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가 중국산 전기자동차에 대한 관세를 100%까지 올릴 것으로 알려지 가운데 중국이 반발하고 있다. 당초 25%에서 100%로 상향할 경우 중국산 전기차의 미국 진출은 사실상 불가능하게 된다. 중국 관영 환구시보는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가 이르면 14일(현지시간) 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관세를 25%에서 100%로 인상하겠다는 발표를 할 수 있다고 13일 전했다. 또 반도체와 태양광 장비, 의료용품 등 기타 중국산 제품에 대해 새로운 관세를 부과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와 관련 환구시보는 중국 전기차를 겨냥한 미국의 관세 인상 조치는 역효과를 낳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러면서도 이번 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추가 관세는 미국 대선을 위한 정치적 움직임이라며 실제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톈윈 전 베이징경제운영협회 부회장은 "중국의 제조 경쟁력이 미국을 훨씬 능가한다"면서 "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100% 관세 부과 움직임은 관세를 통해서만 자국(미국) 산업의 발전을 유지할 수 있다는 것으로 보여주는 사례"라고 미국의 제조 경쟁력을 평가했다. 장샹 디지털자동차국제협력연구센터 소장은 "미국의 수출되는 중국산 자동차는 대부분 미국 브랜드"라며 미국 시장에
중국 신에너지자동차 스타트업 리오토(理想·리샹)가 전기차 가격 인하 경쟁에 가세했다. 리오토는 여타 중국 전기차 업체들이 가격 인하 경쟁을 하는 것과 달리 기존 가격을 고수해 온 업체다. 22일 중국 경제 매체 제일재경 등에 따르면 리오토는 2024년형 L7과 L8, L9, 다목적차량(MPV) 메가(MEGA)에 대해 새로운 가격 체계를 채택하기로 결정했다. 중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인 L7과 L8의 가격은 1만8000~2만 위안, L9은 2000만 위안, 메가는 3만 위안 인하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리오토는 신규 구매 고객은 물론 계약을 체결한 후 차량을 인도 받지 않은 고객에게 새로운 가격 정책을 적용하기로 했다. 리오토는 또 새로운 가격이 적용되기 전 2024년형 L7과 L8, L9, 메가 구매자에게 가격 인하 분 만큼의 현금 캐시백을 실시한다. 소형 SUV인 L6는 가격 인하에서 제외됐다. 리오토 측은 원래 25만9800위안이던 L6는 이미 가격이 24만9800위안으로 인하돼 이번 가격 조정에서 빠졌다고 설명했다. 리오토는 창립 이후 자사 모델의 공식 가격을 낮추지 않은 업체다. 특히 지난해 테슬라가 촉발한 가격 인하 전쟁에 불참, 자신들의
올해 중국에서 100개 이상의 신차 모델이 출시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페이스리프트(부분변경)까지 포함할 경우 올해 선보일 신차가 1000개 이상이 될 것으로 추정된다. 다만 중국 내 완성차 시장에 가격경쟁이 치열, 완성차 업체의 수익률은 크게 악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중국 매체 펑파이는 화촹증권 보고서를 인용, 올해 출시되는 신차(페이스리프트 포함) 수가 1000대를 훨씬 넘어 역대 최대가 될 것이라고 19일 보도했다. 이 매체는 그러면서 올 4월에만 최소 15개 모델이 출시됐다고 전했다. '중국 전기자동차 100인회'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에도 1100개 이상의 신에너지 자동차 모델(페이스리프트 포함)이 출시됐다. 올해는 지난해 보다 더 많은 신차가 선보일 것이라는 게 중국 내부의 분석이다. 늘어나는 신차와 관련 장융웨이 중국 전기차 100인회 사무총장은 중국 자동차 개발 주기가 단축됐다고 설명했다. 신차의 경우 개발주기가 30~40개월 단축됐고, 페이스리프트 모델의 경우 개발 기간이 8~12개월 정도 밖에 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장 사무총장은 "신차 출시는 시장이 충분히 크고 경쟁이 치열하다는 것을 증명한다"면서 결국 완성차 업체의 판매
