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대형 반도체 기업인 화룬마이크로(華潤微)가 4가지 분야의 반도체 신제품을 공개했다. 화룬마이크로는 충칭(重慶)시에서 투자자 설명회 및 신제품 발표회를 진행했다고 충칭일보가 8일 전했다. 화룬마이크로는 전날 열린 제품 발표회에서 ▲IGBT(절연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저전압 MOS(금속산화물 반도체) 계열의 전력 반도체와 안전 MCU▲전자기기 컨트롤 MCU(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IPM(지능형 전력모듈)과 고전압 광결합 반도체 등 4가지 신제품을 선보였다. 화룬마이크로 측은 "공개된 신제품들은 회사의 제품 포트폴리오 확장은 물론 기술혁신 분야에 있어서 큰 의미를 지닌다"고 밝혔다. 화룬마이크로는 국영 기업인 화룬기업의 자회사로 2003년 설립됐으며, 반도체 설계, 웨이퍼가공(파운드리), 패키징 기능을 갖춘 IDM(종합반도체기업)이다. 주력제품은 자동차에 사용되는 전력반도체, 스마트 센서, 스마트 컨트롤러다. 화룬마이크로 충칭 공장은 지난해 말 양산을 시작한 공장이다. 이 공장에서는 12인치 웨이퍼를 생산하고 있다. MOSFET(산화막 반도체 전기장 효과 트랜지스터)와 IGBT 등 전력반도체가 주력 생산품이다. 목표 생산능력은 월간 3만~3만5000장
중국의 GPU(그래픽처리장치) 개발 스타트업인 비런커지(壁仞科技)가 최근 20억 위안(한화 3660억원)의 투자를 유치했다고 중국 IT전문 매체 자커(ZAKER)가 7일 전했다. 비런커지는 최근 광둥(廣東)성 광저우(廣州)시 시정부가 지원하는 투자기관으로부터 투자유치를 받았다. 현재 비런커지의 주주정보는 변경되지 않았으며, 회사측 역시 투자 상황에 대해 입장을 공개하지 않고 있다. 비런커지는 지난 10월 미국 정부가 제재목록에 포함시킨 13개 중국 반도체기업 중 한 곳이다. 팹리스(반도체 설계 전문업체)인 비런커지는 미국의 제재로 인해 해외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를 통해 반도체를 제조할 수 없게 됐다. 때문에 비런커지는 중국내 파운드리를 통해서만 칩을 제조해야 한다. 중국내 파운드리는 첨단공정을 소화할 수 없는 만큼, 비런커지가 그동안 연구개발한 첨단 GPU의 설계도는 사실상 무용지물이 됐다. 비런커지는 칩 설계를 중국내 파운드리의 제조역량에 맞춰 재조정해야 하며, 이 경우 GPU의 성능저하를 초래할 수 밖에 없다. 비런커지는 20억 위안의 투자금을 바탕으로 후속적인 운영과 개발을 지속하게 됐다. 매체는 10월 미국의 제재 이후 얼마 되지 않은 시간에 투
중국 국가집적회로산업투자기금(이하 대기금) 2기가 화훙(華虹)반도체의 자회사인 상하이 화리웨이(華力微, HLMC)에 63억5000만 위안(한화 1조1546억원)을 투자했다. 이번 투자로 인해 화리웨이의 자본금은 284억2200만 위안으로 29% 증가했으며, 2기 대기금이 화리웨이의 3대 주주(지분율 10.24%)에 올랐다고 중국제일재경신문이 6일 전했다. 화리웨이는 2010년에 설립됐으며, SMIC(중신궈지, 中芯國際)에 이어 중국 내 2번째 규모를 갖추고 있는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업체인 화훙반도체의 자회사다. 화리웨이는 비상장업체다. 화리웨이는 주로 가전 제품용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MCU), 와이파이칩, CMOS 이미지센서(CIS) 등을 생산하는 파운드리 업체다. 화리웨이는 이번 투자유치를 통해 생산 설비 확충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 정부는 반도체기금을 조성해 반도체 산업을 대대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1기 대기금은 2014년 조성됐으며 투자규모가 1000억 위안을 넘어섰다. 2기 대기금은 2019년에 설립됐으며, 파운드리, 생산 장비, 소재 업체 등에 투자하고 있다. 그동안 44건의 투자가 단행됐다. 2기 대기금의 누적 투자금은 600억 위안
