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통화당국이 금리를 전격 인하했다.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은 22일 1년물과 5년물 대출우대금리(LPR)의 금리를 각각 0.1%포인트씩 인하했다. 이에 따라 주택담보대출 금리의 가늠자인 5년물 LPR는 3.85%로, 일반 대출 금리 기준인 1년물 LPR는 3.35%로 낮아졌다.
인민은행이 LPR를 낮춘 것은 지난 2월 이후 5개월 만이다. 인민은행은 당시 1년물과 5년물 LPR를 각각 0.25%포인트씩 인하한 바 있다.
올 상반기 중국 국내총생산(GDP)는 5.0%다. 분기별로는 1분기가 5.3%이며, 2분기는 4.7%다. 경제성장률이 연초 목표치에서 벗어나지 않았지만 흐름상 둔화세다.
중국 내부에서 이번 금리 인하가 어느 정도 예견됐다. 중국 거시경제 전문가들 사이에선 LPR 대신 지급준비율(지준율)를 추가 인하, 시중에 자금을 더 공급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꾸준히 나왔다. 기준금리 격인 LPR를 인하할 경우 미국과의 금리 격차가 더 확대된다는 우려가 있는 만큼 지준율을 인하해 시중에 자금을 더 공급해야 한다는 주장이었다.
인민은행은 지난 2월 5일부로 지준율을 0.5%포인트 낮춘 바 있다. 이를 통해 1조 위안 규모의 유동성을 시중에 공급했다. 인민은행은 이를 통해 춘절 연휴 등 연초 경기를 끌어올렸다.
지준율은 시중 은행권이 예금 인출 등을 감안, 의무적으로 보유해야 하는 현금 비율을 말한다. 중국 대형 은행의 지준율은 8.5%이며, 중형 은행 6.5%, 소형은행 4.5%다.
금리 인하에 대한 목소리도 적지 않았다. 미국 인플레이션이 방향성을 잡고 진정 국면에 진입한 만큼 인민은행이 LPR 인하라는 카드를 꺼낼 수 있다는 것이다.<본지 7월 17일자 '中 통화정책 카드 하나는 꺼낸다' 참조>
특히 중국공산당 제20기 중앙위원회 제3차 전체회의(3중전회) 결과에 따라 인민은행이 통화정책 카드를 꺼낼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었다.
이번 인민은행의 LPR 인하는 '경기를 부양하겠다'라는 중국 당국의 의지이자 시장에 보내는 강력한 메시지로 해석될 수밖에 없다.
이번 LPR 인하로 중기유동성지원창구(MLF)와 LPR의 동조화 경향도 앞으로 약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통상 MLF 금리가 유지되면 LPR도 동결되는 경향이 있었다. 지난 15일 인민은행은 MLF를 동결했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 이달 LPR가 동결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기도 했다.
인민은행이 MLF 대출 금리를 그대로 두고 LPR 금리만 조정한 것은 2019년 8월 이후 단 2차례(2021년 12월과 2022년 5월) 뿐이다.
한편에선 LPR 인하의 제약 중 하나로 거론되던 은행권의 순이자마진이 개선, 인민은행이 LPR를 낮출 수 있는 여지가 생겼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또 실물 경제에서 LPR 하락 폭보다 대출금리 하락 폭이 더 큰 현상이 발생, 인민은행이 LPR를 인하했다는 해석도 적지 않다.