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3대 지수가 일제히 하락했다. 20일(현지시간) 다우존스 지수는 전장보다 0.17% 밀린 3만8563.80으로 장을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지수는 전장보다 0.60% 하락한 4975.51에, 나스닥 지수는 0.92% 떨어진 1만5630.78로 거래를 마쳤다. 이날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의 낙폭이 여타 지수에 비해 컸다. 실적 발표를 앞둔 엔비디아가 장중 한때 7% 이상 하락하는 등 반도체 관련 주에 대한 기대감이 낮았다. 엔비디아는 장 후반 낙폭을 만회하긴 했지만 전장 보다 4.35% 급락한 상태에서 거래를 마감했다. 반도체 종목으로 분류되는 AMD, ARM, 브로드컴도 각각 전장 대비 4.70%와 5.12%, 1.52% 동반 하락했다. 빅7 종목 가운데 알파벳만 유일하게 이날 상승했고, 나머지 종목은 약세로 장을 마감했다. CNBC는 엔비디아가 기술주 하락을 주도했다고 분석했다. 특히 중국 토종 완성차 업체들의 신차 엔트리 가격 인하가 이어지면서 테슬라가 전장 대비 3.10% 미끄러졌다. 중국 업체들의 가격 인하로 인해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고, 업체들의 수익성이 악화될 것이라는 우려가 테슬라 주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글로벌 4위이자 중국 내 2위 반도체 후공정업체인 퉁푸마이크로(TFMC, 通富微电)가 미국의 대형 반도체 업체인 AMD의 최대 반도체 후공정 협력 업체로 올라섰다. TFMC는 최근 기관 투자자와의 인터뷰에서 AMD와 합자 및 합작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장기 업무계약을 체결한 상태임을 밝혔다고 중국 경제일보가 20일 전했다. 회사 측은 AMD의 인공지능(AI) PC용 반도체와 AI 가속기 반도체의 후공정 업무를 맡고 있으며, AMD의 최대 후공정 서비스 공급업체에 올라섰다고 소개했다. 매체는 중국의 반도체 산업이 후공정 분야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는데 성공했으며, 글로벌 경쟁사들과의 경쟁을 뚫고 글로벌 상위권 반도체 업체로부터 수주를 얻어냈다고 평가했다. 특히 AMD의 물량 수주를 놓고 반도체 후공정 글로벌 1위 업체인 대만 ASE와 7위 업체인 대만의 KYEC와 경쟁을 벌였다는 점에서 더욱 의미가 크다는 평가다. 대만 ASE는 장기간 AMD와 협력관계를 맺어온 업체다. 중국의 TFMC는 AMD와의 협력을 강화하는 것 외에도 제품 포트폴리오를 적극적으로 조정하고 고성능 컴퓨팅, 신에너지, 자동차 전자 등의 분야로 서비스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TFMC는 1
중국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업체인 웨신(粵芯)반도체(캔세미, CanSemi)가 올해 40억 위안(한화 7400억원) 이상의 투자를 집행할 예정이다. 중국 남방신문망은 지난 18일 광둥(廣東)성 선전(深圳)에서 '광둥고품질발전대회'가 열렸다고 19일 전했다. 이 매체는 천웨이(陳衛) 웨신반도체 최고경영자(CEO)가 발표자로 나서 이 같은 투자 계획을 설명했다고 설명했다. 천 CEO는 "웨신반도체가 현지의 자동차 반도체 수요에 적극적으로 대응, 제3공장 건설을 가속해 연내 완공하고 생산에 돌입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웨신반도체는 지난해 7월 12인치 반도체 웨이퍼 공장인 제3공장의 건물공사를 완료한 바 있다. 제3공장은 중국 내 산업용 반도체와 자동차용 반도체를 위주로 생산할 예정이다. 3공장은 22나노(nm)급 공정을 갖추게 되며, 월 8만장의 12인치 웨이퍼를 가공할 예정이다. 천 CEO는 또한 "제4공장 건설계획을 최대한 빨리 확정지어 중국 내 반도체 제조 영역에서 차별화된 경쟁 우위를 만들어 가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실리콘 기반의 광전자 반도체 특수공정 개발 계획을 앞당길 예정이며, 국제 동향을 주시해, 미래지향적인 특수 공정 기술
