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가 금리 인하 기대감에 반등, 상승 마감했다. 28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 지수는 전장보다 0.24% 오른 3만5416.98로 장을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지수는 전장보다 0.10% 상승한 4554.89로,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0.29% 오른 1만4281.76으로 거래를 마쳤다. 4주 연속 뉴욕증시 3대 지수가 상승한 데 따른 부담감이 여전한 가운데 금리 인하 기대감을 올리는 발언이 나오면서 증시가 하루 만에 반등했다. 크리스토퍼 월러 연방준비제도(연준) 이사는 이날 워싱턴DC 미국기업연구소(AEI) 연설에서 추가 금리 인상은 불필요할 것이라고 시사했다. 이는 연준의 긴축 기조가 사실상 종료됐다는 뜻으로 해석됐다. 월러 연준 이사는 연준 내 대표적인 매파 위원으로 꼽히는 인물이다. 이로 인해 연준이 내년 금리를 인하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졌다. 실제 이날 연방기금 금리 선물 시장에서 투자자들은 연준이 내년 5월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을 66.1%로 평가했다. 뉴욕증시에서 주목할 만한 종목은 마이크로소프트(MS)였다. MS 주가는 이날 1.08% 오른 382.7 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전날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미국 뉴욕 증시에서 주요 3대 주가지수가 하락했다. 그간 상승에 따른 차익매물이 나왔지만 낙폭은 크지 않았다. 27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 지수는 전장보다0.16% 밀린 3만5333.47로 장을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지수는 전장보다 0.20% 하락한 4550.43으로,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0.07% 밀린 1만4241.02로 거래를 마쳤다. 연말 쇼핑 시즌을 맞아 미국 소비자들이 지갑을 열고 있다는 소식에도 지수는 차익실현 매물에 하락했다. 지난주까지 3대 지수는 4주 연속 올랐다. 올해 블랙 프라이데이 매출이 사상 최대치를 기록하는 등 소비가 크게 개선될 것이라는 전망에도 이날 증시는 약보합세를 보였다. 나스닥 지수가 소폭 하락한 가운데 마이크로소프트(MS) 주가는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날 MS 주가는 전장 대비 0.31% 오른 378.61달러에 장을 마감했다. 이전 최고가는 377.85달러 였다. MS 주가는 장중 한때 380달러를 돌파하기도 했다. 엔비디아는 0.98% 상승한 484.42달러로 마감했다. 반면 애플과 알파벳, 메타플랫폼스는 각각 0.09%와 0.20%, 1.04% 하락했다. 대형 기술주들은
전날 약세로 마감했던 뉴욕증시가 추수감사절 휴장을 앞두고 상승 마감했다. 22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 지수는 전장보다 0.53% 상승한 3만 5273.03으로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지수와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각각 0.41%와 0.46% 오른 1만4265.86으로 장을 마감했다. 이날 증시는 국채 금리와 국제 유가, 기술주 등을 예의주시했다. 특히 샘 올트먼 오픈AI 전 최고경영자(CEO)를 영입한 마이크로소프트 주가는 1.2% 이상 올랐다. 올트먼 CEO이 오픈AI 복귀했다. 반면 엔비디아는 미중 관계가 4분기 매출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면서 2.5% 가까이 떨어졌다. 국채 금리도 하향세를 보였다. 이날 10년물은 4.40% 안팎에서 2년물은 4.89% 안팎에서 거래됐다. 국제 유가는 요동쳤다.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비OPEC 산유국들의 협의체인 OPEC 플러스(OPEC+)가 26일(현지시간) 예정된 회의를 30일로 연기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유가가 5% 가까이 떨어졌다. 추가 감산 협의가 순조롭지 않다는 분위기에 유가가 장 초반 급락했지만 장 마감 어느 정도 회복됐다. 이날 내년 1월 인도
