연속 멈췄다. 9월 말 기준 중국 금보유량은 9월말 기준 인민은행의 금보유량은 7280만 온스(2063.85t)로 지난 5월부터 제자리를 걷고 있다.
중국 시중은행의 올 상반기 신용카드 불량률(不良率)이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불량률이란 부실채권 비율을 뜻한다. 중국은 여타 서방국가와 달리 신용카드 사용률이 높지 않다. 중국은 신용사회를 거처지 않고 곧바로 디지털 금융사회로 넘어간 국가다. 하지만 신용카드 불량률이 상승했다는 것은 그만큼 경제가 원만치 않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중국 매체 펑파이는 반기보고서를 제출한 42개 시중은행(A주) 중 16개 은행이 6월 말 기준 신용카드 불량률을 공개했다면서 이 가운데 13개 은행의 신용카드 불량률이 전년 말 보다 증가했다고 7일 전했다. 이 매체는 은행에 따라 신용카드 불량률을 다르게 표기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신용카드 불량률이 가장 높게 나온 은행은 흥업은행이다. 상반기 기준 불량률은 3.88%였다. 그 다음은 민생은행 3.24%, 공상은행 3.03%, 창수은행 2.74%, 평안은행 2.70%, 중신은행 2.57%, 푸파은행 2.56%, 충칭은행 2.46%, 교통은행 2.32%, 정저우은행 2.22%, 상하이은행 2.14% 순이어었다. 이들 가운데 불량률이 가장 높게 증가한 은행은 창수은행이다. 이 은행의 불량률은 전년말 대비 1.34%포인트나 급증했다
유럽연합(EU)의 중국산 전기자동차에 대한 관세가 확정되자, 중국이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EU 집행위원회는 4일(현지시간) 중국산 전기차에 대해 최고 45.3%의 관세율을 적용하는 관세안을 가결했다. 관세안이 확정되자 중국 상무부는 이날 EU의 불공정하고 불합리한 보호무역주의에 단호히 반대한다라는 성명을 냈다. ◆반발하는 중국 중국 상무부는 중국 전기차 산업은 지속적인 자주 혁신을 통해 세계에 고품질의 녹색 공공재 공급을 늘리기 위해 노력해 왔다고 강조한 뒤 EU의 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관세 부과는 세계무역기구(WTO) 규칙을 심각하게 위반한 것이며, 정상적인 국제 무역 질서를 방해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이번 조치는 중국과 EU의 경제(무역 및 투자)협력을 방해할 뿐만 아니라 EU의 녹색 전환 과정을 지연시켜 기후변화에 대처하기 위한 글로벌 노력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재차 강조했다. 다만 중국은 협상을 통해 문제를 계속 해결하려는 노력을 할 것이라고 여지를 남였다. 그러면서 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관세 부과는 어떤 문제도 해결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유럽에 투자하고 있는 중국 기업의 신뢰와 결단을 방해한다는 점을 EU측은 분명히 깨닫기를 바란다라고 덧
유럽연합(EU)의 중국산 전기자동차에 대한 관세 부과 결정을 앞두고 튀르키예 정부 고위 관료가 비야디(BYD)의 튀르키예 공장 생산 일정을 공개했다. 투르키예는 EU 회원국은 아니지만 EU와 관세 동맹을 맺고 있다. EU 집행부가 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부과를 최종 결정할 경우 비야디가 관세를 피해갈 수 있는 일종의 우회로다. 3일 신화통신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메흐멧 파티 카시르 튀르키예 산업기술부 장관은 1일(현지시간) 비야디가 오는 2026년부터 튀르키예에서 신에너지차를 생산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튀르키예 산업기술부 장관 발언은 튀르키예 국영매체 아나돌루 통신을 통해 발표됐다. 그는 "비야디의 신에너지차는 2026년부터 생산되며 생산된 신에너지차는 주로 수출될 것"이라고 말했다. 비야디는 지난 7월 튀르키예 정부와 신에너지차 생산 공장을 건설하기로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당시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튀르키예 대통령이 계약식에 참석, 비야디 신에너지차 공장에 큰 관심을 보인 바 있다. 비야디는 튀르키예 공장에 10억달러를 투자해 연간 15만대 규모의 공장과 R&D 센터를 설립한다. 비야디 튀르키예 공장은 헝가리에 이어 2번째 유럽 공장이다.
중국 자동차 업계가 가격 경쟁으로 촉발된 딜러(대리점) 문제를 놓고 대책 마련에 들어갔다. 가격 인하 경쟁이 심화되면서 중국 전국 2위 자동차 딜러그룹인 광후이자동차가 최근 상장 폐지되는 등 자동차 딜러 문제가 뜨거운 감자로 부상했다.<본지 9월 23일자 '중국 車 판매는 역대 최고...딜러망은 붕괴' 참조> 중국 매체 펑파이는 딜러 자금 난으로 촉발된 중국 딜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중국자동차딜러협회를 중심을 보고서를 당국에 제출하는 등 다양한 논의가 진행 중이라고 30일 전했다. 중국자동차딜러협회는 '자동차 딜러가 직면한 자금난 및 붕괴 위험에 대한 긴급 보고서'를 작성, 관련 정부 부서에 전달했다. 이 보고서에는 딜러의 자금 문제 배경과 이로 인한 폐업 위기 문제의 심각성 중심으로 작성됐다. 또 현재 딜러들이 겪고 있는 문제는 심각한 상황이며 자동차 유통 산업 붕괴가 임박했다는 내용도 담긴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이 매체는 일부 합작 브랜드 자동차 회사들을 딜러에 대한 심사 기준을 조정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면서 딜러에게 불리한 내용이 개편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가장 먼저 거론된 것은 연간 판매 목표다. 연초 설정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위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