샤오미가 첫 전기자동차 'SU7'를 공식 출시한 이후 중국 전기차 업체들이 앞다퉈 가격 인하를 단행하고 있다. 중국 내부에선 SU7 등장으로 중국 전기차 시장의 가격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다만 추가 가격 인하 정책이 중국 자동차 시장 재편 속도를 더욱 가속화시킬 가능성이 커졌다. 관영 신화통신은 '신제품, 신에너지 자동차 시장 경쟁 촉발'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샤오미 SU7에 대한 대중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고 5일 보도했다. 신화통신은 샤오미 SU7 시승을 기다리는 줄의 끝이 없다면서 SU7 시승 예약이 너무 많아 얼마나 기다려야 하는지 알 수 없을 정도로 인기를 끌고 있다고 전했다. 중국 관영 통신이 개별 전기차 업체에 대해 보도하는 것은 매우 이례적이다. 이와 관련 지쉐훙 베이팡궁예(북방공업)대학 교수는 "샤오미는 지능 기반 기술을 갖춘 기업"이라며 "샤오미의 첫 번째 전기차 모델에 대한 시장 반응은 긍정적이며, 샤오미의 전기차 경쟁력은 입증됐다"라고 평가했다. 샤오미는 지난달 28일 레이쥔 샤오미 회장 겸 최고경영자(CEO) 등이 참석한 가운데 전기차 'SU7' 정식 출시 행사를 연 바 있다. 이날 행사에서 샤오미는 자신들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수탁생산) 대만 TSMC가 지진으로 인해 2분기(4~6월) 6000만 달러(한화 약 811억원)의 피해가 예상된다. 지난 3일 오전 7시 58분(현지시간) 규모 7.4의 지진이 대만에서 발생했다. 4일 중국 경제 전문 매체 제일재경은 이번 지진으로 TSMC가 2분기 약 6000만 달러 규모의 피해를 받을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고 전했다. 이에 대해 TSMC 측은 "이와 같은 피해액을 공개한 바 없다"면서 부인했다. 또 일부 공장의 일부 장비가 손상되는 등 생산라인의 생산에 일부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극자외선(EUV) 장비 등 주요 장비는 손상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지진 발생 후 10시간 만에 복구율이 70%를 넘어섰고, 웨이퍼 공장 복구율은 80% 이상이라고 재차 강조했다. TSMC 측은 이어 계속해서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닝하고 있으며 주요 고객들과 긴밀한 소통을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도 TSMC 측의 설명에 힘을 보탰다. 트렌드포스는 지진 발생 후 공장 상황을 점검하기 위해 생산이 중단됐지만 영향은 통제 가능하다고 밝혔다. 트렌드포스는 TSMC 반도체 공장은 진앙지와 다소 거리가 있다면서
샤오미가 만든 첫 전기자동차 'SU7'이 3일 첫 출고된다. 또 오는 8일 화웨이의 전기차 브랜드 '즈제(智界) S7'이 공식 출시를 앞두고 있다. 샤오미와 화웨이간 경쟁이 치열할 것으로 전망된다. 레이쥔 샤오미 회장은 2일 자신의 웨이보(중국판 트위터)에 "내일은 매우 흥무로운 날이 될 것"이라며 "베이징 이좡 샤오미 공장에서 SU7의 첫 번째 인도식이 개최될 것"이라고 예고했다. 지난달 28일 SU7의 판매 가격이 공개된 이후 중국 내부에선 샤오미의 첫 전기차에 대한 기대감이 매우 높다. 특히 SU7 판매 가격이 공개된 후 시작된 사전 예약에서 불과 27분 만에 5만대 이상이 예약 판매됐고, 24시간 만에 8만8898대가 예약됐다. 2일 오전 현재 SU7의 실제 예약 대수는 4만대로 공식 확인됐다. 주문 후 8개월 기다려야 한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예약을 취소하는 사례가 늘어났다. 실제 이날 기준 SU7 기본 모델은 20~23주를 기다려야 하고, 프로 모델은 19~22주 후에 인도받을 수 있다. 또 가장 인기가 많은 맥스 모델은 28~31주 후에도 차량을 인도받을 수 있다. 맥스 모델의 경우 지금 주문하면 오는 10월에 차량을 받을 수 있다. 샤오미는 당
