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중국 전기자동차 등 신에너지자동차 판매가 전년 대비 9%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신에너지자동차 등 신차 판매 열기가 식어가는 가운데 가격 할인에 나서는 완성차 업체들이 속속 늘어나고 있다. 5일 중국 승용차협회(CPCA)에 따르면 2월 한 달간 판매된 신에너지차 판매 대수(도매기준)는 45만대로 전년 동기 대비 9% 감소했다. 전월 대비로는 34%나 급감했다. CPCA는 춘절 연휴(2월10일~17일)로 인해 2월 근무 일수가 지난해 보다 2일 적은 18일에 불과해 생산과 판매가 감소했다고 분석했다. 이어 많은 업체들이 춘절 전후 연차를 더 사용하기 때문에 승용차 판매가 둔화되는 모습을 보여왔다면서 연간 기준 2월 승용차 판매가 올해 최저치를 기록할 것이라고 부연했다. 2월 판매와 관련 CPCA는 1만대 이상 판매한 신에너지차 업체가 전체 월 판매량의 90.7%인 41만대라면서 시장 선두업체의 시장 우위가 더욱 확대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신에너지차 판매가 주춤하면서 업체들이 앞다퉈 가격 할인 행사를 시작했다. 가격 할인 행사에 다소 소극적이었던 샤오펑이 이달 말까지 샤오펑 G6 모델을 2만 위안(한화 370만원) 할인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G6 모델
세계 3위, 중국 1위 반도체 후공정업체인 창뎬커지(JCET)가 미국 반도체 기업인 샌디스크의 중국법인을 인수했다. 창뎬커지는 샌디스크의 중국법인인 성뎨반도체의 지분 80%를 6억2400만달러(한화 약 8305억원)에 인수하기로 결정했다고 중국기금보가 5일 전했다. 창뎬커지는 전날 저녁 이같은 내용을 공시했다. 지분 매각 주체는 샌디스크 차이나다. 샌디스크 차이나는 성뎨반도체 지분 100%를 보유하고 있는 기업이며, 이번에 지분 80%를 매각하고, 20%를 보유하게 된다. 샌디스크의 모기업은 미국의 웨스턴디지털이다. 웨스턴디지털은 2016년 샌디스크를 인수한 바 있다. 샌디스크는 플래시메모리 제품을 생산하는 업체로, 메모리카드, USB 플래시 드라이브 등 소비자 제품 뿐만 아니라 기업용 솔루션도 판매하는 글로벌 기업이다. 성뎨반도체는 2006년 8월에 설립됐다. 주로 플래시메모리제품의 연구개발, 패키징 및 테스트 업무를 영위하고 있다. 플래시 메모리 전문 후공정 업체로, 2022년 상하이 외자기업 중 매출액 100위 순위에 들었던 업체다. 주로 iNAND(휘발성 플래시 모듈), SD(보안디지털카드), 마이크로SD 등을 후공정한다. 성뎨반도체는 2022년 35
중국 창안자동차가 가오허자동차(Hiphi·화런원퉁)를 인수하는 협상이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경영상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오허차는 생산을 중단한다고 밝힌 바 있다. 중국 경제 전문 매체 제일재경은 창안차가 가오허차를 인수하는 움직임이 포착됐다고 29일 전했다. 이 매체는 내부 관계자의 말을 인용, 딩레이 화런원퉁 창업자가 지난 27일 충칭에서 주화룽 창안차 최고경영자(CEO)와 만났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창안차에서 가오허가 출시한 자동차를 전달했다고 덧붙였다. 가오허차의 모회사인 화런원퉁은 2017년 설립됐다. 화런원퉁은 설립 이후 3개 모델을 출시했다. 출시 모델의 최저 판매 가격은 33만9000위안이며, 최고 가격은 80만 위안이다. 중국 현지에서 주로 판매되는 차 값을 감안하면 판매 가격대가 높다. 지난 2021년과 2022년 가오허차의 연간 누적 판매량은 각각 45237대와 4349대다. 지난해 가격이 저렴한 모델을 출시하면서 8681대를 판매했다. 하지만 이 정도의 판매량으로는 회사의 지속 가능성을 담보할 수 없다는 게 중국 내부의 일반적인 시각이다. 지난 18일 가오허차는 내부 회의를 열고 6개월간 생산 중단을 선언했다. 이에 앞서 지난
