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인력자원사회보장부(이하 인사부)가 직접 나서 대학졸업자 대상 취업 박람회를 개최한다. 목표는 일자리 1000만개다. 중국 국가통계국은 지난 7월 16~24세 청년 실업률을 발표하지 않았다. 지난 6월 16~24세 청년 실업률은 21.3%를 기록한 바 있다. 신규 대졸자들이 취업 시장에 대거 유입되면서 중국 청년 실업률이 급증, 사회문제로 비화될 수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22일 펑파이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인사부는 오는 11월 20일까지 대도시 및 중소도시 거주 대졸자를 대상으로 공동 채용 활동을 전개한다. 이번 행사는 채용 박람회 형식으로 진행되며, 중국 주요 기업들이 대거 참여한다. 특히 장강 경제벨트 등 중국 정부가 경제력을 집중하고 있는 대도시는 물론 산업이 낙후된 서부지역에서도 오프라인 채용 박람회를 열어 취업 준비생에게 일자리 기회를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또 온라인(중국국가인재네트워크) 채용 플랫폼도 활용, 대학 졸업생들에게 더 많은 기회를 제공한다고 중국 매체들은 전했다. 인사부는 이번 행사를 통해 1000만개의 신규 일자리가 제공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신규 일자리 1000만개는 올해 대학 졸업자 1158만명을 염두에 둔
중국내 이미지센서 2위업체인 거커웨이(格科微, GalaxyCore)가 팹리스에서 팹라이트로 전환하는데 성공했다고 중여우(中邮)증권이 22일 보고서를 통해 평가했다. 거커웨이는 올해 상반기에 12인치 이미지센서 생산 라인을 완공해 시운전을 진행해 왔다고 중여우증권은 전했다. 시운전 결과, 제품은 성능 테스트를 통과했으며, 수율도 예상치에 부합했다. 현재 공장은 가동률을 올리고 있는 상태이며, 향후 월 2만장의 웨이퍼를 생산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중여우증권은 거커웨이가 팹리스에서 팹라이트로 성공적으로 전환했다면서 향후 더욱 큰 이익을 실현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반도체 기업은 설계만 전담하는 팹리스와 제조만 담당하는 파운드리, 설계부터 제조까지를 모두 망라하는 종합반도체(IDC)로 나뉜다. 이에 더해 최소한의 생산 설비만을 운영하는 업체를 '팹라이트'라고 한다. 하나의 반도체 제품에 특화되어 있는 팹리스 업체가 생산 설비를 구축해 자체적으로 설계한 반도체만을 생산하는 경우가 많아지면서 팹라이트라는 용어가 출현했다. 중여우증권은 거커웨이가 특수 공정기술을 개발해 내는데 성공했으며, 이를 통해 더 적은 포토마스크를 사용하면서도 제품 성능을 유지시키는 원가
긴축 기조가 이어질 수 있다는 부담감으로 뉴욕증시가 크게 떨어졌다. 21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 지수는 전장보다 1.08% 하락한 3만4070.42로 장을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지수도 전장보다 1.64% 밀린 4330.00에 거래를 마쳤다. 전날 크게 떨어졌던 나스닥 지수는 이날도 1.82%나 떨어진 1만3223.99에 거래를 마쳤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은 이틀 연속 크게 하락하면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매파적 기조에 직격탄을 맞았다. 연준은 전날 기준금리를 동결했지만 추가 인상 가능성을 언급, 긴축 기조가 상당 기간 지속될 수 있음을 시사했다. 연준의 긴축 기조는 국제유가 상승 등 인플레이션 압박에 따른 것이다. 9월 동결, 11월 인상 기조는 어느 정도 예견됐지만 금리 인상 기조가 내년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로 투자심리(투심)이 저하됐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실제 지난주 미국 신규 실업보험 청구자 수가 전주보다 2만명 감소한 20만1000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고용시장이 여전히 타이트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미국 국채 금리는 연일 오름세를 보였다. 이날 10년물 미 국채는 4.48%를 돌파하며, 20