1월 미국 소매판매 감소하면서 뉴욕증시가 이틀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15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 지수는 전날보다 0.91% 상승한 3만8773.12로 장을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지수는 0.58% 오른 5029.73를 나타냈다. S&P 지수는 거래일 기준으로 나흘 만에 다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나스닥 지수는 0.30% 상승한 1만5906.17로 장을 마감했다. 나스닥 지수는 빅7 약세 속에 상승폭이 크지 않았다. 1월 미국 소매판매는 전월보다 0.8% 줄어든 7003억 달러로 집계됐다. 지난해 2월 이후 가장 큰 폭의 감소세다. 연방준비제도(연준)가 금리 인하 시기를 앞당길 수도 있다는 기대감이 작용, 증시가 상승세를 탔다. 실제 연방기금 금리 선물 시장에서 5월 금리 인하 가능성은 41.8%로, 전날 38.2% 보다 상승했다. 하지만 미국 주간 실업보험 청구자 수가 다시 줄어들면서 상승 탄력에 줄였다. 지난 10일 기준 신규 실업보험 청구자 수는 21만2000명으로 직전 주보다 8000명 감소했다. 실업보험 청구자 수가 줄었다는 것은 여전히 고용 상황이 견조하다는 의미다. 뉴욕증시가 상승세를 이어가면서
뉴욕증시가 하락 하루 만에 반등했다. 전날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에 너무 과민한 반응을 보였다는 분위기가 확산되면서 지수를 다시 끌어올렸다. 14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 지수는 전장보다 0.40% 오른 3만8424.27로 장을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지수는 전날보다 0.96% 반등한 5000.62로 거래를 마쳤다. S&P 지수는 이날 다시 5000선을 회복했다.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1.30% 뛴 1만5859.15로 장을 마감했다. 이날 증시는 반도체 종목들이 분위기를 띄웠다. 인공지능(AI) PC 출시 등 올해 PC 수요가 회복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면서 관련주들이 일제히 오름세를 탔다. AMD가 전장 대비 4.17%나 올랐고, ARM도 5.35%나 급등했다. 인텔과 마이크론테크놀러지 역시 전장 대비 각각 2.39%와 0.37% 상승 마감했다. 엔비디아는 전날 대비 2.46% 상승하며 거래를 마쳤다. 엔비디아는 아마존을 제친 하루 만에 알파벳까지 추월, 시총 3위(1조8300억 달러) 자리를 꿰찼다. 1월 CPI 공개 이후 연방준비제도(연준)의 기준금리 인하 시점은 자연스럽게 5월에서 6월로 넘어갔다. 이
미국 1월 소비자물가지수(CPI)의 둔화 속도가 더딘 것으로 확인되면서 뉴욕증시 3대 지수가 크게 떨어졌다. 13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 지수는 전장보다 1.35% 떨어진 3만8272.75로 장을 마감했다. 지난해 3월이후 하루 낙폭으로 가장 컸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지수 역시 전날보다 1.37% 하락한 4953.17로 거래를 마쳤다. 빅7 종목들이 일제히 하락하면서 나스닥 지수도 전장보다 1.80%나 수직 낙하했다. 이날 증시는 CPI 소식이 전해지면서 찬물을 끼얹었다. 상황에 따라 기준금리 인하 시기가 5월보다 더 늦어질 수 있다는 우려감이 작용한 탓이다. 미국 노동부가 발표한 1월 CPI는 전월보다 0.3% 상승했다. 전년 동월 대비로는 3.1% 상승했다. 시장의 기대치는 2%대였다. 1월 근원 CPI는 전년 동월 대비로는 3.9% 올랐다. 인플레이션이 둔화되지 않은 셈이다. 이에 따라 시장의 기준금리 기대감은 사라졌다. 연방기금 금리 선물시장에서 연준이 3월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은 8.5%까지 떨어졌다. 5월 금리 인하 가능성도 33.9%로 낮아졌다. 6월 금리 인하 가능성은 71%로 껑충 뛰었다. 시장의 기대는 3월에
뉴욕증시가 혼조세로 마감했다. 다우존스 지수는 사상 최고치를 갈아치운 반면 스탠다드앤푸어스(S&P) 지수와 나스닥 지수는 하락했다. 13일(현지시간) 공개되는 1월 소비자물가지수(CPI) 결과를 기다리는 분위기가 역력했다. 12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 지수는 전장 대비 0.33% 상승한 3만8797.38로 거래를 마쳤다. 이날 지수는 역대 최고치다. 지수 5000를 돌파했던 S&P 지수는 전거래일 보다 0.09% 밀린 5021.84로 장을 마감했다. S&P 지수가 소폭 하락했지만 여전히 상승 모멘텀은 보유하고 있어 CPI 결과에 따라 다시 상승세를 탈 가능성이 크다. 나스닥 지수도 소폭 하락한 1만5942.55를 기록했다. 이날 이렇다할 재료없이 암(ARM) 주가가 30% 가까이 폭등했다. 실적 발표 이후 인공지능(AI)에 대한 기대감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이날 대형 기술주들은 약보합세를 보였다. 테슬라는 2% 이상 떨어졌고, 아마존과 마이크로포스트는 1% 이상 하락했다. 애플과 구글 역시 소폭 하락했다. 이날 투자자들의 최대 관심사는 역시 1월 CPI다. 전월에 비해 소폭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지만 전년 대비로는 하