미국에서 마이크론의 기술을 빼돌린 혐의로 기소됐던 중국 국유 반도체 회사인 푸젠진화(福建晉華·JHICC)가 재판에서 무죄를 선고받았다. 미국 캘리포니아 북부 연방지방법원은 지난 27일(현지시간) 무배심 재판에서 푸젠진화에게 무죄를 선고했다고 중국 매체 금융계가 28일 전했다. 재판부는 미국 검찰이 푸젠진화가 마이크론의 특허 데이터를 절취했다는 사실을 입증하지 못했다며 푸젠진화의 손을 들어줬다. 해당 사건은 2016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푸젠진화는 2016년 대만 반도체 회사 UMC와 공동기술 개발 계약을 체결하고 함께 중국에 32나노 D램 공장을 건설하기로 했다. 계약체결 이후 마이크론 임원 3명이 회사를 그만두고 UMC로 자리를 옮겼다. 이에 마이크론은 2017년 두 회사가 자사의 영업기밀을 절취했다며 푸젠진화와 UMC를 각각 고소했다. 이후 2018년 9월 미국 법무부가 푸젠진화와 UMC를 기소하면서 푸젠진화의 32나노 D램 사업은 좌초했다. 당시는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중국에 대한 압박의 강도를 높이던 때였다. 2018년 미국 법무부의 성명에 따르면 푸젠진화의 유죄가 확정되면 거액의 벌금형에 처해지며 칩과 수익을 모두 몰수하는 명령을 받을 수 있
비야디(BYD)를 시작으로 중국 신에너지차 업체의 가격 인하 경쟁이 시작된 가운데 기존 고급차 브랜드도 할인 전쟁에 뛰어들었다. 28일 지몐신문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캐딜락은 신형 CT5 판매 가격을 기존 28만9700 위안(한화 5359만원)에서 21만9700 위안(4065만원)으로 7만 위안(1295만원) 낮췄다. 신형 CT5는 중국에 출시된 지 3개월 채 안 된 승용차의 가격 매우 이례적이며, 할인 폭 또한 파격적이다. 캐딜락은 신형 CT5 엔트리 트림을 제외한 럭셔리 트림만 판매해 왔다. 지몐신문은 캐딜락의 파격적인 가격 인하는 중국 시장에서 경쟁이 얼마나 치열한 지를 보여주는 단적인 예라고 지적했다. 전기자동차 등 신에너지차 바람이 불면서 해외 고급 브랜드 특히 내연기관 고급 브랜드들이 찬밥 신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고 이 매체는 설명했다. 실제 최고급 브랜드로 불리는 벤틀리는 지난해 중국에서 3006대를 판매하는 데 그쳤다. 이는 전년 대비 17.7%나 판매량이 준 것이다. 포르쉐 역시 지난해 전년 대비 15% 급감한 7만9300대가 판매됐다. 중국은 8년 연속 포르쉐 판매 1위 국가였지만 지난해 판매 저조로 1위가 북미로 바뀌었다. 그나마 독일
중국 가오허자동차(Hiphi·화런원퉁)의 생산 중단을 계기로 자동차산업 재편에 대한 논의가 중국 내부에서 활발히 일어나고 있다. 28일 중국 자동산 업계에 따르면 '중국 전기자동차 100인회'는 27일(현지시간) 콘퍼런스를 열고, 신에너지차 등 중국 자동차 산업의 현재와 미래에 대해 논의했다. 이날 콘퍼런스에 참석한 어우양밍가오 중국과학원 원사는 "살아남기 위한 경쟁은 치열할 수밖에 없는 적자생존은 당연한 일"이라며 "경쟁에서 밀린 회사는 퇴출되고, 또 이 과정에서 인수합병(M&A)이 일어나는 것이 시장을 건전하게 발전시키는 해법"이라고 말했다. 가오허차 생산 중단 소식이 전해지면서 중국 내부에선 과잉 생산과 가격 할인 경쟁에 대한 경각심이 더욱 커졌다. 가오허차는 지난 19일 내부 회의를 열고 향후 6개월간 생산을 잠정 중단했다.<본지 2월 19일자 ' 中 가오허차 생산 중단···전기차시장 재편' 참조> 가오허차의 경영 문제가 불거지자, 리샹 리오토(Li Auto) 최고경영자(CEO)는 "국가가 자동차 기업의 인수합병(M&A) 시스템을 구축하고 유도해야 한다"라는 글을 자신의 자신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올렸다. 예견된 일인
중국 3대 전기자동차 스타트업 중 한 곳인 리오토(리샹)가 20만 위안(한화 3693만원) 이하 모델은 향후 5년간 출시할 계획이 없다는 중장기 계획을 발표했다. 이는 저가 전기차를 통해 볼륨을 키울 생각이 없다는 점을 분명히 한 것으로 해석된다. 리오토는 지난해 깜짝 매출과 순이익, 매출 총이익률을 공개, 26일(현지시간) 뉴욕증권 시장에서 전장대비 18.79% 상승하기도 했다. 리오토는 26일(베이징 시간) 콘퍼런스 콜을 연 자리에서 지난해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73.5% 증가한 1238억5000만 위안(한화 22조8664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또 지난해 순이익이 118억1000만 위안(2조1804억원)이라고 공개했다. 적자에서 흑자 전환한 것이다. 매출 총이익률은 22.2%로 집계됐다고 덧붙였다. 쩌우량쥔 리오토 수석 부사장은 "올해 월간 10만대를 판매한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다"면서 오는 3월 5만대, 6월 7만대 등 매월 판매 대수를 늘릴 계획이라고 말했다. 리샹 리오토 최고경영자(CEO)는 "향후 5년간 20만 위안 미만 모델을 출시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중국에서 20만 위안 이하 시장은 말 그대로 불륨 시장이자, 주류 시장이다.