중국에서 올해에만 실리콘카바이드(SiC, 탄화규소) 반도체 시설투자가 43건 이뤄진 것으로 나타났다. 실리콘카바이드를 소재로 한 반도체는 주로 전력 반도체에 사용된다. 실리콘카바이드는 내열성이 높아 쉽게 뜨거워지는 전력반도체의 소재로 주로 사용된다. 특히 전기자동차 산업과 태양광 산업이 발전하면서 실리콘카바이드 반도체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이 같은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중국 업체들이 올해 대규모 시설투자에 나선 것으로 분석된다. 중국 IT전문매체인 지웨이왕(集微網)은 자체 통계 결과, 올해 중국에서 실리콘카바이드 반도체 관련 시설투자가 이뤄진 프로젝트는 43건에 달했다고 4일 전했다. 매체는 공장건설을 위한 신규 투자프로젝트, 토지임대계약, 신규 생산라인 건설 및 증설 등을 발표한 업체의 프로젝트 수를 집계했다. 올해 최대 규모 투자를 단행한 업체는 싼안광뎬(三安光電) 산하 싼안반도체다. 싼안반도체는 지난해 7월 후난(湖南)성 1공장을 기공한데 이어, 올해에는 후난 2공장을 착공했다. 1공장과 2공장의 생산능력은 비슷한 수준이며, 합계 생산능력은 연산 36만장이다. 모두 160억 위안(한화 2조9200억원)이 투자됐다. 싼안반도체는 이와 함께 올해
중국의 자동차업체인 비야디(BYD)의 자회사인 비야디반도체의 저장(浙江)성 샤오싱(紹興) 1공장이 준공됐다고 저장성 지역 매체인 항저우일보가 1일 전했다. 샤오싱 1공장은 지난해 8월 착공됐으며, 1공장이 이번에 완공됐다. 샤오싱 1공장에서는 자동차용 전력반도체와 센서를 생산한다. 모두 100억 위안(한화 1조8000억원)이 투자됐다. 샤오싱 1공장은 연간 72만 개의 전력반도체와 60억개의 광전자 제품을 생산할 수 있으며, 연간 150억 위안의 매출을 기록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비야디반도체는 2004년 설립됐다. 반도체 설계에서부터 웨이퍼 제조, 패키징에 이르는 종합반도체업체(IDM)를 지향하고 있다. 비야디반도체는 BYD의 자회사인 만큼 주로 전력반도체, 지능형 제어칩, 센서, 광전반도체 등 자동차용 반도체를 생산한다. 비야디는 2020년 연말부터 자회사인 비야디반도체의 상장작업을 진행해 오다가 지난해 11월 중단한 바 있다. 모기업인 비야디가 비야디반도체의 지분 72.3%를 보유하고 있고, 비야디반도체의 매출 60% 이상이 모기업에서 발생하는 만큼, 선전거래소가 업무 독립성을 문제삼아 상장작업에 제동을 걸었다. 지난해 상장작업이 진행되던 과정에서 비
네덜란드 정부가 그동안 보류해왔던 중국기업의 현지 반도체기업 인수를 최종 승인했다. 중국 경제 전문 매체 제일재경은 네덜란드 정부가 전력 반도체 기업 노위(Nowi) 인수합병(M&A)을 승인했다고 29일 보도했다. 이에 따라 원타이커지(윙테크)의 100% 자회사인 안스 반도체(넥스페리아)가 노위의 경영권을 확보하게 됐다고 제일재경은 전했다. 네덜란드 정부는 지난 28일(현지시간) 그동안의 인수합병에 대한 심사결과를 공개하며 넥스페리아의 노위 인수를 막지 않을 것이라고 발표했다. 네덜란드 정부는 "넥스페리아의 노위 인수에 대해 법률상 이견은 없었다"고 밝혔다. 노위는 2016년 설립된 네덜란드 반도체 스타트업으로 진동과 전파, 온도 등 환경자원에서 에너지를 얻는 반도체를 개발하고 있다. 해당 반도체는 원격제어, 웨어러블 등 저전력 소모 기기에 사용될 수 있다. 넥스페리아는 지난해 11월 노위와의 인수협상을 타결하고 노위를 자회사로 편입한다는 방침을 공개한 바 있다. 하지만 지난 1월 네덜란드 정부가 국가안보를 이유로 제동을 걸었고, 정부는 그동안 국가안보와 관련된 심사작업을 진행했다. 노위의 설립자는 "이번 협력으로 대규모 칩 제조업체의 생산, 판매,
미국의 대형 PC제조업체인 델(DELL)이 AMD의 첨단 GPU(그래픽처리장치)가 들어간 제품의 중국 판매를 금지시켰다고 중국전자공정보가 외신보도를 인용해 24일 전했다. 23일 델이 발표한 판매 상담 가이드라인 사진이 인터넷에 유출됐으며, 이를 근거로 AMD의 라데온 시리즈와 인스팅트 시리즈의 그래픽카드를 탑재한 PC 제품의 중국 판매가 금지된 것으로 확인됐다. AMD는 미국의 대형 팹리스(반도체 설계 전문회사)로 GPU와 그래픽카드 및 CPU(중앙처리장치) 등 반도체를 개발하고 있다. 미국은 지난달 중국에 고사양 AI칩과 GPU 판매를 금지시키는 제재조치를 발표한 바 있다. 이에 따라 엔비디아의 고사양 AI칩의 중국판매가 금지됐으며, AMD의 제품 역시 중국 판매가 금지됐다. 델의 판매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AMD의 그래픽카드 라데온 RX 7900 XTX, 라데온 RX 7900 XT, 라데온 PRO W7900을 탑재한 PC가 중국판매 금지대상이다. 또한 인스팅트 계열의 그래픽카드인 MI210, MI250, MI250X, 그리고 조만간 출시될 MI300도 중국판매가 금지됐다. 델의 조치에 앞서 엔비디아는 그래픽카드 RTX4090의 중국 판매를 금지시켰다. 에