중국의 반도체 후공정 1위 업체인 JCET(창뎬커지, 長電科技)의 자회사가 제3자 배정 유상증자를 통해 44억 위안(한화 8118억원)의 자금을 확보했다. 유상증자 주체는 창뎬커지치처뎬즈(汽車電子, 이하 자회사)라는 업체로, 창뎬커지가 100%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자회사는 지난해 4월 4억 위안의 자본금으로 설립된 신생업체다. 본사는 상하이에 위치해 있다. 창뎬커지는 그동안 사내에 자동차 전자사업부를 운영하고 있었다. 해당 사업부는 자동차용 반도체 후공정 사업을 담당하고 있었으며, 최근 들어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창뎬커지 측은 자동차 전자 분야 매출액이 2019년에서 2022년까지 연평균 성장률 50% 이상을 기록했다고 설명했다. 또한 지난해 3분기 누적 매출액은 전년 대비 88% 증가했다. 이 같은 상황에 해당 사업부를 지난해 독립법인화 한 것이다. 이번 자회사의 유상증자에는 모기업인 창뎬커지가 참여해, 23억2600만 위안을 투자했다. 여기에 국가집적회로산업투자기금 2기가 8억6400만 위안, 국유자산경영공사가 7억 위안, 상하이집적회로산업투자기금2기가 2억7000만 위안, 신즈징(芯之鲸)펀드 2억4000만 위안을 각각 투자했다. 자회사는 이번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지수는 5000 고지를 눈앞에 두는 등 뉴욕증시가 이틀 연속 상승 흐름을 이어갔다. 7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 지수는 전장보다 0.40% 오른 3만8677.36으로 장을 마쳤다. S&P 지수는 이전 고점을 넘어선 4995.06으로 장을 마감했다. S&P 지수는 지난 2021년 4월 4000을 돌파한 후 3년여 만에 5000를 목전에 두고 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전장보다 0.95% 뛴 1만5756.64로 장을 마감했다. 이날 뉴욕증시는 장 시작부터 상승 출발했다. 대형 기술주가 대부분 상승했고, 반도체 관련 주도 대부분 상승세를 이어갔다. 3월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이 사라졌지만 기업 실적이 증시를 지탱했다. 4분기 실적을 발표한 기업 가운데 70%정도가 예상치를 웃도는 실적을 발표했다. 특히 기술 기업들의 실적이 긍정적으로 나오면서 빅7 종목들이 이날 일제히 상승, 지수를 견인했다. 메타플랫폼스가 3.27% 상승했고, 엔비디아는 2.75% 오르면서 처음으로 주당 700달러를 넘어섰다. 마이크로소프트도 이날 2.11% 상승 마감했다. 아파벳과 아마존은 각각 1.0%와 0.82% 올랐다. 마
반도체 산업의 불경기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중국의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외주 제작업체)인 SMIC(중신궈지)의 지난해 4분기 매출액이 소폭 증가했다. SMIC는 6일 저녁 실적발표를 통해 지난해 4분기 매출액이 전년대비 3.4% 증가한 121억5000만 위안(한화 2조2368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연간 매출액은 452억5000만 위안(8조3712억원)으로 전년 대비 8.6% 감소했다. 순이익은 48억2000만 위안(8917억원)으로 전년대비 60.3% 감소했다. 지난해 지속된 반도체 업계 불황으로 매출액과 순이익이 감소했다. 자오하이쥔 SMIC 최고경영자(CEO)는 "올해 역시 여전히 거시경제, 지정학적 리스크가 존재하며 파운드리 간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고, 재고부담 역시 크다"면서 "수요가 회복되고는 있지만 회복의 강도는 전반적인 반도체 업황의 강한 반등을 뒷받침하기에는 부족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올해 파운드리 가동률이 몇 년 전 수준으로 상승하기는 어렵다"면서 "흑자경영을 목표로 비용절감 노력을 경주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지난해 3분기부터 일부 혁신 제품 업체들이 기회를 잡았으며, 주문량을 급속히 늘려 SMIC의 매출액이 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