중국 1위 신에너지자동차 기업인 비야디(BDY)의 판매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파죽지세다. 샤오미의 첫 전기자동차 'SU7'의 파격적인 가격이 공개된 이후 중국 내부에서 전기차 등 신에너지차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있어, 올해 중국 신에너지차 판매가 또다시 사상 최고치를 기록할 가능성이 커졌다. 비야디는 3월 한달간 30만2459대의 판매했다고 1일 공시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20만7080대보다 9만5379대가 더 팔린 수치다. 부문별로는 순수 전기차가 13만9902대 판매됐으며, 플로그인 하이브리드차는 16만1729대가 팔렸다. 3월 한달간 수출된 신에너지차는 3만8434대라고 비야디 측은 덧붙였다. 1~2월 다소 소강상태를 보이던 비야디 신에너지차 판매는 3월 크게 늘어나면서 1분기(1~3월) 판매실적도 전년 대비 13.4% 늘어난 62만6263대를 기록했다. 1분기 기준 역대 최대 판매 기록을 갈아치운 것으로 추정된다. 비야디는 지난해 302만4417만대의 신에너지차를 판매, 연간 판매 목표 300만대를 달성한 바 있다. 올해 비야디의 판매 목표는 350만대 이상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비야디는 지난 2월 7만 위안대 신모델을 출시하는 등
왕원타오(王文濤) 중국 국무원 상무부장(장관)이 27일 제프리 반 리우웬(Geoffrey van Leeuwen) 네덜란드 국제통상·개발협력장관과 만나 ASML의 포토레지스트리(노광기) 수출에 대해 논의했다. 왕 부장은 베이징에서 반 리우웬 장관을 만나 노광기 중국 수출과 반도체 산업 협력 강화 등의 의제에 대해 심도 있는 의견을 교환했다고 중국 상무부가 28일 전했다. 회담에는 링지(凌激) 상무부 부부장이 배석했다. 핵심의제는 단연 ASML의 노광기 수출 문제였다. 미국의 대중국 반도체 제재에 부응해 네덜란드는 지난 2019년 ASML의 최첨단 EUV(극자외선) 노광기의 중국 수출을 금지시켰다. 이어 네덜란드는 지난해 9월부터 EUV보다 한단계 낮은 단계인 DUV(심자외선) 장비 수출시 정부 허가를 받도록 하는 조치를 시행했다. 다만 지난해 연말까지 유예기간을 뒀다. 왕 부장은 "중국은 네덜란드를 신뢰할 수 있는 경제 파트너로 여기고 있으며, 네덜란드가 계약정신을 준수해 기업의 계약의무 이행을 지지하며, 노광기의 정상적인 무역을 보장할 것을 희망한다"며 "공동으로 반도체 공급망 안정을 유지하고, 양국간 경제무역 관계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촉진해 나가자"고 말했
마이크론을 비롯한 글로벌 반도체 업체의 최고경영자(CEO)들이 중국발전포럼에 참석했다고 중국 IT매체 지웨이왕(集微網)이 25일 전했다. 중국발전포럼은 24일 베이징에서 개막했으며, 82개 글로벌 기업들의 CEO가 참석했다. 이 중 6명이 글로벌 반도체 기업의 CEO였다. 참석자는 산재이 메흐로트라 마이크론 CEO, 호크 E 탄 브로드컴 CEO, 리사 수 AMD CEO, 사신 가즈시 시놉시스 CEO, 크리스티아누 아몽 퀄컴 CEO, 곽노정 SK하이닉스 사장 등이었다. 6곳의 반도체 기업중 SK하이닉스를 제외한 5곳이 미국기업이었다. 미국이 대중국 반도체 제재를 강화하고 있지만, 미국의 반도체 기업들은 중국시장을 원하고 있음을 반영한다. 이에 앞서 23일에는 크리스티아누 아몽 퀄컴 CEO는 중국 상무부의 왕원타오(王文濤) 부장(장관)을 면담했다. 양측은 중국과 미국의 경제 및 무역관계를 비롯해 퀄컴의 중국내 발전 문제 등을 논의했다. 왕 부장은 "중국은 현재 개방의 폭을 확대하고 있다"며 "중국 정부는 외자기업의 투자활성화를 위해 비즈니스 환경을 최적화하는데 전념하고 있다"고 발언했다. 이어 "인공지능(AI), 클라우드 컴퓨팅, 소비자전자 등 분야에서 중국은
중국 가전시장에서 삼성전자가 다시 부상할 가능성이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지난해 중국 컬러TV 시장이 저점을 통과한 만큼 올해 컬러TV 시장이 성장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크다. 또 75인치 등 TV 대형화 추세가 가속화될 것이라는 예상이 지배적이다. 중국 경제 전문 매체 제일재경은 삼성전가 중국 가전 시장에 재진출하겠다는 신호를 보냈다고 20일 전했다. 이 매체는 최근 폐막한 중국 가전전시회 'AWE 2024(Appliance & Electronics World Show)'에서 최승식 삼성전자 중화권 총재(사장)가 한 말을 주목했다. 최 총재는 "삼성은 모바일 기기와 스마트 가전제품, 스마트 홈에 인공지능(AI)를 접목하고 통합하는 노력을 하고 있다"라고 밝힌 바 있다고 이 매체는 전했다. 삼성전자의 중국 컬러TV 시장 부활 조짐은 데이터로도 나타나고 있다. 중국 AVC(奥维云网)에 따르면 올 1월부터 지난 3월 10일까지 삼성전자의 중국 오프라인 컬러TV 시장 매출 비중은 8.48%로 전년 동기 대비 0.95%포인트 상승했다. 또 같은 기간 삼성전자의 컬러TV 평균 판매 가격은 1만3627위안(한화 253만원)으로 중국 평균 판매 가격 7450위안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