SMIC(중신궈지, 中芯國際)에 이어 중국내 2위 파운드리 업체인 화훙(華虹)반도체가 장쑤(江蘇)성 우시(無錫) 2공장 건설을 위해 자금 집행에 나섰다. 화훙반도체는 자회사인 화훙훙리(宏利)반도체에 126억3000만 위안(한화 2조3000억원)을 증자했다고 중국기금보가 21일 전했다. 이는 화훙반도체가 지난 달 7일 상하이증시 커촹반(科創板)에 상장하면서 조달한 자금 212억 위안의 60%에 해당되는 금액이다. 화훙훙리는 해당 자금의 대부분을 자회사인 화훙우시에 증자할 예정이다. 화훙우시는 현재 2공장을 건설중이며, 자금은 공장 건설에 투입된다. 올해 2분기 말 기준으로 화훙반도체는 3곳의 8인치 웨이퍼 공장과 1곳의 12인치 웨이퍼 공장을 운영하고 있다. 공장들은 주로 가전제품과 자동차용 MCU(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 제품을 생산한다. 올해 2분기 기준 8인치 공장의 가동률은 무려 112.0%였으며, 12인치 가동률은 92.9%였다. 4곳 공장중 유일한 12인치 웨이퍼 라인인 우시공장은 2019년 4분기에 가동되기 시작했다. 우시공장은 55나노(nm)와 65나노 제품을 생산하고 있으며 빠른 매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이에 화훙반도체는 우시 2공장 건설계
미국 기준 금리가 예상대로 동결됐다. 하지만 뉴욕증시는 일제히 하락했다.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의 금리를 추가로 올릴 준비가 돼 있다는 발언이 증시를 끌어내렸다. 20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 지수는 전장보다 0.22% 내린 3만4440.88로 장을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지수는 전장보다 0.94% 떨어진 4402.20으로,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1.53% 하락한 1만3469.13으로 거래를 마쳤다. 연준이 금리를 동결했지만 올해 한 차례 더 금리를 인상할 수 있음을 시사하면서 증시에 영향을 미쳤다. 특히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이 큰 폭으로 하락, 긴축 기조에 더 민감하게 반응했다. 연준이 우려하는 것은 국제유가다. 현재 배럴당 100달러까지 오를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면서 유가가 물가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시장은 인플레이션이 잡히고 있는 만큼 연준의 긴축 기조가 완화될 것으로 기대했으나 국제유가가 연준의 긴축 기조를 더 유지시킬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파월 의장은 "필요할 경우 금리를 추가로 인상할 준비가 돼 있다. 인플레이션이 완화했지만 목표까지 아직 갈길이 멀다"며 금리 인상
중국 1위 EDA(Electronic Design Automation, 반도체 설계 소프트웨어)업체로 꼽히는 화다주톈(華大九天, Empyrean)이 중국의 또다른 EDA 업체 주퉁팡(九同方, NineCube)마이크로전자와 공동으로 무선 주파수 회로와 전자기장 통합 시뮬레이션 설계 솔루션을 개발하기로 했다고 중국 IT 전문매체 신쓰샹(芯思想)이 20일 전했다. 화다주톈은 무선주파수 전체 공정 EDA 솔루션을 개발한 바 있다. 해당 EDA는 무선 주파수 모형 추출 도구, 무선 주파수 회로 원리 맵 및 레이아웃 편집 도구, 주파수 회로 시뮬레이션 도구, 주파수 회로 물리 검증 도구 등을 포함하고 있다. 이를 통해 팹리스(반도체 설계 전문회사) 고객사들이 무선 주파수 칩을 더욱 편리하게 설계할 수 있다. 또한 주퉁팡은 전자기장 시뮬레이션 도구에 특화돼 있다. 주퉁팡은 특히 업계 최정상급의 수동 소자 설계 및 모델링 도구를 보유하고 있다. 이를 통하면 전자기장 시뮬레이션의 높은 정밀도와 빠른 속도를 구현해 낼 수 있다. 화다주톈은 자체 보유중인 무선주파수 공정 EDA 솔루션을 기반으로 주퉁팡이 보유한 전자기 시뮬레이션을 융합시킨 제품을 개발, 무선 주파수 칩 팹리스에
뉴욕증시가 일제히 하락했다. 국제 유가가 연일 연고점을 경신하는 등 인플레이션(물가) 우려 심리가 작용했다. 또 미국 국채 금리도 우상향 곡선을 그리면서 투심이 약화됐다는 분석이다. 19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지수는 전장보다 0.31% 하락한 3만4517.73으로 장을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지수는 전장보다 0.22% 떨어진 4443.95으로 거래를 마쳤고,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0.23% 밀린 1만3678.19로 장을 끝냈다.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결과를 하루 앞두고 이날 증시는 숨고르기 모습이 역력했다. 전날이 강보합이라면 이날은 약보합 모양새였다. 이달 기준금리가 동결될 것이라는 전망은 변함이 없지만 오는 11월 이후 금리 향방에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됐다. 투심에 주저하게 만든 요인은 국제 유가다. 이날 10월 인도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장중 한때 배럴당 93달러를 쉽게 돌파하는 등 우상향 곡선을 그리고 있다. 유가가 오름세를 보이면서 물가가 다시 상승할 수 있다는 우려감이 적지 않았다. 이 경우 연준이 긴축 기조에 무게추가 쏠릴 수 있다.
