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공업정보화부와 국가발전개혁위원회, 국가시장감독관리총국, 공안부 등 6개 부처가 자동차업계 인터넷 혼란 바로잡기 특별 캠페인을 실시한다.
11일 펑파이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공업정보화부 등 6개 부처는 전날 '자동차 업계 인터넷 혼란 바로잡기 특별 캠페인 실시에 관한 공지(이하 공지)'를 발표했다.
공지를 보면 중국 자동차 산업 특히 전기차 등 신에너지차 산업 및 유통 문제의 심각성이 그대로 드러난다.
우선 불법적 부당 이익 문제가 지적됐다. 허위 영상과 이미지 등 자동차 회사에 대한 부정적인 내용 유포 문제를 지목했다. 이 같은 허위, 가짜 정보를 통해 트래픽을 올려 상업적 이익을 얻는 사례가 있다는 것.
또 과장 및 허위 광고를 통해 소비자를 기만하는 행위도 단속 대상이다. 자동차 제조사가 허위 데이터를 인용 또는 조작하거나 판매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공개하는 등 자동차 업계와 사회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6개 부처는 경고했다.
반대로 경쟁사에 대한 악의적 명예 훼손, 악의적 불만 제기 등도 캠페인 대상이다.
중국 6개 부처는 공지를 통해 앞으로 3개월간 이 같은 문제를 바로잡겠다고 명시했다. 그러면서 부정행위 배후에 홍보 및 마케팅 회사들이 있으며 이들과 연계된 자동차 기업은 철저히 조사한 후 처벌을 받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또 자동차 관련 협회 등 유관단체들도 건전한 온라인 여론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자율 규율 강화를 지도할 것을 요구했다.
이번 공지는 중국 국무원 상무회의에서 혼탁한 자동차 산업을 바로잡아야 한다는 방침에 따라 나온 것이다. 중국 신에너지차 판매가 급증하면서 가격 할인 등 과잉 경쟁 문제가 도마위에 오른 바 있다.
실제 지난 5월 말 중국자동차공업협회는 '공정한 경쟁 질서 유지 및 업계 건전한 발전 촉진에 관한 행동 강령'을 발표하며 중국 완성차 업체간 가격 경쟁에 대해 우려를 표명했다.<본지 5월 31일자 '中 자동차공업협회, BYD 가격 할인에 경고' 참조>
중국 신에너지차 업체 사이에서 가격 할인 문제에 대한 자성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지만 신차 출고가를 낮추는 방식으로 가격 경쟁에 나서고 있는 것도 현실이다.
여기에 경쟁업체에 대한 비방 등도 난무, 폭발적으로 성장한 중국 신에너지차 산업이 여전히 과속 운행중인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