중국의 팹리스(반도체 설계 전문업체)인 궈신커지(國芯科技)가 차량용 차세대 DSP(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칩을 개발했다고 중국 제몐(界面)신문이 22일 전했다. 궈신커지는 신제품 DSP 칩인 'CCD5001'이 최근 자체 테스트를 모두 통과했다고 밝혔다. 현재 신제품은 고객사에 샘플로 전달, 고객사에서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다고 회사 측은 덧붙였다. CCD5001은 자체 개발한 칩으로, 모든 지적재산권은 궈신커지가 보유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CCD5001은 고성능 DSP칩으로 차량용으로 사용되도록 개발됐다. 능동 소음 제거, 서라운드 사운드 효과, 지능형 음성 상호작용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또 산업과 교통 분야에서 신호처리 혹은 실시간 제어 응용 솔루션에도 사용될 수 있다. 이 칩은 12나노(nm) 반도체 공정에서 제작되며, 중국 내 자동차산업의 DSP 칩 부족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궈신커지는 차량용 MCU(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 분야에서 자동차 차체 제어 칩, 자동차 파워트레인 제어 칩 등 7개 제품 라인을 갖추고 있으며, 아이타이커(埃泰克), 커스다(科士達) 등 차량 모듈업체, 웨이차이둥리(濰柴動力), 아오이커스(奧伊克斯) 등
뉴욕증시가 미국 소매기업 실적 부진에 차익실현 매물이 나오면서 일제히 하락했다. 21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 지수는 전장보다 0.18% 밀린 3만5088.29로 장을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지수는 전장보다 0.20% 하락한 4538.19로,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0.59% 떨어진 1만4199.98로 거래를 마쳤다. 다우 지수는 거래일 기준으로 사흘 만에 하락했고, S&P 지수와 나스닥 지수는 엿새 만에 하락세로 돌아섰다. 이날 실적 발표한 미국 유통 및 소매기업 매출이 시장 예상치를 밑돌았고, 연간 매출 전망치도 부정적으로 나왔다. 무엇보다 연말 연휴를 앞두고 소비가 위축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면서 증시에 영향을 미쳤다. 여기에 11월 연방준비제도(연준)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의사록 내용도 증시 하락에 영향을 줬다. 회의 내용에는 당분간 금리 인하 당분간 염두에 둔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 인상 기조가 약해졌다는 데 의미를 두는 분위기였다. 실제 미국 국채 10년물 수익률은 0.022%포인트 하락한 4.4%, 2년물 수익률은 0.028%포인트 떨어진 4.853%를 나타냈다. 한편 연방기금
삼성 갤럭시 태블릿 PC인 A9에 중국 기업이 제조한 칩이 28개 장착됐다고 중국 IT 전문 매체인 지웨이왕(集微網)이 21일 전했다. 갤럭시탭 A9은 삼성전자가 지난 10월 출시한 태블릿 PC다. 이 매체는 업계 관계자의 발언과 자체적으로 A9을 분해한 결과를 종합, 이 제품은 CPU와 메모리칩을 제외한 다른 모듈에서 대량의 중국산 칩을 사용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디지털 신호를 무선 신호로 변환하는 RF(Radio Frequency) 모듈에 들어가는 칩은 대부분이 중국 업체가 만든 칩이었다며 "이는 중국 반도체산업에 있어서 매우 기념비적인 일"이라고 평가했다. 갤럭시탭 A9에 들어간 RF모듈 중 무선 신호의 전력을 증폭시키는 역할을 하는 PA(Power Amplifier)칩은 2개가 사용됐으며, 각각 페이샹(飛驤)과 루이스(銳石)가 제조했다. 특정 주파수 범위의 신호를 통과시키거나 차단하는 역할을 하는 주파수 필터 칩은 모두 23개가 사용됐으며, 이 중 22개가 중국 업체의 제품이었다고 지웨이왕은 부연했다. 22개 중 14개의 칩은 신성(新聲)이라는 업체가 제조했다. 신성의 칩 14개중 4개는 업체가 자체 개발한 최첨단 필터칩이었다. 전자회로에서 회로를 열
중국이 한국과 2030 엑스포 유치를 위해 경쟁하고 있는 사우디아라비아와 통화 스와프 계약을 체결했다. 21일 관영 환구시보와 펑파이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인민은행은 사우디아라비아 중앙은행이 500억 위안(69억8000만 달러) 규모의 통화 스와프 계약을 체결했다. 양국간 통화 스와프 기간은 3년이며, 계약 기간은 추후 연장 가능하다. 중국 매체들은 이번 통화 스와프 계약을 계기로 양국간 금융 협력이 강화될 것이며, 양국 간 무역 및 투자 촉진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환구시보는 이번 통화 스와프 체결을 계기로 앞으로 중국과 중동 국가들 간의 통화 거래를 촉진할 것이라고 전했다. 시쥔양 상하이재경대학 교수는 통화 스와프 계약과 관련 "이번 거래로 양국 간 에너지 무역을 촉진할 것"이며 "중동 지역에서 위안화 사용이 더욱 늘어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환구시보는 지난해 중국이 수입한 원유는 5억800만t이며, 이중 절반 이상이 중동지역에서 수입했고, 사우디아라비는 중국의 1위 원유 수출국이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원유 거래에서 미국 달러 의존도가 낮아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중국 내부에선 사우디아라비아와의 통화 스와프 계약 체결이 위안화 국제화
