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0 (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경제

中 금리 동결 유력...선제적 대응 가능성도

美 연준 금리 인하 후 통화정책 사용 가능성 높아
올해 성장률 목표 달성 위해 서둘러 인하 가능성도 제기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이 오는 20일 기준금리격인 대출우대금리(LPR)를 발표한다.


인민은행는 4개월 연속 LPR를 동결한 바 있다.


16일 중국 금융권에 따르면 인민은행은 오는 20일 1년물 LPR와 5년물 LPR를 공개한다.


중국 금융권은 인민은행이 이달 LPR를 동결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의 금리 인하 등 외환시장 흐름을 본 후 LPR를 조정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또 3분기 GDP(국내총생산) 성장률도 동결에 무게를 늘리고 있다.


국가통계국이 20일 발표 예정인 성장률은 4.8~4.9%로 예상되고 있다. 당초 목표치에 준하는 수치다. 수출 통계 등 여러 거시데이터를 감안하면 동결할 가능성이 크다는 게 중국 금융권의 시각이다.


올해 중국 당국의 성장률 목표치는 '5.0% 내외'다. 중국 관계 당국의 관심사가 5.0% 내외라는 목표에 총력을 다하고 있는 만큼 인민은행이 선제적으로 LPR를 전격 인하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다.


올 1분기 중국 성장률은 5.4%였고, 2분기는 5.2%였다. 상반기 성장률은 5.3%로 당초 중국 정부가 목표한 올해 목표치 '5% 내외'를 달성했다. 따라서 3분기 4.8% 정도의 숫자가 나오면 4분기를 성장률이 이에 준하는 만큼 지탱해야 한다.


이같은 분위기를 감안하면 LPR 인하가 미 연준 결정과 상관없이 조기 단행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


또 부동산 시장이 여전히 부진하고 인플레이션 위험과 실질금리 등의 여건 등을 고려하면 조기 인하 가능성이 여전이 존재한다는 게 중국 거시경제 전문가들의 생각이다.


이미 미 연준이 금리 인하를 예고한 만큼 오는 20일 10~20bp 인하 가능성이 있다.


최대 걸림돌은 은행권의 순이자마진 압력이다. 6월말 기준 중국 은행권의 순이자마진은 1.46% 수준. 지난달 중국 일부 은행권이 예금이자와 함께 대출이자를 소폭 인하했다. 순이자마진이 개선되고 있지 않은 상황이다.


현재 중국 은행권의 예금 및 대출 이자 수준을 감안하면 LPR 추가 인하가 당장은 필요하지 않다는 의견도 만만치 않다.


결국, 미 연준 금리 인하 후 위안화 환율 방어 차원에서 인민은행이 LPR를 낮출 것이라는 전망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LPR 인하 시점이 11월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