중국 최정상급 반도체 설계업체(팹리스)로 평가되는 쯔광잔루이(紫光展銳, 영문명 UNISOC)의 AP(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가 글로벌 시장에서 점유율 15%를 기록했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카운터포인트리서치가 발표한 올해 2분기 스마트폰 AP 출하량 순위에서 쯔광잔루이가 15%의 점유율로 4위를 유지했다고 중국 증권일보가 19일 전했다. 점유율 15%는 사상 처음이라고 이 매체는 부연했다. 쯔광잔루이는 2021년 3분기 시장점유율에서 삼성전자를 제치고 4위에 올랐으며, 8분기째 4위자리를 유지하고 있다. 올해 2분기 AP 글로벌 출하량 1위 기업은 대만의 미디어텍으로 점유율 30%를 기록했다. 퀄컴이 29%로 2위, 애플이 19%로 3위였다. 쯔광잔루이에 이어 삼성전자가 7%로 5위를 차지했다. 특히 쯔광잔루이는 올해 1분기 8%에서 점유율이 7%포인트 대폭 상승했다. 중저가 스마트폰 판매량이 증가하면서 쯔광잔루이 점유율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쯔광잔루이의 AP는 주로 중저가형 스마트폰에 탑재되는 저사양 제품이지만, 상당한 속도로 기술이 발전해가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회사의 AP는 ZTE, 누비아, 차이나텔레콤, 하이신 등의 스마트폰에 사용되며,
뉴욕증시가 강보합세로 장을 마감했다.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앞두고 있는 상황에 국제 유가까지 3거래일 연속 상승하면서 명확한 방향성을 보이지 않았다. 18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지수는 전장보다 0.02% 오른 3만4624.30으로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지수는 전장보다 0.07% 오른 4453.53으로,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0.01% 상승한 1만3710.24로 장을 끝냈다. 시장은 오는 20일 예정된 FOMC 정례회의 결과를 기다리는 분위기가 역력했다. 기준 금리가 동결될 것이라는 낙관론 속에 회의 결과를 기다리는 분위기였다. 다만 국제 유가가 지속적으로 상승, 에너지 물가에 촉각을 곤두세우기도 했다. 이날 국제 유가는 서부 텍사스산 원유(WIT) 기준 91.48달러를 기록하며 3거래일 연속 상승세를 보였다. 브렌트유 가격도 배럴당 94달러를 넘어서며 지난해 11월 이후 최고치를 경신했다. 시장의 최대 관심사는 국제 유가 상승에 따른 인플레이션(물가) 압력이 커지고 있어 오는 11월 기준금리 인상 여부에 집중됐다. 시장은 미 금융당국의 긴축 기조가 당분간 이어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중국 전기차 업체인 니오(NIO, 중국명 웨이라이)가 자체 개발한 차량용 반도체를 삼성전자의 파운드리(반도체 외주제작)가 생산할 예정이라고 중국 IT 전문매체인 IT즈자가 18일 전했다. 니오의 반도체 설계 사업부는 첫 번째 제품인 콕핏(운전석) 제어 칩을 개발 완료했다. 해당 칩은 7나노(nm) 공정을 통해 생산될 예정이다. 특히 관심을 끄는 것은 삼성전자가 외주제작한다는 것이다. 니오는 향후 AD(자율주행) 관련 반도체를 지속적으로 개발 출시할 예정인 만큼, 앞으로도 개발된 제품을 삼성전자를 통해 제작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니오의 반도체 설계 책임자는 화웨이의 팹리스(반도체 설계업체)인 하이실리콘 출신 인사가 맡고 있다. 많은 자동차 업체들이 콕핏 제어 칩으로 퀄컴이 만든 제품을 사용하고 있지만, 니오는 콕핏 제어 칩의 자체 개발을 통해 차량과 반도체를 더욱 융합시킬 것이며, 니오가 개발한 스마트폰과도 연동시킬 방침이라고 매체는 전했다. 니오는 현재 스마트폰을 개발 완료한 상태며, 연내 출시한다는 방침을 세우고 있다. 니오를 우선 자사 차량을 보유한 차주를 대상으로 스마트폰을 판매할 계획이다. 차량 기능 일부가 스마트폰에 포함돼 있는 것이 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