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당국이 과잉 생산과 수요 부족이라는 난제에 봉착한 철강산업을 보호하기 위해 신규 생산 시설을 금지하기로 했다. 철강 관련 산업의 신규 투자를 규제하겠다는 것이다.
22일 차이롄서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공업정보화부와 상무부, 국가시장감독관리총국 등 중국 산업 관련 부처는 이날 '철강업 안정적 성장 작업 계획(2025~2026)'를 발표했다.
발표된 계획안의 핵심은 철강 생산 시설 추가 투자 금지다. 수요 부족과 공급 과잉으로 철강산업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만큼 추가 투자를 막아 시장을 안정시키겠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철강 생산능력과 생산량에 대한 정밀한 통제를 실시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향후 2년간 중국 철강산업의 부가가치를 연 평균 약 4% 성장시키겠다는 목표도 제시했다.
중국 철강 수요 부족 및 과잉생산 구조는 중국 내부만의 문제가 아니다. 과잉생산이 글로벌 철강산업에도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중국 철강업 부진은 부동산 시장과 관련이 있다. 중국 부동산 시장이 좀처럼 회복되지 않으면서 철강 수요가 회복되지 않고 있다. 문제는 중국 부동산 시장의 단기 회복이 쉽지 않다는 점이다.
그나마 자동차(냉영) 및 조선(후판) 산업의 철강 수요는 증가하고 있지만 전통적인 건축 자재 감소를 상쇄하기 어렵다는 게 중국 내부의 분위기다.
이와 함께 철강 수출에 대한 불확실성도 여전하다. 글로벌 공급 능력이 수요를 넘어선 상황이라 더욱 그렇다.
이로 인해 중국 철강 산업의 이익률이 크게 떨어졌다. 지난해 중국 철강 산업 이익은 전년 대비 무려 42.6% 감소한 662억9000만위안이다. 철강 기업 대부분이 손실이 불가피한 숫자다.
올해는 그나만 다소 개선됐다. 올 7월까지 철강 산업 이익은 830억3000만 위안이다.
친한경 저탄소 등 탄소 규제 강화도 철강산업의 걸림돌이다. 철강 업체들의 비용 증가가 불가피하다.
중국 당국은 이같은 글로벌 및 중국 철강 산업의 현실을 감안, 추가 투자 금지 등의 조치를 취한 것으로 보인다.
이번 공업정보화부의 조치는 '내권식(内卷式, 제살깎아먹기식)' 산업 행태를 막겠다는 중국 지도부의 의지에서 나온 것으로 해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