엔비디아의 라이벌로 불리던 영국의 팹리스(반도체 설계 전문업체) 그래프코어(Graphcore)가 중국시장에서 철수를 결정했다고 중국 IT전문매체 재커(ZAKER)가 외신을 인용해 23일 전했다. 그래프코어 대변인은 이메일을 통해 발표한 입장문에서 최근 미국이 중국으로의 기술 판매를 제한하는 수출규제를 배경으로 지적하며 "유감스럽게도 중국에서의 사업을 크게 축소할 것"이라고 밝혔다. 매체는 이는 사실상 중국시장 철수를 의미한다고 평가했다. 중국내 고용된 중국인 직원들은 대부분 해고될 것으로 보인다. 그래프코어는 2016년 영국에서 설립된 스타트업으로 중국시장에 주력해 왔다. 3년 전 기업가치 28억달러를 산정받을 정도로 기술력을 인정받았다. 그래프코어는 AI 소프트웨어를 지원하는 맞춤형 반도체를 설계해왔다. 하지만 지난해 10월 미국이 중국에 대해 AI반도체 제재를 발표한데 이어 올해 10월에는 더욱 강한 제재를 발표했다. 이로 인해 중국내 사업이 막대한 타격을 입은 것으로 분석된다. 그래프코어 대변인은 "중국 이외의 다른 곳에서도 AI 컴퓨팅에 대한 수요가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전세계 고객과 협력해 GPU를 대체할 반도체를 개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래
중국의 팹리스(반도체 설계 전문업체)인 궈신커지(國芯科技)가 차량용 차세대 DSP(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칩을 개발했다고 중국 제몐(界面)신문이 22일 전했다. 궈신커지는 신제품 DSP 칩인 'CCD5001'이 최근 자체 테스트를 모두 통과했다고 밝혔다. 현재 신제품은 고객사에 샘플로 전달, 고객사에서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다고 회사 측은 덧붙였다. CCD5001은 자체 개발한 칩으로, 모든 지적재산권은 궈신커지가 보유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CCD5001은 고성능 DSP칩으로 차량용으로 사용되도록 개발됐다. 능동 소음 제거, 서라운드 사운드 효과, 지능형 음성 상호작용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또 산업과 교통 분야에서 신호처리 혹은 실시간 제어 응용 솔루션에도 사용될 수 있다. 이 칩은 12나노(nm) 반도체 공정에서 제작되며, 중국 내 자동차산업의 DSP 칩 부족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궈신커지는 차량용 MCU(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 분야에서 자동차 차체 제어 칩, 자동차 파워트레인 제어 칩 등 7개 제품 라인을 갖추고 있으며, 아이타이커(埃泰克), 커스다(科士達) 등 차량 모듈업체, 웨이차이둥리(濰柴動力), 아오이커스(奧伊克斯) 등
삼성 갤럭시 태블릿 PC인 A9에 중국 기업이 제조한 칩이 28개 장착됐다고 중국 IT 전문 매체인 지웨이왕(集微網)이 21일 전했다. 갤럭시탭 A9은 삼성전자가 지난 10월 출시한 태블릿 PC다. 이 매체는 업계 관계자의 발언과 자체적으로 A9을 분해한 결과를 종합, 이 제품은 CPU와 메모리칩을 제외한 다른 모듈에서 대량의 중국산 칩을 사용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디지털 신호를 무선 신호로 변환하는 RF(Radio Frequency) 모듈에 들어가는 칩은 대부분이 중국 업체가 만든 칩이었다며 "이는 중국 반도체산업에 있어서 매우 기념비적인 일"이라고 평가했다. 갤럭시탭 A9에 들어간 RF모듈 중 무선 신호의 전력을 증폭시키는 역할을 하는 PA(Power Amplifier)칩은 2개가 사용됐으며, 각각 페이샹(飛驤)과 루이스(銳石)가 제조했다. 특정 주파수 범위의 신호를 통과시키거나 차단하는 역할을 하는 주파수 필터 칩은 모두 23개가 사용됐으며, 이 중 22개가 중국 업체의 제품이었다고 지웨이왕은 부연했다. 22개 중 14개의 칩은 신성(新聲)이라는 업체가 제조했다. 신성의 칩 14개중 4개는 업체가 자체 개발한 최첨단 필터칩이었다. 전자회로에서 회로를 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