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이 경기 부양 목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보조금 정책이 효과를 내고 있다.
왕원타오(王文濤) 중국 국무원 상무부장(장관)이 6일 양회(兩會)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경제 부문 기자회견에서 참석해 올해 전국 자동차 폐차 및 갱신 보조금 신청이 31만 건을 넘었다고 밝혔다.
왕 부장은 이어 자동차 교체 및 갱신 보조금 신청은 70만건을 초과, 총 100만건을 초과했다고 전했다.
앞서 중국 상무부 등 8개 부처는 지난 1월 '차량 보상 판매와 관련된 작업을 개선하기 위한 상무부 및 기타 7개 부서의 통지'를 통해 2025년 노후차 폐차 후 신에너지차 구매시 최대 2만 위안(한화 약 397만원)의 보조금을 제공한다고 밝힌 바 있다.
이와 관련 중국 매체 차이롄서는 보조금 정책이 자동차 소비를 자극, 시장에 활력을 넣고 있다고 분석했다.
실제 중국 당국의 보조금 정책으로 중국 자동차 판매가 크게 증가했다.
중국 승용차협회에 따르면 지난달 중국 신에너지차는 72만대가 판매(소매기준), 전년 동월 대비 85% 급증했다. 지난 1월부터 2월까지 누적 판매랼은 146만5000대로 전년 동기 대비 38% 늘었다.
중국 당국은 또 지난 1월 15일부터 가전제품에 대해 최대 최대 2000위안(한화 약 40만원)의 보조금을, 1월 20일부터는 스마트폰 등 디지털 제품에 대해 최대 500위안(한화 약 10만원)의 보조금을 지급하고 있다.
왕 부장은 이날 가전제품에 대한 보조금 지급 이후 약 940만명이 1200만대의 가전제품을 구입했고, 3400만명 이상이 4200만개 이상의 휴대폰 등 디지털 제품을 구입했다고 설명했다.
중국 당국은 경제성장률을 끌어 올리기 위해 소비재 제품에 대해 보조금을 지급하고 있다. 중국 정부의 '이구환신(낡은 것을 새 것으로 바꾸는 것)'은 재정을 투입, 성장률을 올리는 대표적인 재정정책이다.
지난해 중국 소비재 소매 판매 총액은 전년 대비 3.5% 증가한 48조3000억 위안에 달한다. 소비가 중국 경제 성장의 주요 동력인 셈이다.
중국 정부는 자동차와 가전, 휴대폰 등 디지털 제품에 이어 인테리어 관련 업종에도 보조금을 지급하고 있다. 중국 냉부에서 올해 소비재 소매 판매 총액이 지난해보다 5~6% 성장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