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당국이 관용차 조달 시 신에너지차 비중을 30% 이상으로 해야 한다고 고시했다.
중국 재정부 사무국은 30일 경제 사회 발전의 전면적인 녹색 전환 가속화에 관한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와 국무원의 의견과 정부기관이 관용차량 관리조치, 공공기관의 에너지 절약 사업 계획 등을 근거로 관용차 조달 시 신에너지차를 30% 이상 구매하라고 각 성 및 자치구, 직할시 등에 하달했다.
특히 도심지역에서 주로 사용하는 차량은 100% 신에너지차 구매를 원칙으로 한다고 전달했다.
또 리스 차량 이용 시 신에너지차 리스를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지시했다.
재정부 사무국은 예산담당 부서는 연간 차량 조달 비율을 조정, 신에너지차 구매에 적극 나설 것을 촉구했다.
중국 당국은 지난해에도 31개 성(省) 관용차 관리 담당자들을 소집, 노후 관용 차량 교체시 전기차 등 신에너지차로 전환하도록 한 바 있다. 이에 앞서 중국 국가관리국은 '중앙 국가 기관 산하 공공 기관 사용 관용차 관리 조치'를 발표, 신규 관용차 구매시 국산(중국산) 전기차를 우선 구매하도록 했다.
중국 공업정보화부는 '2021∼2035 신에너지산업 발전 계획'에 따라 오는 2025년까지 신에너지차 보급률을 25%까지 올린 후 2030년 40%, 2035년 50%까지 확대한다는 목표를 제시한 바 있다.
올해 중국 신에너지차 판매 대수는 1000만대 내외가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올해 보급률은 40%를 넘어섰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당초 2030년 보급률 40%는 달성했으며 내년 보급률 50%에 근접할 것으로 보인다. 이는 당초 계획을 10년 앞당긴 것이다.
다만 신에너지차 판매가 2~3년 새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가격 할인 전쟁에 따른 다양한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