뉴욕증시 3대 지수가 일제히 상승 마감했다. 20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 지수는 전장보다 0.58% 오른 3만5151.04으로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지수는 전장보다 0.74% 상승한 4547.38로,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1.13% 상승한 1만4284.53으로 장을 마감했다. 이날 뉴욕증시의 최대 화두는 샘 올트먼 오픈AI 전 최고경영자(CEO)의 마이크로소프트 이직이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오픈AI에서 해임된 올트먼은 전격 영입했다. 오픈AI 공동 설립자인 그레그 브록먼도 영입됐다. 올트먼의 마이크로소프트 합류 소식이 전해지면서 마이크로소프트 주가가 2% 이상 뛰었다. 알파벳과 아마존도 덩달아 올랐다. 시장은 이날 2.25% 오른 엔비디아의 실적 발표도 주목하고 있다. 엔비디아는 AI의 대표적인 수혜주다. 주가에 영향을 주던 국채 금리도 떨어졌다. 10년 만기 미 국채 금리는 전장보다 1.9bp 하락한 4.422%를, 30년물은 2.7bp 떨어진 4.57%를 기록했다. 한편 연방기금(FF) 금리 선물 시장에서 마감 시점 연방준비제도가 12월에 금리를 동결할 가능성은 99.8%로 긴축 종료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됐다
중국의 대표적인 CPU 개발 기업인 룽신중커(龍芯中科, Loongson)가 자체 개발중인 신형 GPU를 기반으로 한 SoC(시스템온칩)를 내년 출시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중국 경제전문 매체 제일재경이 20일 전했다. 룽신중커는 중국의 선두권 CPU업체로, '룽아크(LoongArch)'라고 불리는 자체 아키텍처를 보유하고 있다. 이 업체는 자체 CPU와 호환되는 GPU 제품인 LG100을 이미 출시한 바 있다. LG100은 룽신중커의 칩셋인 7A2000 및 단말기용 SoC인 2K2000에 탑재돼 판매되고 있다. 룽신중커는 최근 진행한 기관투자자 IR행사에서 현재 2세대 GPU인 LG200을 개발하고 있다고 밝혔다. LG200은 그래픽처리는 물론 AI연산 기능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회사 측은 LG200 GPU는 현재 개발중인 SoC인 2K300에 포함돼 설계작업이 진행됐으며, 현재 기초적인 설계를 완성했다고 설명했다. 또한 2K300은 내년 1분기에 테이프아웃(파운드리에 설계도 전송, 류펜, 流片)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했다. 회사 측은 또한 이를 바탕으로 내년에는 연산에 특화된 GPGPU(General-Purpose computing on Grap
중국 와이파이 칩 업체인 캉시(康希)통신이 상하이거래소 커촹반(科創板)에 17일 상장됐다. 상장 첫날 주가는 147%까지 급등하며 시가총액 110억위안(한화 2조원)을 기록했다고 중국경제망이 이날 전했다. 캉시통신은 와이파이 프런트 엔드 모듈(FEM) 칩을 설계하는 팹리스(반도체 설계 전문회사)다. 캉시통신의 매출구성 역시 와이파이 FEM이 80%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와이파이 FEM은 안테나와 송수신기 사이의 회로 및 부품을 포함하며, 무선통신장치에서 주파수 변환, 증폭, 안테나 매칭 및 다양한 신호 처리 기능을 담당하는 중요 부품이다. 와이파이 FEM 시장에서는 스카이웍스(Skyworks)와 코보(Qorvo)로 대표되는 미국 업체들이 주도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양대 업체가 세계 시장 점유율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중국시장에서는 캉시통신이 두각을 나타내고 있지만, 해외 업체들과는 여전히 상당한 격차가 존재한다. 캉시통신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2022년 캉시통신의 중국 내 화이파이 FEM 시장 점유율은 20.26%며, 글로벌 시장에서의 점유율은 6.52%다. 캉시통신의 제품은 ZTE, 지샹텅다(吉祥騰達), TP-Link, 징둥윈(京東雲), 톈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