지난해 중국 자체(토종) 브랜드의 시장 점유율이 56%로 집계됐다다. 중국 토종 브랜드 시장점유율 56%는 역대 최고치다. 한때 합작 브랜드와 수입 브랜드가 주도했던 중국 자동차 시장을 토종 브랜드들이 장악하는 모양새다.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는 26일자 1면에 자동차 전기화 및 지능형 네트워크 기술이 혁신을 이루면서 중국 토종 브랜드가 새로운 진전을 이루고 있다고 전했다. 지난해 중국 토종 브랜드 판매대수는 1459만6000대로 전년 동기 대비 24.1% 증가했다. 이에 따라 중국 토종 브랜드의 시장 점유율은 전년 대비 6.1%포인트 오른 56%를 기록했다. 중국 토종 브랜드의 시장점유율은 지난 2019년 34.1%에 불과했지만 2020년, 38.4%, 2021년 44.5%, 2022년 49.9%로 매년 빠른 성장세를 보였다. 인민일보는 특히 전기자동차 등 신에너지차 산업에 대해서 의미를 부였다. 지난 2019년 중국 신에너지차 판매 대수는 120만60000대(소매기준)에서 2020년 136만7000대, 2021년 352만대, 2022년 536만5000대 등 매년 폭발적으로 늘었다. 지난해의 경우 도매 기준 중국 신에너지차 판매 대수는 949만5000
중국 비야디(BYD)가 우리 돈 3억원 대 슈퍼 전기자동차 왕양(仰望) 'U9'을 공개했다. 지난해 10월 왕양 'U8'에 이어 2번째 하이엔드급이자 페라리와 람보르기니 등을 겨냥한 스포츠카다. 비야디는 중저가 전기차 등 신에너지차를 판매하며 덩치를 키운 중국 1위 신에너지차 업체다. 비야디는 지난해 중저가의 한계를 넘기 위해 전기차 전용 프리미엄 브랜드 왕양을 론칭했다. 비야디는 25일(현지시간) 라이브 스트리밍 행사를 통해 168만 위안(한화 3억1000만원) 상당의 고성능 순수 전기 슈퍼카를 선보였다. 중국 자동차 전문 매체 치처즈자는 비야디가 선보인 U9의 제로백은 2.36초이며, 최고 속도는 시속 309.19Km/h라고 소개했다. 또 이 슈퍼카의 최대 출력은 960kW(1306마력)이며 최대 토크는 1680N·m이다. U9의 전장과 전폭, 전고는 각각 4966, 2029, 1295(1338)mm이며, 휠베이스는 2900mm다. U9에는 500kWh 배터리가 탑재, 완충시 주행 가능 거리가 450Km이며 10분 만에 최대 80%까지 충전이 가능하다. 이 슈퍼카는 올 하반기(10~11월)께 인도될 예정이라고 치처즈자는 덧붙였다. 이 슈퍼카의 신차 보증기
리오토(리샹)이 다음 달부터 베이징 공장을 가동한다. 리오토 베이징 공장은 과거 현대자동차가 운영해 오던 베이징 1공장이다. 지몐신문 등 중국 매체들은 베이징시 신문판공실 발표를 인용, 리오토가 오는 3월부터 베이징 공장을 본격 가동, 전기차 생산에 들어간다고 23일 보도했다. 리오토 베이징 공장에선 순수 전기자동차 메가(MEGA)를 생산한다. 메가는 다목적(MPV) 순수 전기차다. 가격은 60만 위안(한화 1억1100만원)이 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메가의 공식 출시 일이 3월 1일 점을 감안하면 리오토 베이징 공장은 이미 가동 중인 것으로 보인다. 리오토는 웨이라이(니오)와 샤오펑과 함께 중국 3대 3대 전기차 스타트업으로 꼽히는 업체다. 리오토는 지난해 37만6000대를 판매했다. 리오토는 지난해 목표치 30만대를 초과 달성했다. 리오토의 올해 판매 목표는 80만 대다. 리오토의 목표 달성이 가능할지는 미지수지만 리오토는 올해 4개 모델을 새롭게 선보일 예정이다. 리오토의 올해 매출 목표는 2000억 위안(37조원)이다. 리오토의 베이징 공장 본격 가동은 여러 의미가 담겨 있다. 북경현대는 지난 2021년 1공장을 베이징시에 매각했다. 이후 리오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